-
중국・홍콩 「경제 파트너십 강화협정」내용과 시사점
서론 경제파트너십 강화 협정(CEPA)의 주요 내용과 향후 효과 경제파트너십 강화 협정(CEPA) 체결의 배경 결론: 요약 및 시사점 지난 6월 29일 중국과 홍콩은 FTA에 준하는 '경제 파트너십 강화협정'(CEPA)을 체결하였다. 내년부터 중국은 273개 홍콩산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고 18개 서비스시장을 개방할 예정이다. 상품교역의 경우 CEPA의 효과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수출품이 관세철폐 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서비스시장의 개방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WTO 양허안보다 조기에 시장을 개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CEPA 체결과 관련하여 중국의 정치적 배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일국양제' 통일정책과 향후 서비스시장 개방 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을 차치하고 CEPA는 서비스시장에 있어 한국에 경제적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홍콩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중국으로 진출하는 우회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금융부문의 협력의 시너지 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天津市 경제 현황과 투자환경
< 목 차 > 가. 경제현황 나. 개발방향 다. 외국인 투자환경 (1) 사회기반시설 (2) 외국인 투자 유치분야 (3) 우대제도 (4) 외환정책 (5) 노동정책 (6) 토지정책 (총8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西部大開發의 제기 배경 및 주요 정책, 서부지역 일반 현황, 한국과 서부지역과의 교역현황, 교역 및 투자 유망분야,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변화하는 중국 휴대폰 시장
로컬 업체가 크게 약진하는 등 중국 휴대폰 시장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변화의 원인을 탐색해 보고 한국 기업에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 적절한 목표 시장 설정 ● 유통 전략 ● 시장 지배력을 활용한 기술 아웃소싱 ● 소수 정예로의 시장 재편 ● 자체 R&D 능력 강화를 통한 해외 진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요도시 인기제품 비교
○중국 주요도시 인기제품 비교 1. 션전(深 ) - 자동차가 제일 좋아 2. 광저우(廣州) - 가장 잘 팔리는 것은 컴퓨터 3. 상하이(上海) - 가장 인기제품은 핸드폰 4. 북경(北京) - 가장 고급적인 것을 선호 5. 샤먼(廈門) - 새로운 제품을 선호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전망
중국의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전망입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제 성장축인 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의 경제발전 비교
□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와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경제발전 비교 ○ 비교 ・장강삼각주(상해, 강소성, 절강성 지역)는 90년대 상해 푸둥(浦東) 개발을 시작으로 고도성장 지속 ・주강삼각주(광동성 지역)는 대외개방 실험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통한 고도성장 지속 ・두 지역의 수출입 규모가 중국 전체의 65.5%를 차지 ・아직은 주강삼각주의 비중이 더 크지만 점차 감소 추세인 반면, 장쟝삼각주의 비중은 꾸준하게 증가 추세에 있음. - 주강삼각주 교역액은 2000년 1,755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37.0% 차지, 장강삼각주의 교역액은 2000년 1,354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28.5% 차지 ・장강삼각주는 경공업과 중공업이 고르게 발달, 주강삼각주는 노동집약형 경공업으로 공업의 기반 형성 ○ 문제점 ・중복 건설 심각 ・경제 발전 차이로 지역간 소득 격차 확대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공업화 추진 둔화 ・선진국과 후발 개도국의 위협에 직면 ○ 개발방향 ・장강삼각주 - 경제, 금융, 무역, 첨단기술산업의 국제적 중심지 ・주강삼각주 -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역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WTO 가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WTO 가입으로 한국 가전산업은 단기적으로 중국 현지법인 수출여건 개선 등의 긍정적인 영향도 있겠으나, 중장기적으로 중국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인한 제3국시장 잠식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단기적으로 대중수출 증대, 중국진출 기회 확대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겠으나, 중장기적으로 구미 선진기업의 중국내 대규모 신규설비 완공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가 큰 부담. 한국 통신산업은 중국 통신시장의 개방과 급성장 등으로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기회가 확대되겠으나, 구미 선진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하고, 중장기적으로 중국 통신기업의 추격이 본격화 된다는 어려움이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우리나라 주력 수출 상품의 한・중간 경쟁현황
○ 최근 중국의 부상에 따라 우리의 주력 수출분야에서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음. 중국은 1991년 총 수출 규모에서 우리를 추월했으며, 조사대상이 된 904개 주력 품목의 금년 1-7월중 수출은 841억달러로 총수출의 94%를 차지했는데, 이 역시 금년들어 중국에게 추월당함. ○ 904개 품목의 한중 수출규모를 비교해 본 결과, 484개(53.5%)는 한국이 우위를, 420개 품목(46.5%)은 중국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음. ○ 이중 한국의 수출액이 중국에 비해 5배를 초과(절대우위)하는 품목은 213개로 23.6%였으며, 중국이 절대우위에 있는 품목은 100개로 11.1%였음. ○ 한국이 절대우위에 있거나 격차를 확대하고 있는 품목은 화학, 수송기계, 철강금속, 기계류 등의 품목이 많고, 경공업에서는 일부 직물류가 포함 (예) 중간재화학제품, 화학섬유직물류, 철강판, 메모리반도체, 승용차, 선박류 ○ 반면, 중국이 절대우위에 있거나 격차를 확대하고 있는 품목은 경공업과 가전이 중심이며, 특히 전자전기분야에서는 가전, 산업용 부품이 널리 분포 (예) 의류, 신발류, 가구류, 완구류, 유선전화기, 라디오카세트, 조명기구, 사진기, 컴퓨터입출력장치, 팩시밀리, 반송통신용기기, 유선통신기기 부분품, 볼트, 밸브류 ○ 우리가 우위에 있으나, 중국과의 격차가 축소되고 있는 품목은 업종별로 골고루 분포되어 전업종에 걸쳐 중국이 광범위하게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우리의 수출을 이끌어온 중견 수출품목들이 많이 포함 (예) 타이어, 안경테, 유류제품, 인조섬유제 파일편물, 열간압연제품, 석도강판, 전자레인지, 폐쇄회로카메라, TV용 음극선관, 호환성 공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무역 불균형 원인 분석
1. 무역 불균형 현황 -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증가로 무역 불균형 지속 확대 - 한・중 양국의 통계차이로 무역수지 흑자 규모 차이가 2배에 달해 2. 무역 불균형 원인 분석 가. 직접투자와 무역수지의 상관관계 -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증가와 무역수지 흑자규모 확대는 연해지역 중심으로 正의 상관관계를 보임. 투자 유형별로 '상해형'이 내수시장과 제3국 시장을 주된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무역수지와의 상관관계가 현저함. -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상관관계를 찾기가 곤란. 이를테면, '광동형'의 경우 직접투자와 무관하게 경제발전 수요에 따른 수요 증대로 무역수지 흑자를 가져옴. 나. 통계상의 불일치 - 한국과 중국의 무역 통계 불일치는 홍콩을 경유하여 한・중 양국으로 재수출되는 규모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임. 3. 한・중 무역불균형 원인 분석 □ 직접투자와 관련한 무역불균형 발생 - 한국기업이 직접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산동, 상해 등의 중국 현지법인이 한국에서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생산한 제품을 주로 중국 내수시장이나 제3국 시장에 판매함에 따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이 수출금액을 초과하여 무역불균형 발생 □ 직접투자와 무관한 무역불균형 발생 - 한국기업의 직접투자와 상관없이 광동 등 지역의 조기 개방에 따른 고도 경제성장으로 소비와 투자 등의 수요가 증대되면서 한국으로부터 원・부자재, 소비재 등의 수입규모가 커지면서 무역불균형 발생 □ 홍콩 경유 한・중 양국의 재수출 규모에 의한 무역 통계 차이 발생 - 한국제품이 홍콩을 경유하여 중국으로 수출되는 규모가 중국제품이 홍콩을 경유하여 재수출되는 경우보다 많음으로써 무역 통계차이가 발생. 끝(총8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