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베이징 도심 1・2차 산업 제한 업종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수도기능 강화를 위한 공간・산업 정책방안
베이징시는 <13·5규획>에서 비수도기능의 체계적 해소, 도시기능 재조정, 인구의 합리적 분포, 권역협조발전을 통한 수도의 전략적 지위 확립 강조 베이징시는 도심지역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는 도시 정치·경제·사회 기능을 주변부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1·2차 산업 및 서비스업과 공공서비스업종에 대한 증설 금지 업종 목록을 제시하였음 - 둥청구, 시청구, 차오양구, 하이톈구, 펑타이구, 스징산구의 6개 행정구역의 도심6개구(城六 )는 비수도 기능 해소 정책의 주요 대상지임 - 퉁저우구, 순이구, 다싱구, 팡산구, 창핑구의 5개 행정구역으로 구성된 평야지구는 기능 이전 대상지이자 신기능의 발현지역으로서 주목됨 - 먼터우거우구, 핑구구, 화이러우구, 미윈구, 옌칭구로 구성된 산간지구는 징진지 서북부 생태보호지대, 수도생태방어벽이자 수자원보호지역으로서 수도생태문명건설의 선행구임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관련 허베이 지급시 정책동향
<출처: 京津冀一 化的 在 未 , 京 , 2014-03-3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허베이 공항 신설 및 발전 계획
징진지 지역의 현대화 공항체계를 위해 베이징신공항, 허베이성의 베이다이허, 청더, 싱타이공항의 건설을 추진함 - 스자좡공항을 화북지역의 항공운수허브로 육성하고, 베이징과 톈진의 주요 예비비행장으로 활용할 계획 <출처: 一 看 河北省“京津冀交通一 化 ”, 人民 , 2016-04-0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허베이 주요 항구 발전 전략
허베이성과 톈진시의 해양교통 계획은 환발해를 뛰어넘어 중국 최대 항구크러스트 공동건설로 뛰어난 육상교통의 발달을 활용해 베이징을 비롯한 내륙도시와의 연계임 - 2020년까지 톈진과 허베이는 물동량 20억 톤, 컨테이너 물동량 3,000만 개 이상을 목표로 하며, 중국 최대의 항구크러스트와 환발해 북방 국제운항센터를 형성할 계획임 친황다오항 - 저탄소, 친환경, 스마트화로 건설된 국내 석탄 물류항 겸 국제 크루즈항 탕산항 - 중국내 대형항구로 동북아지역 경제협력의 허브항으로 수도인 베이징과 환발해지역 각지로 뻗어 나아가는 현대화종합항구단지를 이루고 있음 황화( )항 - 허베이성 창저우에 위치한 황화항은 컨테이너, 광석, 액화공업을 주로 싣는 항구임 <출처: 一 看 河北省“京津冀交通一 化 ”, 人民 , 2016-04-0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허베이-베이징 도로망 연계방안
2015년 12월 8일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징진지협동발전교통일체화규획(京津冀 同 展交通一 化 )》을 발표 - 2020년까지 징진지 지역의 교통 현대화 및 네트워크화를 위한 목표설정을 제시함 - 베이징, 톈진, 스자좡 간 3개의 고속도로와 베이징-톈진을 잇는 국도와 고속도로 교차점을 각각 12개, 15개 늘릴 계획 - 베이징 외곽을 순환도로 전체 완공 목표를 2016년으로 잡고 장자커우, 미윈, 랑팡, 청더 등으로 향하는 고속도로 940㎞를 연장할 계획 <출처: 一 看 河北省“京津冀交通一 化 ”, 人民 , 2016-04-0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기업발전 수준 및 혁신역량
징진지보고서에서 기업역량, 활동, 혁신 등을 기준으로 각 지역의 기업발달수준을 분석함 베이징/톈진/허베이 세지역의 기업발달수준 변화추이는 모두 상승세에 있음 - 베이징은 대외투자액, 현대서비스업기업 비중, 민영기업 비중 등의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기업혁신지표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갖춤 - 톈진은 외자기업 비중, 신규 국내외 투자액 지표가 높고, 신규 특허 등록 증가율이 급증함 - 허베이는 신규기업과 신규 상표등록이 급증함 기업발전지수 TOP10 지역(구, 현)가운데 7개가 베이징에 속함 - 베이징 차오양구의 기업실력과 활동이 가장 뛰어나며, 기업혁신은 하이뎬구가 가장 높음 - 하이뎬구, 차오양구, 둥청구, 시청구가 징진지 기업종합발전수준이 가장 높은 밀집지역으로 나타남 <출처:京津冀 皮 :北京凝聚力下降 城市 不平衡仍在加 , 搜狐, 2016-04-29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지역 응집력 추이
베이징의 종합발전수준은 지난 15년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며 2000년에 비해 6배 증가했으나, 2014년부터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음 - 베이징의 응집력이 약해진 반면 영향력은 강해진 것으로 나타남 도시 응집력은 경제생활 수준, 사회적포용, 교통편의, 공공서비스, 환경미화 등을 지표로 계산함 베이징의 응집력은 2004년 0.9096에서 2013년 0.7640으로 감소했지만, 영향력은 2004년 0.7776에서 2013년 0.8031로 증가함 베이징의 영향력 증가는 베이징지역과 주변부 간의 경제관계가 점차 밀접해지고, 베이징의 비수도기능 해소와 주변지역 발전견인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음으로 의미함 - 응집력지수의 하락은 최근 베이징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도시병’ 해소와 기능분산에 따른 결과라고 보여짐 베이징의 응집력 하락과 동시에 톈진의 응집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2015년 기준 베이징의 상주인구는 2,170.5만 명으로 전년대비 18.9만 명이 증가하며, 최근 5년 들어 가장 적은 증가량을 보임 - 베이징의 계속되는 부동산값 상승과 산업이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출처:京津冀 展 告:北京 周 “虹吸”效 弱, 21世 道, 2016-04-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지역 간 인적자원 수준격차
징진지보고서에서는 인적자원의 발전수준탐색을 통해 도시 간 불평등 정도를 분석함 - 연구에서는 2000년, 2005년, 2010년, 2013년 4개 년도의 징진지인구발전지표를 통해 인구활력, 인구구성, 인구수준 3개 지표를 베이징과 톈진 그리고 허베이 11개 지급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전망함 중국 수도권 지역 간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으며 양극화 현상이 뚜렷함 - 특히 징진지 핵심도시인 베이징으로의 우수인력 밀집현상이 여전하며, 타 도시와 베이징의 인적자원의 격차도 좁혀지지 않고 있음 징진지 지역 인적자원 수준을 3급로 나누어 분류함 1급 도시에 해당하는 베이징, 톈진, 스자좡은 인구 경제활력이 뛰어나고 인구유입이 많으며, 풍부한 노동인구 및 의료·교육 자원 등이 특징을 보임 2급 도시인 싱타이, 청더, 한단, 랑팡 등은 1급 도시들에 비해 역량은 낮지만 특정분야의 우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3급 도시는 인구유출 현상이 심각하며, 노동력 생산구조가 낙후되어 있고, 의료자원의 절대적 부족, 고등교육수준 미달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 - 장자커우, 바오딩, 창저우 등의 도시는 인적자원 기반이 부족하고 1단계 도시와의 격차가 큼 - 사실상 바오딩과 창저우의 경제수준이 낮지 않지만, 경제발전능력과 인구발전능력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告聚焦京津冀人口 展能力:城市 不平衡仍在加 , 中 新 , 2016-04-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협동발전지수 발표
2016년 4월 28일 수도경제무역대학(首都 易大 )과 중국사회과학원이 공동으로《징진지발전보고(2016)(京津冀 展 告)》를 발표 보고서에서는 발전지수, 협동지수, 생태문명지수, 인구발전지수, 기업발전지수의 5개 지표를 통해 징진지협동발전 현황 및 추진방향을 분석함 - 발전지수에 기초하여 지지력, 실행력, 혁신력, 응집력, 영향력 등 5가지로 항목으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은 각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톈진은 뛰어난 응집력, 허베이는 혁신역량이 빠르게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베이징의 종합발전지수는 0.8245, 톈진은 0.4209, 허베이는 0.3687를 기록함 <출처:北京生 文明指 最 , 北京日 , 2016-05-09>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