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 1-규모 및 유형
o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를 발표 - 2015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실태, 한국 내 소비실태, 한국 여행평가를 조사 -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성향을 파악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관광수용태세 개선을 위한 관광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 o 한중DB는《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에서 방한 중국인관광객 관련 자료를 추출해 이를 분석하여 재정리함 - 본 보고서는 방한 중국인관광객 일반현황/방문지역/참여 활동 및 소비분석/여행평가 등 4개의 분야로 나누어 4회에 걸쳐 게시함 <목 차> ■ 방한 중국인관광객 규모 ■ 방한 횟수 ■ 거주지 분포 ■ 방문목적 ■ 방문 선택 시 고려사항 ■ 정보 입수경로 ■ 여행 동반자 ■ 여행 유형 및 체재기간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 2-국내 전국 및 지역별 주요 방문지
o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를 발표 - 2015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실태, 한국 내 소비실태, 한국 여행평가를 조사 -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성향을 파악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관광수용태세 개선을 위한 관광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 o 한중DB는《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에서 방한 중국인관광객 관련 자료를 추출해 이를 분석하여 재정리함 - 본 보고서는 방한 중국인관광객 일반현황/방문지역/참여 활동 및 소비분석/여행평가 등 4개의 분야로 나누어 4회에 걸쳐 게시함 <목 차> ■ 국내 주요 방문지 ■ 지역별 주요 방문지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 3-참여 활동 및 소비・평가
o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를 발표 - 2015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실태, 한국 내 소비실태, 한국 여행평가를 조사 -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성향을 파악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관광수용태세 개선을 위한 관광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 o 한중DB는《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에서 방한 중국인관광객 관련 자료를 추출해 이를 분석하여 재정리함 - 본 보고서는 방한 중국인관광객 일반현황/방문지역/참여 활동 및 소비분석/여행평가 등 4개의 분야로 나누어 4회에 걸쳐 게시함 <목 차> 1. 체험 및 소비활동 2. 방한 중국인관광객 여행 평가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5년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종합)
o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를 발표 - 2015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실태, 한국 내 소비실태, 한국 여행평가를 조사 -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성향을 파악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관광수용태세 개선을 위한 관광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 o 한중DB는《외래관광객 실태조사(2015)》에서 방한 중국인관광객 관련 자료를 추출해 이를 분석하여 재정리함 - 본 보고서는 방한 중국인관광객 일반현황/방문지역/참여 활동 및 소비분석/여행평가 등 4개의 분야로 나누어 4회에 걸쳐 게시함 <목 차> 1. 개요 2. 규모 및 유형 3. 주요 방문지 4. 주요 활동 및 소비·평가 5. 종합
홈 > 최신중국동향 -
[물류] 2015년 중국 지역별 항운 물류 규모
중국민용항공국(中 民用航空局)은 2016년 3월 중국의 민용공항 210곳에 대한 통계공보와 민항공항 물동량 순위를 발표 2015년 중국 공항의 총 여객물동량은 91,477.3만 명으로 국내선이 82,895.5만 명, 홍콩·마카오·대만 2,803.6만 명, 국제선 8,581.8만 명으로 집계됨 중국의 2015년 항공 화물물동량은 1,409.4만 톤으로 전년대비 3.9% 증가함 - 국내선 화물물동량은 918만 톤으로 3.7% 증가한 가운데, 홍콩·마카오·대만 노선은 89.9만 톤으로 0.7% 감소함 - 국제선 물동량은 491.4만 톤으로 4.4% 증가함 중국의 31개 지역별 공항의 여객·화물물동량은 <그림 4>와 같음 중국에서 여객물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광둥성으로 104,936,003명이며, 상하이시 99,188,938명, 베이징시 95,204,250명, 윈난성 52,342,654명, 쓰촨성 47,401,163명 순으로 나타남 화물물동량도 상하이시, 광둥성, 베이징시가 각각 3,708,831톤, 2,603,577톤, 1,926,195톤으로 가장 많음 <출처: 2015年全 机 生 公 , 中 民用航空局, 2016-03-31>
홈 > 최신중국동향 -
[물류] 2015년 중국 지역별 해운 물류 규모
중국교통운송부(中 人民共和 交通 部)는 주요항만의 월별 화물/여객물동량을 집계하고 있음 - 중국의 주요 연해항은 톈진항, 허베이성 탕산항, 랴오닝성 다롄항, 상하이항, 저장성 닝보항 등 총 19개임 - 주요 내륙항 창장(長江)유역의 장쑤성 쑤저우항, 난징항, 난퉁항 등 16개임 2015년 1-11월 주요 항구의 화물물동량은 1,049,814만 톤으로 전년대비 2% 증가함 - 연해항의 화물물동량은 719,992만 톤으로 1.1% 증가 - 내륙항의 화물물동량은 329,882만 톤으로 4% 증가 연해항 가운데 저장성 닝보항의 화물물동량이 82,290만 톤으로 가장 많으며, 상하이항 59,435만 톤, 톈진항 49,506만 톤, 광둥성 광저우항 45,454만 톤 순으로 나타남 내륙항은 창장하류지역인 장쑤성과 저장성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음 - 내륙항 가운데 장쑤성 쑤저우항이 49,286만 톤으로 가장 많으며, 장쑤성 난징, 난퉁, 타이저우, 충칭 순임 2015년 1-11월 규모이상 항구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19,210.32만 TEU로 4.2% 증가함 - 연해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17,200.17만 TEU으로 3.7% 증가 - 내륙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0.15만 TEU으로 8.2% 증가 2015년 1-11월 규모이상 항구의 여객물동량은 7,872만 명으로 4.2% 증가함 - 연해항 여객물동량은 6,798만 명으로 0.3% 증가 - 내륙항 여객물동량은 1,074만 명으로 12.5% 감소 <출처: 中 人民共和 交通 部, 2015年11月 模以上港口 物、旅客 吐量, 2015-12-1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 수출입 규모
수출입 측면에서도 충칭, 청두, 시안이 상대적으로 강한 역량을 보이고 있으며, 반면 다른 도시들의 수출입량은 매우 미미한 수준임 - 충칭시의 경우 서부 지역 최대 수출입 총량규모로 68,704.1백만 달러, 최근 5년 평균 증가율 역시 73.3%에 달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 FDI 규모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의 대외경제역량을 FDI와 수출입규모로 파악하고자 함 FDI 규모는 청두가 11,216백만 달러로 가장 크고, 충칭시 10,597.2백만 달러, 시안은 3,129.9백만 달러임 - 우루무치, 인촨, 시닝, 란저우는 각각 117.9백만 달러, 129백만 달러, 24.8백만 달러, 21.3백만 달러로 상대적으로 매우 규모가 작음 인촨시는 2011년 FDI 규모가 187.1백만 달러로 크게 급증해 5년 평균증가율이 73.6%로 매우 높게 나타남 - 청두와 충칭도 각각 39%와 34.3%의 5년 평균증가율을 보이는 등 서부지역의 가파른 성장세가 돋보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 생산・소비 규모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중앙아시아로 이어지는 우루무치는 교통·물류 허브이자 문화·과학·교육 중심으로서 실크로드경제벨트의 핵심지역으로 육성 - 시장자치구 라싸는 네팔 등 변경무역( 境 易) 및 여행·문화 협력 추진 - 시안시는 새로운 내륙개방경제핵심지역으로 개발 - 란저우시와 시닝시는 내륙개방형경제실험구로 육성 - 인력자원이 풍부하고 산업기초가 상대적으로 잘 갖추어져 있는 충칭시와 청두시는 서부개발과 대외개방의 중요한 버팀목이자 내륙개방형 경제기지로서 역할을 담당 실크로드 경제벨트 거점도시의 GRDP 규모는 직할시인 충칭시가 1,2783.3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청두시 9,108.9억 위안, 시안시 4,884.1억 위안으로 서부대개발 핵심도시의 규모가 큼 사회소비품판매총액 규모는 충칭 5,066.8억 위안, 청두 3,752.9억 위안, 시안 2,548억 위안, 우루무치 970억 위안, 란저우 843.9억 위안 순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김수한·유다형(2015), “중국 실크로드경제벨트와 서부거점도시의 성장”, 『IDI 도시연구』 9: 251-26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일대일로 중국 거점도시 개요
2013년 9월 7일 시진핑 주석의 카자흐스탄 방문 당시 처음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공동 건설에 관한 중대 전략 구상이 제기됨 - 2014년 3월 리커창 국무원 총리의 《정부공작보고》에서 실크로드 경제벨트, 21세기 해상실크로드건설의 적극 추진을 언급 - 2015년 3월 28일 《실크로드 경제벨트 및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계획(推 共建 之路 和21世 海上 之路的愿景 行 )》을 발표 《실크로드 경제벨트 및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계획》은 일대일로 5대 중점정책을 제시함 - ▲정책소통(政策 通), ▲인프라 연결( 施 通), ▲무역 활성화( 易 通), ▲자금융통( 金融通), ▲민심상통(民心相通) <계획>에서 제시한 권역별 주요 세부정책 내용을 기초로 실크로드 경제벨트 지역 8개 거점도시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지역 12개 거점도시를 선정해 GRDP, 사회소비품판매총액, FDI, 수출입 규모와 5년 평균증가율을 정리함 -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충칭, 쓰촨성 청두, 산시(陝西)성 시안, 신장자치구 우루무치, 닝샤자치구 인촨, 칭하이성 시닝, 깐수성 란저우, 시짱자치구 라싸를 거점도시로 선정함 -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는 연해 항구도시인 톈진, 랴오닝성 다롄, 상하이, 저장성 닝보, 푸젠성 푸저우와 샤먼, 광둥성 광저우와 선전, 광시자치구 난닝, 하이난성 하이커우, 윈난성 쿤밍을 거점도시로 선정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김수한·유다형(2015), “중국 실크로드경제벨트와 서부거점도시의 성장”, 『IDI 도시연구』 9: 251-265.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