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해상 실크로드 거점도시 수출입 규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수출입은 선전과 상하이가 선도하고 있음 - 선전 537,475백만 달러, 상하이는 441,398백만 달러로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 수출입 전체 규모의 60%에 달함 - 톈진, 광저우, 닝보가 각각 128,528백만 달러, 118,896백만 달러, 100,329백만 달러로 선전, 상하이와는 차이가 있음 난닝의 수출입 규모는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이 22.7%로 급증했지만, 4,421백만 달러 수준의 적은 규모를 보임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 간의 일정한 경제역량 차이는 자유무역시험구 지정 등 제도적 여건에 따라 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 - 중국은 2013년 8월 22일 지정된 중국(상하이)자유무역시험구를 운영하면서 일정한 정책적 성과를 거둔 바 있으며, 2015년 4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확대와 함께 톈진, 푸젠, 광둥까지 추가하여 관련 시범사업을 수행 중임 - 상하이시는 자유무역구 제도를 통해 투자·무역 자유화 및 편리화를 위한 다양한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외국인투자를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제한 또는 금지되는 항목을 열거하여 규정하는 네거티브리스트는 139개 항목으로 2013년 설립시보다 51개 항목을 축소 시행 중임 <출처:1. 중국국가통계국 2. 중국국무원, 《推 共建 之路 和21世 海上 之路的愿景 行 》, 2015-03-28 3. 김명아(2016),“중국의 무역 관련 시범지역 제도 활용을 통한 한중협력 제고 방안”,INChina Brief. Vol.321.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해상 실크로드 거점도시 FDI 규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FDI 규모는 톈진, 상하이, 다롄의 순이며, 그 성장률에 있어서도 다롄 27%, 톈진 17.9% 그리고 상하이 10% 순으로 높은 해외자본 유입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FDI 규모는 상하이와 광둥성의 광저우, 선전이 각각 21,818.2억 위안, 15,420.1억 위안, 14,500.2억 위안으로 가장 큼 - 칭다오의 FDI 성장률도 19.5%에 달함. 비록 난닝과 쿤밍의 수출입 성장률은 각각 21%와 24.7%에 달하지만, 규모가 작음 <출처: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해상 실크로드 거점도시 생산・소비 규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GRDP와 사회품판매총액 규모는 상하이와 광둥성의 광저우, 선전 그리고 환발해 권역의 톈진시가 모두 상위 4위를 기록 4개 상위 도시의 GDRP를 합친 규모는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 전체의 63.75%, 사회품판매총액은 전체의 61% 수준임 - 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 가운데, 화남 권역의 난닝, 하이커우, 쿤밍의 경제 역량은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3개 도시의 GDRP를 합친 규모는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 전체의 6.8%, 사회품판매총액은 전체의 9.1% 수준이며, FDI와 수출입 비중은 각각 3.9%와 1.6%에 불과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GRDP 규모는 상하이와 광둥성의 광저우, 선전이 각각 21,818.2억 위안, 15,420.1억 위안, 14,500.2억 위안으로 가장 큼 사회품판매총액 역시 상하이, 광저우, 선전 순으로 소비시장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남 해상실크로드 거점도시의 GRDP 평균 성장률은 14.3%로 매우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의 측면에서도 거점도시 모두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해상 실크로드 거점도시 개요
해상 실크로드는 푸젠성을 중심으로 중국 동부 연해 도시들의 항만시설 확대·강화하여 연해지역을 시작으로 중남해를 지나 인도양을 거쳐 유럽까지 뻗어나가는 해상교역로 건설 프로젝트임 - 상하이, 톈진, 닝보, 광저우, 선전, 잔장(湛江), 산터우(汕 ), 칭다오, 옌타이, 다롄, 푸저우(福州), 샤먼(厦 ), 취안저우(泉州), 하이커우(海口), 싼야(三 )의 항구 건설 - 상하이·광저우 국제공항 허브 기능 강화 지역별 해상실크로드 관련 정책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상하이는 자유무역실험구의 적극적인 활용 - 푸젠성은 취안저우, 푸저우, 샤먼, 핑탄을 선도로 한 대외역량 및 대만과의 협력 강화 - 윈난성은 주변국가와의 국제운송통로 건설, 경제협력의 새로운 지역으로 동남아시아의 창구 역할을 기대 - 광시자치구는 베이부완(北部灣)경제구와 주장(珠江)-시장(西江)경제벨트의 발전을 통해 아세안지역의 통로역할과 서남지역 개방의 전략적 위치해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해상실크로드를 연결하는 거점지역으로 지정 - 지역출신 화교자본의 투자유치를 통해 일대일로 활성화 도모 <출처: 중국국무원, 《推 共建 之路 和21世 海上 之路的愿景 行 》, 2015-03-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대외경제 규모
징진지 지역의 대외경제 규모를 살펴보기 위해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과 중국 타 성급 지역의 수출입규모와 FDI 규모를 비교함 중국의 지역별 수출입 규모는 <그림 6>과 같이 동남부 연해지역과 중서부 내륙 간의 격차가 매우 큼 - 광둥성의 수출입 규모는 1,076,584백만 달러로 전국의 25%에 달함 2014년 징진지 지역의 수출입 규모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가 각각 415,519백만 달러, 133,886백만 달러, 59,877백만 달러로 4위, 8위 13위를 차지함 - 징진지 지역 수출입 규모의 합은 609,282백만 달러로 전국의 14.15%에 달함 - 베이징의 수출입 규모는 전국 대비 9.65%, 톈진시는 3.11% 그리고 허베이성은 1.39%의 비중을 보임 해외직접투자 규모 역시 동남부 연해지역의 규모가 매우 큼 - 해외직접투자 규모 상위 3위에 랭크되어 있는 장쑤성, 광둥성 그리고 상하이시는 각각 전국 총규모의 18.9%, 14.8%, 13.9%를 차지하여, 합치면 절반 수준인 47.6%에 달함 징진지를 구성하는 베이징시의 FDI는 201,027백만 달러로 5위, 톈진시는 144,146백만 달러로 9위 그리고 허베이성은 62,135백만 달러로 14번째 순위를 보임 - 징진지 지역 FDI 규모 합은 407,308백만 달러로 전국 총규모의 10.7% 비중임 - 베이징시의 FDI 비중은 5.3%, 텐진 3.8%, 허베이성 1.6%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소비경제 규모
징진지 지역의 소비경제 규모를 살펴보기 위해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과 중국 타 성급 지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과 1인당 소비지출을 비교함 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각각 9,638억 위안, 4,738.7억 위안, 11,820.5억 위안으로 직할시인 베이징과 톈진은 각각 전국 11위, 23위의 순위를 보임. 허베이성은 9위를 차지 - 징진지 지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26,197.2억 위안으로 전국의 9.6%를 차지 1인당 소비지출 역시 징진지 지역의 두 직할시의 순위가 높음 - 베이징의와 톈진의 1인당 소비지출은 각각 31,102.9위안, 22,343위안으로 전국 31개 성시 가운데 2위와 4위의 순위를 보임 - 반면 허베이성의 1인당 소비지출은 11,931.5위안으로 21위임 - 징진지 지역 1인당 소비지출 평균액은 21,792.5 위안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지역내총생산 규모
징진지 지역의 지역경제 규모를 살펴보기 위해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과 중국 타 성급 지역의 GRDP와 1인당 GRDP를 비교함 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GRDP 규모는 각각 21,330.8억 위안, 15,726.9억 위안, 29,421.2억 위안으로 직할시인 베이징과 톈진은 각각 전국 13위, 17위의 순위를 보임. 허베이성의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6위를 차지 - 징진지 지역의 GRDP 규모는 66,478.9억 위안으로 광둥성 다음의 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전국 GDP의 9.7%를 차지 1인당 GRDP로 보면, 징진지를 구성하는 직할시는 전국 최상위의 경제 역량을 보이고 있음 - 톈진이 1인당 GRDP는 1105,231위안으로 전국에서 1위이고 베이징이 그 다음 규모를 보임 - 반면 허베이서의 1인당 GRDP는 39,984위안으로 전국 18위 임 - 징진지 지역 1인당 GRDP 평균은 81,737위안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및 타 성시 기본 경제현황
중국 정부는 수도인 베이징(北京) 및 인접 톈진(天津)직할시를 두 핵으로 하고 허베이(河北)성의 여러 도시들을 포괄하는 광역수도권의 지역발전 계획인 징진지(京津冀: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약칭) 일체화 구상을 제기 2015년 5월 마스터플랜인 <징진지협동발전전략>이 국가급 전략으로 채택. 중국 13차5개년경제발전계획(2016-2020년)기간 징진지 프로젝트 본격 추진 전망 징진지 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 및 소비·대외경제 지표 정리를 통해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 전략의 여건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베이징시, 톈진시, 허베이성 및 타 성급 지역의 경제지표를 <표1>과 같이 정리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허베이성 산업특화도
허베이성의 산업특화도는 다음 <그림 4>와 같음 석탄 자원이 풍부한 허베이성의 채광업 입지상 계수는 1.30, 전력, 가스, 용수 생산·공급업은 1.64로 나타남 - 허베이성의 연간 광물채굴량은 약 5억 톤으로 채광업 총생산액은 362억 위안에 달함 - 허베이는 중국 13개 석탄기지 가운데 한 곳으로 싱타이, 한단, 장자커우 등 8개 지역에 대형 탄광이 있음 허베이성의 제조업 특화도는 0.77을 기록, 인접한 톈진시에 비해 관련 산업의 특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보통 수준을 보임 허베이성에는 LQ계수가 1.37를 기록하고 있는 금융업을 제외하고 생산자서비스업과 소비자서비스업 가운데 특화도를 보이고 있는 업종이 부재 반면 공공 서비스업은 교육, 수리·환경 및 공공시설 관리업, 위생 및 사회보장과 사회 복지업, 공공관리·사회조직업이 각각 1.57, 1.32, 1.28, 1.65로 공공서비스업의 특화도가 높음 <출처: 中 城市 年 (2014년), http://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톈진시 산업특화도
톈진시는 1차 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산업이 보통산업 수준으로 특화정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 톈진시의 LQ계수가 1.25이상인 산업은 4개로 제조업, 부동산업, R&D 서비스업, 주민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업이 특화되어 있음 2차 산업 기반이 잘 갖추어져 있는 톈진의 제조업 LQ계수는 1.37을 기록하고 있음 톈진시의 생산자서비스업 가운데 부동산업과 R&D서비스업의 LQ계수를 각각 1.42, 1.70을 기록 반면 톈진시의 공공서비스업의 특화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주민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업 LQ계수는 3.07을 기록, 톈진시의 3차 산업 발전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음 <출처: 中 城市 年 (2014년)>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