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베이징시 산업특화도
징진지 지역 도시들의 산업특화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도시통계연감의 2013년 기준 업종별 종사자수 수치를 활용하여 입지상(Location Quotient, LQ)계수를 산출함 - 입지상 분석은 비교대상지역의 전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특정지역 산업의 전국의 동일한 산업에서 차지한 비중의 상대적 크기임 - 한 지역의 특정산업의 특화 또는 전문화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 산업의 특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입지상 계수가 1.25 이상인 산업을 특화산업, 0.75이상 1.25 미만이면 보통산업으로 간주 중국도시통계연감에 데이터가 있는 총 19개 산업을 1차, 2차, 3차 산업으로 기본 분류하고, 14개의 3차 산업은 생산자 서비스업, 소비자 서비스업, 공공 서비스업으로 재분류함 - 서비스업은 통상 생산자 서비스업과 소비자 서비스업으로 분류 - 이 글에서는 소비자 서비스업 가운데 정부 및 기타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는 업종을 공공 서비스업으로 따로 구분하여 살펴봄 -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거치면서 중국 도시지역의 공공 서비스업은 3차 산업의 발전 여부와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서비스업이 뒤쳐져 있는 도시일수록 공공서비스업 산업특화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 2013년 기준 징진지 지역의 입지상 계수를 산출하면 다음 <표 1>과 같음 베이징시는 3차 산업이 고도로 특화되어 있음 - 3차 산업 가운데 생산자 서비스업과 소비자 서비스업이 모두 높은 LQ 계수를 보이고 있음 - 임대 및 비즈니스서비스업의 LQ계수가 3.68, IT·SW 서비스업 3.7, R&D 서비스업 3.84를 기록 - 반면 베이징시의 공공서비스업 LQ계수는 0.71에서 1.05사이를 기록, 보통의 산업특화도를 보임 <출처: 中 城市 年 (2014년)>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지역 산업비중
2014년 기준 징진지 지역의 산업비중은 다음 <그림 1>과 같음 베이징시의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비중은 0.7 : 21.3 : 77.9로 중국에서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높은 도시임 - 두 번째로 높은 도시는 상하이가 64.8%로 베이징과 13.1%p 차이임 톈진시 산업비중은 1.3 : 49.2 : 49.6로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비중이 비슷한 수준임 허베이성의 산업비중은 11.7 : 51.0 : 37.3로 2차 산업의 비중이 가장 크고, 1차 산업 비중도 중국 평균(9.8%)보다 높음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관춘과학기술혁신시범구 기업 순위
2015년 기준 중관춘 과학기술혁신시범구 소재 상장기업은 총 281개로 집계됨 -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48,896.3억 위안으로 3년 연속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임 - 그 가운데 레노보, 징동 등 7개 선도기업은 미국 포춘지가 발표한 2016년 세계 500대 기업에 선정됨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 매년 발표하는《중관춘지수분석보고》를 통해 소재 기업의 발전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음 - 2015년 발표《중관춘지수분석보고》에 따르면 중관춘 상장기업 가운데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중국최대 검색 포털사이트인 바이두임 - 다음으로는 다국적 민영기업인 레노보, 롱위안전력, 치후 등이 뒤를 잇고 있음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 소재 상장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기업 순위는 <표 2>와 같음 <출처: 《中 村指 2014分析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관춘과학기술혁신시범구 현황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면적, 기업수, 수입, 이윤 등 기본 경영 현황은 다음 <표 1>과 같음 2014년 중관춘혁신시범구의 총 계획면적은 38,611ha이며, 지역별로는 하이뎬원의 면적이 13,242ha로 가장 넓고, 창핑원이 5,140ha로 두 번째로 넓음 중관춘의 총 기업 수는 35,026개로 하이뎬원에 2만 247개의 기업이 입주해있음 - 하이뎬 다음으로 기업이 많은 시범구는 펑타이로 5,303개, 창핑 2,576개, 스징산 2,429개 순으로 나타남 총수입 역시 하이뎬시범구가 14,449억 위안으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차오양, 이좡, 펑타이, 창핑 순으로 나타남 <출처: 北京 年 (2014년)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관춘과학기술혁신시범구 분포
중관춘시범구는 현재 베이징시 내 16개 시범구가 조성되어 있고, 다음 <그림 1>의 노란색으로 구역이 표시되어 있음 각 지역명에 따라 둥청원( 城 ), 시청원(西城 ), 차오양원(朝 ), 하이뎬원(海淀 ), 펑타이원( 台 ), 스징산원(石景山 ), 먼거터우원( ), 팡산원(房山 ), 퉁저우원(通州 ), 순이원( ), 다싱-이좡원(大 -亦庄 ), 창핑원(昌平 ), 핑구원(平谷 ), 화이러우원( 柔 ), 미윈원(密云 ), 옌칭원(延 )으로 불림 시범구 중 가장 규모가 큰 하이뎬원은 1980년 중국의 첫 번째 민영과학기술기구임 - 많은 IT 회사를 탄생시키며 중국 과학기술발전에 선두역할을 함 - 레노보 등 중국 대기업과 세계 500대 기업의 중국지사가 위치 - 중국과학기술원 연구진들이 설립한 중관춘 최초의 민영기업을 모태로 하는 레노보는 2005년 IBM의 PC부문을 인수, 최근 모토로라등을 인수하며 세계적 다국적 IT기업으로 성장 하이뎬원의 주요 산업은 소프트웨어, 직접회로, 신소재, 바이오의약, 광학/기계/전자 일체화 등으로 중국의 전자정보산업의 선두역할을 지속 - 대학연구소와의 연계, 귀국 유학생 창업인큐베이팅 등을 통해 신흥산업 육성 플랫폼으로 기능 1991년 설립된 창핑원은 에너지기술, 바이오의약, 선진제조, 신소재, IT를 5대 산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창핑구에는 중국석유대학과 베이징 화공대학 등이 소재하고 있어 풍부한 인력 자원이 있음 펑타이는 베이징의 서남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편리한 교통, 깨끗한 환경 등 투자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음 - 소프트웨어, 바이오, 광기전 관련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고, 신소재, 신에너지, 고효율 에너지절약 등 첨단기술 기업 크러스트를 형성 <출처: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 홈페이지(http://www.zgc.gov.cn/)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관춘 과학기술경제 플랫폼의 형성
개혁개방과 중관춘의 시작 - 개혁개방 초기인 1980년 10월, 미국 벤처산업의 산실인 실리콘밸리를 시찰하고 온 중국과학원(中國科學院)소속 연구진들은 베이징시과학기술협회의 지원 아래 전자기술 분야 소규모 민영기업을 최초로 창업 - 1984년 점차 많은 과학연구자들이 중국과학원 및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런민대학, 중국공업대학 등 주요 대학들이 밀집해 있는 베이징 외곽지역인 중관춘에 과학기술 분야 민영기업을 설립하기 시작함 - 1987년 중관춘대로에 100여 개의 기업이 밀집, “전자일번지”라고 불림 중관춘 과학기술경제 플랫폼의 조성 - 1988년 5월 10일 국무원은《베이징신기술산업발전실험구임시조례》를 비준, 중관춘을 중심으로 베이징시 하이뎬구에 100㎢ 면적의 신기술산업개발구를 조성 - 1994년 4월 시험구를 베이징 외곽의 펑타이( 台)와 창핑(昌平)에 별도로 설립 - 1999년 1월 다싱(大 ), 이좡(亦庄), 전자성( 子城)을 추가로 조성 1999년<베이징시신기술산업개발실험구>를 <중관춘과기원구>로 개칭 - 2006년 중관춘을 국가급 개발구로 지정하고 베이징 전역의 10개 과학기술산업단지를 포괄 중관춘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지정 - 2009년 중관춘 과학기술원구를 국가급 자주혁신시범구로 지정하고 명칭을 중관춘국각자주혁신시범구로 변경 - 2012년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를 10개에서 16개로 확대 <출처: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 홈페이지(http://www.zgc.gov.cn/)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장자커우・청더 징진지 관련 정책 동향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는 장자커우, 청더 및 옌산(燕山), 타이항산(太行山) 등을 포함하는 서부생태보존구는 우수한 생태환경 및 풍부한 수자원 등 자연여건을 활용한 지역발전에 주력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이를 위해 생태보호, 수자원보존, 관광휴양, 녹색상품공급 등의 기능을 제고하여 고원생태보호지와 옌산, 타이항산생태보존구 건설, 징진지생태보호지대 조성, 생태보호문명시범구 구축을 도모 - 동계올림픽 개최를 기회로 활용하여 생태저탄소도시 건설을 가속하는 한편, 청정에너지, 신소재, 장비제조, 농부산물가공, 문화관광, 휴양관광, 건강휴양 등의 산업 발전을 통해 녹색생태산업체제를 완비할 수 있도록 함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장자커우시를 국가재생에너지시범지역이자 국제레저스포츠관광지, 국제올림픽 신도시로 조성하고, 베이징과의 동계올림픽 공동개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태, 관광, 헬스, 신에너지, 첨단제조업 등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 - 장자커우시는 시의 <13·5규획>을 통해 징진지 관련 생태환경 정책 방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 ▲수도생태복원지 건설 ▲청정수자원 공급 보장 ▲최우수 환경 수준 유지 ▲전지역 국가공원 건설 등을 목표로 제시 - 베이징으로부터의 비수도기능의 이전을 통해 ▲타지역간 우위산업체인 조성 국제적 재생가능에너지 혁신산업체인 구축 ▲그린안전클라우드산업체인 형성 ▲클라우드 장비우위산업체인 구축 ▲징진지일체화 관광발전구조 형성 ▲“건강 장자커우”브랜드 조성 ▲징진지채소생산기지와 친환경농산물식품공급기지 조성 등을 목표로 함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청더시를 국가녹색발전 선도지역이자 국가그린데이터센터, 국제관광도시로 육성하여, 문화관광, 건강양로, 청정에너지, 티타늄신소재, 그린데이터센터, 절전친환경, 현대물류 등 산업 육성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 특히 청(淸) 황제의 휴양지였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브랜드화 하여 실버휴양, 의료위생 등 분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모색 - 청더시는 시의 <13·5규획>을 통해 의료휴양을 비롯한 공공사회서비스 이전과 관련한 협력방향과 과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 청더시는 시의 <13·5규획>을 통해 시를 동서남부 4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징진지 관련 특화기능을 강조하고 있는데 ▲중부는 비수도기능 승계의 핵심지역으로 관련 산업, 공공서비스 자원 이전을 도모 ▲북부는 생태보호구역이며 ▲서부는 환징진산업승계 발전지역으로서 첨단산업, 본사경제, 과학기술 등 이전에 중점을 두고 산업단지를 적극적으로 조성 ▲동부에는 출해항구와 인접한 지리적 우위를 발휘하여 수출주도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도록 함 <출처: 허베이성 및 11개 지급시 <13.5 규획>>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스자좡・한단・싱타이・헝수이 징진지 관련 정책 동향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는 스자좡시, 한단시, 싱타이시, 헝수이시로 구성되어 있는 중남기능개척구는 양호한 산업기반, 풍부한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과학기술 성과의 산업화, 하이테크산업 발전, 농축산물의 공급능력 제고에 주력하는 발전 방침을 제시 중남기능개척구를 ▲허베이성 산업고도화의 중요한 동력지대이자 도농통합 시범지역으로 육성 ▲베이징, 톈진으로부터 이전되는 전략적 신흥산업 및 현대서비스업을 적극적으로 수용 ▲이를 위해 각 도시는 정딩신구(正定新 ), 지난신구(冀南新 ), 싱동신구(邢 新 ), 빈후신구( 湖新 ) 발전에 박차를 가하도록 함 - <13·5규획>기간 중남기능개척구는 비철금속, 건축자재, 방직의류 등 전통산업의 개조와 고도화에 주력하는 한편, BIO, 첨단장비, IT, 절전환경보호 등 선진제조업과 현대상품물류, 현대농업 발전에 주안점을 둠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스자좡시를 허베이성의 경제중심이자 국가의 중요한 종합교통허브·물류중심지로 육성하여, 과학기술혁신 및 문화 선도 역량 제고, 종합교통허브 기능 강화, BIO, 차세대통신, 첨단장비, 절전친환경, 비즈니스물류 등 산업발전 방향을 제시함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한단시를 선진제조업기지이자 상품물류중심지로 육성하고 과잉생산해소 및 환경오염 방지에 주력하여, 선진장비제조, 정밀철강, 신에너지 및 관련 자동차, 신소재, 현대물류 등 산업육성 방안을 제시 - 한단시는 시의 <13·5규획에서> 징진지 전략과 관련하여 ▲산업연계 플랫폼 건설 강화 ▲징진과학연구성과전환 운영 ▲징진식품공업 확대 1순위 대상지 조성 ▲징진우수의료교육자원 협력 우선지 조성 ▲징진여행목적지 조성 등을 목표로 함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싱타이시를 신에너지산업기지이자 산업전환고도화 시범지, 허베이중남부 물류허브도시로 육성, 산업전환과 생태환경보호에 주력하는 한편, 선진장비제조, 신에너지 및 관련 자동차, 절전친환경, 현대농업, 현대서비스업 등을 발전방안을 제시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헝수이시를 허베이성 중남부 교통물류 허브, 안전식품 및 우수농산물생산가공배송기지, 생태보호기지, 기술성과전환기지, 교육의료휴양기능의 이전 대상지로 조성하며, 징진지 등 국가전략을 적극 활용, 장비제조, 식품가공, 절전친환경, 방직의료, 현대농업 등 산업 발전 방안을 제시 - 헝수이시는 시의 <13·5규획에서> 징진지 전략과 관련하여 ▲산업연계 플랫폼 건설 강화 ▲징진지그린농산품공급기지 ▲징진생태보호장벽기지 ▲징진기술성과전화 및 산업승계기지 ▲징진교육·의료 및 휴양·헬스 기능 완화 기지 조성 등을 목표로 함 <출처: 허베이성 및 11개 지급시 <13.5 규획>>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탕산・창저우・친황다오 징진지 관련 정책 동향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탕산, 창저우, 친황다오를 포함하는 연해선도발전구를 ▲임항산업,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을 통해 허베이성의 개방형 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발전 ▲신형중화학공업 이전의 적극적 수용을 통해 선진제조업, 전략적 신흥산업, 생산자서비스업 및 해양경제 산업을 발전 ▲임항산업단지 건설과 고도화를 통해 높은 수준의 임해신도시 구축 ▲차오페이뎬을 세계 일류의 석유화학공업기지로 육성 ▲보하이신구를 세계적 선진 합성재료, BIO, 장비제조 기지로 육성 ▲베이다이허신구를 생명건강산업 혁신 시범구로 조성 방안을 제시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는 탕산시와 관련하여 ▲동북아경제협력의 문호도시이자 환발해지역의 신형공업화 기지, 수도경제권의 중요한 지점으로 조성 ▲순환경제, 정밀철강, 첨단장비, 석유화공, 현대물류 발전 방안을 제시 - 탕산시는 시의 <13·5규획>을 통해 징진차오페이뎬협동발전시범구, 진지-루타이·한구(芦台· 沽)협동발전시범구, 탕산하이테크개발구의 역할과 중점 분야를 강조하고 있는 동시에 소규모 거점 건설을 통한 특성화 승계플랫폼 조성을 강조 관련 내용은 탕산시 <13·5규획>.pp.45-47 참고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는 창저우시를 ▲징진지도시군의 중요 산업기반, 자 국가화공·에너지비축기지· 허베이 중남·내륙의 출해항구로 육성하며 ▲석유화공, 정밀화공, 자동차제조, 청정에너지, BIO, 현대물류 산업 육성 방침을 제시 - 창저우시는 시의 <13·5규획>을 통해 산업, 과학기술, 인재, 교육, 의료 등과 관련하여 베이징, 톈진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는 친황다오시를 국제임해휴양레저도시, 국제건강, 과학기술, 녹색발전도시로 육성하며, 첨단장비, IT, 휴양관광, 건강휴양 등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방침을 제시 <출처: 허베이성 및 11개 지급시 <13.5 규획>>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바오딩・랑팡 징진지 관련 정책 동향
허베이성 <13·5규획>에서는 다음과 같이 징진지 전략에 따른 베이징의 공간 구획과 산업배치에 보조를 맞추어 허베이성 11개 지급시를 ▲환징진핵심기능구 ▲연해선도발전구 ▲중남기능개척구 ▲서부생태보존구의 4대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을 재구성함 베이징 및 톈진에 접해 있는 바오딩시와 랑팡시를 환징진핵심기능구로 지정해 지리적 우위를 적극 활용, 비수도기능 해소 및 베이징, 톈진으로부터의 산업이전 수용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베이징, 톈진과의 상호기능 보완을 통해 징진지 전략의 핵심구역으로 육성하고 허베이성의 신성장지대로 발전시키고자 함 - 또한 전략적 신흥산업, 현대서비스업, 도시현대농업, 선진제조업 발전에 주력, 바이양과학기술단지(白洋淀科技城), 베이징신공항임공경제구(北京新机 空 ), 징난과학기술성과전환실험구(京南科技成果 化 ) 등의 기능 이전단지를 조성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바오딩시와 관련하여 ▲선진제조업과 전략적 신흥산업 기지로 육성 ▲징진지협동혁신실험구역, 신형도시화 및 도농통합시범구, 녹색저탄소살기 좋은 생태문명 도시로 조성 ▲자동차· 부품, 신에너지, 항공우주 및 신소재, 절전친환경, 스마트제조 등 선진제조업, 현대농업, 현대서비스업 등 발전 주력 등의 방침을 제시 허베이성은 <13·5규획>에서 랑팡시를 ▲베이징, 톈진 산업이전 지역으로서 과학기술 육성기지이자 전략적 신흥산업·현대서비스업 집중지역으로 조성 ▲생태·스마트·휴양·비즈니즈 중심지 ▲IT, 신소재, 절전친환경, 선진제조, BIO, MICE, 현대물류 등 산업 육성 방침 등을 제시 <출처: 허베이성 및 11개 지급시 <13.5 규획>>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