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웨이하이시 스마트 도시 및 시정서비스 관련 정책
웨이하이시 <인터넷+실시방안>에서는 시정서비스 및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사업내용을 제시하고 있음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과 관련 하여 교육 분야 5건, 관광 분야 2건, 교통 분야 3건, 인프라 및 도시관리 분야 각각 1개의 사업을 제시하고 있음 시정서비스와 관련하여 치안 분야 7건, 교통분야 2건, 국토지리정보 분야 2 건, 사회관리 분야 4건의 사업을 제시하고 있음 <출처: 《威海市推 “互 +”行 施方案》>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웨이하이시<인터넷+행동실시방안> 전자상거래 분야
웨이하이시 정부는 2016년 2월22일 《웨이하이시 인터넷+행동실시방안(威海市推 “互 +”行 施方案)》을 발표 중앙정부 및 산둥성정부의 인터넷+ 정책에 보조를 맞추어 웨이하이시의 관련 주요 정책 12개 분야 155개 사업을 제시 - 그 가운데 ▲전자상거래 ▲시정·스마트도시 분야의 사업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전자상거래와 관련하여 민간기업 및 농어업 가공품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홈페이지 구축과 물류단지 조성에 대한 사업이 많은 내용을 차지하고 있음 - 특히 서양삼, 해삼, 어업 가공품 등의 웨이하이 특산품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반 조성에 사업을 집중하고 있음 한국과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업 4건과 웨이하이항그룹유한공사이 주관하는 중한국제무역전자상거래산업원 구축 사업이 있음 - 웨이하이시 <인터넷+실시방안>에서 한국과의 전자상거래 중점 사업으로는, ▲웨이하이중한자유무역발해산업원 ▲WeKoreaGo 국제전자상거래종합서비스플랫폼 ▲한국상품온라인국제전자상거래020종합체험센터 ▲상한왕(上 )전자상거래플랫폼 ▲중한국제무역전자상거래산업원이 있음 - 그 가운데 웨이하이항그룹유한공사가 주관하는 중한국제무역전자상거래산업원 사업은 총투자액 3.6억 위안으로, 2015년 6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창고, 빌딩을 건설하여 공용보세창고,국제상거래감독센터,국제전자상거래기지,국제전자상거래센터,보세전시교역센터,택배물류 지역을 육성하는 인프라 조성 사업임 - 외에 다른 4가지 사업은 한국상품 판매와 전시를 위한 온-오프라인 인프라 구축 사업임 <출처: 《威海市推 “互 +”行 施方案》>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웨이하이시국제전자상거래발전행동계획》 발표
웨이하이시는 2015년 10월 26일 《웨이하이시국제전자상거래상거래발전행동계획(威海市跨境 子商 展行 )》을 발표 계획에서는 한중FTA지방경제협력시범구 건설과 결합하여 전자상거래종합실험구를 조성하여 ▲국제전자상거래종합서비스플랫폼 ▲기지·기업·상인 등의 연수 ▲결제·배송·검역·세금환급 등 각 관리방식의 혁신 및 개선 등 방안을 제시함 - 국제전자상거래서비스플랫폼 주요 사업으로 제시되고 있는 WeKoreaGo(威 )는 2015년 12월 정식 운영을 시작한 웨이하이의 한국상품구매 B2C 플랫폼임 - WeKoreaGo에서는 한중FTA의 “한중자유무역경제합작시범구”의 정책으로 세관, 보세구 등 다양한 협력을 통해 온라인 주문 후 10-15일 내 상품을 받아볼 수 있고, - 웨이하이의 중소기업은 플랫폼 상에서 상품 전시, 거래, 물류, 통관, 세금환급, 보관, 지불, 금융 등의 혜택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선전하고 있음 <출처: 《威海市跨境 子商 展行 》 http://weihai.dzwww.com/jjxw/201512/t20151220_13531546.htm http://www.wekoreago.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웨이하이시 전자상거래 관련 정책
웨이하이시는 시《威海市 民 和社 展第十三 五年 要(이하 <13·5규획>》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대외개방의 핵심 정책으로 선정하고 있음 - 웨이하이와 인천경제자유무역구가 한중FTA지방경제협력시범구를 확정되어, 무역, 투자, 서비스 산업 등 영역에서 밀접한 협력이 진행 중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 이를 활용한 해륙복합, 해운특송과 더불어 국제전자상거래 업종을 통한 시범정책이 실시되고 있다고 보고 있음 규획에서는 한중FTA지방경제협력시범구를 한중상품의 중요 집산지, 산업융합 선행지, 첨단서비스업협력지, 한중쌍방협력제도 혁신지역 등으로 설정하고 있음 그 가운데 전자상거래와 관련하여, - 한중국제전자상거래경제협력실험구 설치 인가 획득, WeKoreago 등 국제전자상거래플랫폼 건설 등을 통해 한중 국제전자상거래 제일 항만 구축 등을 강조하고 있음 - 또한 인천과의 전자상거래 교류 협력 증진을 통해 전자상거래의 공통의제연구 진행, 전자상거래기업 교류·협력 조직, 정기적 한중 국제전자상거래기업 포럼과 연수프로그램 진행 등을 제시하고 있음 이 같은 웨이하이시의 인터넷 및 전자상거래 관련 정책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2015년과 2016년 차례로 발표된 <웨이하이시국제전자상거래발전행동계획> 및 웨이하이시<인터넷+행동실시방안>의 구체적 정책을 통해 파악할 수 있음 <출처: 《威海市 民 和社 展第十三 五年 要》>
홈 > 최신중국동향 -
2016 중국 지역 관련 이슈
2016년 중국 지역 이슈와 관련하여, 중국 초광역 수도권 일체화 전략인 징진지, 베이징·톈진·허베이의 정책동향 및 지역 현황을 다룸 중국 국가지역 전략인 일대일로와 관련하여 실크로드 경제벨트, 해상 실크로드의 정책동향 및 지역 현황을 정리함 - 또한, 한중 FTA 및 국제전자상거래와 관련하여 산둥성 웨이하이시의 정책동향 및 지역 현황을 다룸
홈 > 최신중국동향 -
2016 중국 관광・사회 이슈
2016년 중국 관광·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중국 춘절기간 여행 현황 및 관심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 ▲중국·베이징의 <13·5 규획> 및 2016년 목표 등을 정리함
홈 > 최신중국동향 -
2016 중국 산업・물류 이슈
2016년 중국 산업·물류 이슈와 관련하여, ▲중관춘과학기술시범구 현황 ▲중국 지역별 항운·해운 물류 규모 등을 다룸
홈 > 최신중국동향 -
2016 중국 경제 이슈
2016년 중국 경제 이슈와 관련하여, ▲2015년 중국 경제성과 및 키워드 ▲2015년 베이징시 경제성과 ▲한국기업 중국 진출 동향 ▲인천-중국교류 현황을 다루었음 - 또한 2016년 춘절 소비, <13·5 규획> 경제 비전, 2016년 경제 목표를 정리함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활동유형 및 주체별 R&D 지출 현황
활동유형별 지출을 살펴보면, 중국 기초연구 경비 지출이 716.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6.7% 증가했으며, - 응용연구 경비 지출은 1,528.7억 위안으로 9.3% 증가함 - 실험발전 경비 지출은 11,925.1억 위안 8.4% 증가함 기초연구, 응용연구, 실험발전 경비의 지출 비중은 각각 5.1%, 10.8%, 84.1%임 활동주체는 기업이 10,881.3억 위안을 지출하며 전년대비 8.2% 증가했으며, 정부 산하 연구기관은 2,136.5억 위안으로 10.9% 증가, 대학은 998.6억 위안으로 11.2% 증가함 기업, 정부 산하 연구기관, 대학의 지출비중은 각각 76.8%, 15.1%, 7%로 나타남 <출처:《2015年全 科技 投入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업종별 R&D 지출 현황
업종별 R&D 지출 가운데 500억 위안 이상의 경비를 지출한 업종은 7개로 집계됨 - 화학원료, 화학제품제조업(794.5억 위안), 철금속제련 및 압연가공업(561.2억 위안), 통용설비제조업(632.6억 위안), 전용설비제조업(567.1억 위안), 자동차제조업(904.2억 위안), 전자기계 및 기자재 제조업(1,012.7억 위안),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1,611.7억 위안)임 위 7개 업종의 R&D 경비 지출 비중은 전체 공업기업 R&D의 60.8%를 차지함 <출처:《2015年全 科技 投入 公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