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부상하는 중국 석유화학산업
최근 중국은 국내 대형 석유화학기업을 국제 증권거래소에 상장하는 등 외자유치를 통해 석유화학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를 적극 표명하고 있다. 중국이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대형 투자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자본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유일한 방안이다. 또 국유기업들에 자본주의 경영마인드를 도입, 이들을 글로벌 경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국제적 기업으로 키워나가겠다는 시도이다. 최근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프로젝트 협상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BASF,BP Amoco,Shell,Exxon Mobile 등 7-8개의 기업들이 대규모 단지 건설을 추진중인데, 특히 유럽 기업들의 공세가 두드러지며, 투자 범위가 범용제품 위주에서 기능성 제품으로까지 다양화, 고도화되고 있다. 외국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면서 중국 석유화학산업은 향후 비약적인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반면 석유화학 수출의 중국시장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는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형화를 통한 비용경쟁력 강화가 시급하며, 중국 현지 진출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가전업체의 고경쟁시대 생존전략
1990년대 중국 가전산업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2000년 현재 생산액 면에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로 올라섰으며, 시장 규모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성장 과정에서 업체간의 과도한 생산능력 증설 경쟁이 이루어져, 칼라TV,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 주요 가전제품의 생산능력이 수요를 크게 초과하고 있으며, 치열한 가격경쟁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출혈경쟁은 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과열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능력을 크게 잠식하여 이윤감소→연구개발 축소→신제품 개발 축소→시장경쟁력 약화→이윤 감소의 악순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가전업체는 가격담합, 부품업체로의 부담 전가, 저급품 전략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또 고기술 정보통신 산업으로의 진출을 통해 기존 시장을 벗어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보다 적극적인 다각화 전략도 있다. 그리고 하이얼, TCL,캉지아, 춘란 등 대형 업체들은 최근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이는 중국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선진국 다국적기업 및 한국기업들에게 이중의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전 세계 수출시장에서 중국업체들의 기술 추격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산동(山東)성의 최근 경제지표
산동성의 최근 경제지표 1. 일반 개황 2. 주요 경제지표 3. 우리나라와의 관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천진(天津)시의 최근 경제지표
천진시의 최근 경제지표 1. 일반 개황 2. 주요 경제지표 3. 우리나라와의 관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강소(江蘇)성의 최근 경제지표
강소성의 최근 경제지표 1. 일반 개황 2. 주요 경제지표 3. 우리나라와의 관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인 PC 브랜드 선호도 경향
중국인 PC 브랜드 선호도 경향 최근 북경, 상해, 광주, 대련, 성도, 서안 등 6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0% 이상의 가정에 이미 컴퓨터가 보급되어 있었으며 이중 58.7%는 지난해 신규 구입한 것이다. 2001년 말 중국 大中도시의 PC 보급율은 70%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에 따르면 테이블 식 컴퓨터는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모델로 나타났다. 조립식 또는 겸용기와 브랜드 컴퓨터의 시장 셰어는 최근의 "60%+40%"의 형태에서 "50%+50%"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소비자의 컴퓨터 가격 지수도 상승하여 5,000-8,000元대의 중급 컴퓨터가 소비자의 主선호 대상이 되는 가운데 9,000-11,000元대의 고급 컴퓨터 소비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조사에 따르면 64.7%의 소비자가 컴퓨터 구입 과정에서 가족과 상의한다고 응답했다. 이중 59.0%가 친구의 소개로, 52.8%가 TV 광고를 통하여, 19.8%가 전문 신문잡지의 광고를 통하여, 19.8%가 일반 신문잡지 광고를 통하여 컴퓨터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다고 했다. 따라서 "친구의 소개"는 소비자가 가장 신뢰하는 정보 경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여러 가지 판촉활동 가운데 "가격 할인"이 가장 소비자의 마음을 유혹하는 판촉수단인 것으로 나타났으며(54.4%) 다음으로 "프린터기 공짜"(39.9%), "무료 인터넷 가입"(23.1%) 등 순이었다. 플랜트 설비를 선택할 경우 프린터(63.1%)와 오디오 음향(50.9%)은 소비자가 컴퓨터 구입 후 가장 구입 가능한 플랜트 설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모뎀(38.6%), 카드(37.7%)의 순이었다. 브랜드 인지도는 중국산제품의 대표주자인 聯想이 가장 큰 영향력과 호감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方正, 長城 등 국산제품도 IBM, 컴백 등과 함께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중국의 주방 및 욕실용품 시장 동향
최근 국무원발전연구중심이 발표한 중국의 주방・욕실용품시장 현황에 의하면, 열수기 시장 전망이 밝고, 주방용 공기조절기 시장수요가 크며, 전자레인지 시장이 고속 성장기에 진입했고, 전체 주방 및 욕실용품 시장이 발전초기 진입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대부분의 주방 및 욕실용품 메이커는 중・저급 제품이 많고 규모가 작으며, 제품이 단일하고 품질이 떨어지며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우리 업체의 진출여지가 클 전망이다. --------------------------------------------------------- 최근 중국의 주방 및 욕실용품 시장 동향 최근 國務院發展硏究中心 市場經濟硏究所에서 조사한 결과, 중국의 주방 및 욕실용품의 소비환경, 보유현황, 소비특징, 수급잠재력과 향후 전망은 다음과 같다. 1. 열수기 시장 전망 밝아 1997-2000년간 중국의 열수기 시장 평균 증가율은 10.7%, 현재 도시 주민가정의 열수기 보유율은 71.2%에 달한다. 이중 가스 열수기가 전체의 57.4%, 전기 열수기가 31.3%를 차지하며 장소와 설비조건의 제한으로 말미암아 태양에너지 열수기 보급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조사에 따르면 46.6%의 주민가정이 향후 5년 내 열수기 구입 의향을 밝혔다. 따라서 향후 5년간 중국의 도시 열수기 시장 연간 수요량은 4,66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대부분은 갱신 수요이다. 안전성은 도시소비자가 열수기 구입과정에서 우선 고려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다음으로 내구성, 양호한 A/S, 신속한 가열 등 순으로 나타났다. 52.4%의 가정이 국산 열수기를, 24.8%의 가정이 합자 브랜드를, 22.8%의 가정이 수입 열수기를 구입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2. 주방용 공기조절기 시장수요 커 현재 중국 도시 주민가정의 주방용 공기조절기 보유율은 74.7%, 이중 68.4%가 보통형, 深吸型이 17.8%, 컴퓨터 통제형이 7%, 免 세탁형이 6.8%를 차지한다. 제품의 공기조절 기능이 100% 미달이라고 응답한 가정이 49.8%에 달했으며 대부분 소비자가 주방용 공기조절기 청소에서 불편하다고 불평했다. 따라서 주방용 공기조절기 청소를 A/S 내용에 포함시키는 것이 당면 과제이다. 조사에 따르면 23.8%의 가정이 공기조절기를 갱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46.8%의 도시 주민가정이 향후 5년 내 공기조절기 구매의향을 밝혀 향후 5년간 총 구매량이 4,680만대, 연간 수요는 936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흡인력이 강하다", "내구성이 뛰어나다", "소음이 낮다"와 "청소하기 편리하다" 등은 소비자가 주방용 공기조절기 구매시 우선 고려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기타 외형, 가격, 서비스 등도 관심 대상에 속했다. 인지도 면에서 중국산 帥康과 方太가 인지도가 가장 높은 브랜드이고 다음으로 老板, 華帝, 櫻花, 玉立 등의 순이었다. 帥康 주방용 공기조절기는 보유율도 가장 높은 제품이었으며 기타 美的, 林內, 老板, 櫻花, 華帝의 시장전망도 매우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자레인지시장 고속 성장기 진입 기타 주방 및 욕실용품에 비해 전자레인지의 가정 보유율은 낮은 편으로 현재 도시 주민가정 보유율이 44.3%에 불과하며 대부분이 보통형이다.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는 구이 기능을 갖춘 전자레인지를 더욱 선호하여 현재 총 보유량의 33.8%가 구이형이다. 반수에 달하는 가정이 전자레인지를 자주 사용하지 않으며 39.6%의 가정이 전자레인지의 안전성과 전자파 방지능력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7.5%의 도시 주민가정이 향후 5년 내 전자레인지를 구입할 것이라 응답해 현재 도시 주민가정을 1억 가구로 볼 때 2001-2005년간 중국 전자레인지 시장 구매량은 4,750만대, 연간 수요는 95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상의 안전성, 내구성 등은 소비자가 가장 고려하는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디자인, 가격과 브랜드 등이었다. 전자레인지 구입 의향을 밝힌 주민가운데 국산, 합자와 수입브랜드를 선택한 가정은 각각 46.8%, 27.3%와 25.9%에 달했다. 인지도면에서 格蘭仕가 가장 높은 제품이고, 다음으로 海爾, 마쓰시다, L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전체 주방 및 욕실용품 시장 발전초기 진입 전체 주방 및 욕실용품은 "전체 주방용품"과 "전체 욕실용품"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조사 대상 가정이 "전체 주방용품" 또는 "전체 욕실용품"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으며 이중 반수 이상이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현재 중국 도시 주민가정의 전체 주방용품 또는 전체 욕실용품 보유율은 6.8%와 6.4%에 불과하나 29%와 26%의 주민가정이 향후 5년 내 전체 주방용품 또는 전체 욕실용품을 구입할 의향을 밝혔다. 따라서 향후 5년간 중국의 전체 주방용품 또는 욕실용품의 구매량은 2,900만대, 연간 수요량은 52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海爾의 전체 주방용품은 가전제품 일체화 모델로 가스레인지, 주방용 공기조절기, 소독기, 전자레인지, 식기 세척기, 냉장고 등 설비를 주방에 도입시켜 "싱크대는 외형, 가전제품은 핵심"이라는 신규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이로부터 전체 주방용품 시장의 유력한 브랜드로 부상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방 및 욕실용품의 소비계층은 기업의 경영관리자 또는 사영기업주였으며 소비잠재력이 가장 큰 계층은 사영기업 직원, 외국기업 또는 합자기업 직원, 기술인원, 교사, 의사, 군인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대부분의 주방 및 욕실용품 메이커는 中低級 제품이 많고 규모가 작으며 제품이 단일하고 품질이 떨어지며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및 발전 전망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투자 부족, 과도한 보호정책, 선진기술 도입 부진, 경영 시스템 낙후, 연관산업의 발전 정체 등으로 가격과 품질면에서 국제기준에 한참 뒤떨어져 있음. 또 부품개발 능력, 완성차 조립능력, AS수준 등 자동차와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에서 세계 수준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생산방식, 경영관리, 영업 노하우 등에서도 선진 기법을 습득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지난 50년간 중국정부의 자동차산업에 대한 투자 총액은 2,322억 元에 불과하며, 주식시장 등 자본시장 발전의 낙후 등도 자동차산업의 투자부족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음. 또 중국은 완성차 수입 관세율 80〜100%, 평균 부품수입 관세율 27.1% 등 높은 관세율과 각종 비관세 장벽을 통해 자동차산업을 보호해 왔으나, 실제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제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 중국 자동차업체는 아직 고유 모델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데, 15개 완성차 업체중 14개사가 외국기업의 합작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음. 중국은 선진국에 비해 전자산업, 조립가공 장치산업, 도료공업 등 연관 산업의 발달이 뒤진다는 점도 자동차산업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임.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WTO 가입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 지방의 교통인프라 개선, 기업의 판매시스템 개선, 정부구매 증가, 신제품 출시 등의 요인으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수압굴착기 산업
중국의 수압굴착기시장은 주로 합자기업과 외자 독자기업의 제품이 주도하고 있으며,이들의 부품 국산화 비율은 약 50%에 달한다. 한국의 대우중공업은 1994년 중국 산동성 연대지역에 굴착기 현지공장을 설립하여 내수시장에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는데,2001년 상반기 굴착기 및 포크리프트 등 제품의 판매금액이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한 1.1억불을 기록함으로써 중국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다. 약 90%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6개 외자 독자기업의 2001년 1-5월 수압굴착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비 60% 증가한 약 5,500만대를 기록하였으며, 시장수요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1998년도부터 중국의 굴착기 수입량은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993년 굴착기 수입량이 총 시장판매량의 93%를 차지하던 것으로부터 2000년에는 15% 이하로 감소했다. 이는 최근 중국 굴착기의 성능 및 기술이 거의 외국제품 못지않아 많은 외자기업들이 국산화로 전략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향후 대형 규격, 특수기능 및 특수 기술사항이 요구되는 제품만이 수입에 의존하고, 수요량중 95%이상의 제품이 국산 위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동남아시장 진출 확대의 영향과 대응
□ 중국, 동남아시장 진출 확대의 영향과 대응 ○ 중국 전자산업의 대동남아 진출 동향 ・최근 동남아 5개국의 수입비중 추이를 보면, 미국, 일본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증대되고 있음. - 1996-2000년 동남아 5개국의 수입액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9%에서 5.5%로 높아진 반면, 미국(1994년 20.0% → 2000년 18.2%)과 일본(1994년 29.1% → 2000년 24.6%)으로부터의 수입비중은 감소추세 - 특히 2001년 1-10월 중국의 대동남아 5개국 전기・전자제품 수출액은 413억 달러로 매년 2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태국 ... 고가 대형 가전제품은 일본산과 한국산이 주류를 이루며, 소형 가전과 저가 VCD 등 일부 품목에 한해 중국제품이 판매되고 있음. 특히 소형 가전제품은 가격우위를 기반으로 점차 시장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음. ・인도네시아 ... 컬러TV를 중심으로 중국 가전제품 시장점유율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창훙(長虹) 등 중국 가전기업이 시장점유율 확대를 추진중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전자산업이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가전제품의 시장점유율 확대가 상대적으로 더디게 나타남. 이는 아직까지 중국이 열세인 전자부품 생산에 높은 기술력을 갖고있기 때문. ○ 중국 - 아세안간 경제협력 강화 움직임과 우리의 대응 ・원부자재 및 부품 생산기지 이전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노동집약적 공정을 요하는 완제품 및 부품산업은 중국에서 생산하고, 기술집약적 공정을 요하는 품목은 국내에서 생산함으로써 가격 및 기술경쟁력을 동시에 제고 - 최근 중국 가전기업이 동남아 시장에서 직접투자를 통한 현지생산을 꾀하고 있으나, 부품은 자국 또는 한국, 일본에서 조달하는 조립생산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들 가전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전략 강구 ・동남아 시장에서의 애프터서비스 및 영업 네트워크 구축 등 비가격 경쟁력 강화 ・중국기업과의 경쟁보다는 상호협력을 통한 윈-윈 전략 구사 - 중국기업의 경쟁력이 커지고 있는 저가 가전제품은 중국기업에 위탁 생산하고, 국내기업은 첨단 가전제품 위주로 시장 공략 - 부품 조달선을 중국기업으로 전환해 제품생산 원가를 낮춤 - 중국기업과의 동반진출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