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지역별 R&D 지출 현황
지역별 R&D 지출을 살펴보면 1조 위안을 초과하는 지역이 5곳으로 장쑤(1,801.2억 위안, 12.7%), 광둥(1,798.2억 위안, 12.7%), 산둥(1,427.2억 위안, 10.1%), 베이징(1,384억 위안, 9.8%), 저장(1,011.2억 위안, 7.1%) 순으로 나타남 - R&D 경비 투입강도가 전국 평균을 웃도는 지역은 8곳으로 베이징, 상하이, 톈진, 장쑤, 광둥, 저장, 산둥, 산시( 西)가 있음 <출처:《2015年全 科技 投入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15년 중국 R&D 지출
2016년 11월 11일 중국통계국은《전국과학기술경비투입통계공보(2015)》를 발표 - R&D 경비는 기초연구, 응용연구, 실험연구 활동에 관한 지출로 연구 종사자의 인건비, 재료비, 고정자산 구입비, 관리비 및 기타 비용을 포함함 R&D 경비 집계를 시작한 1995년부터 중국의 R&D 경비 투입 금액과 투입강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5년 중국의 R&D 경비 지출은 14,169.9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8.9%인 1,154.3억 위안이 증가함 R&D경비투입 강도(GDP 대비 비중)는 2.07%로 전년대비 0.05%p 늘었으며, R&D 관련 종사자의 1인당 경비를 계산하면 37.7만 위안으로 나타남 2015년 중국의 국가재정과학기술 지출은 7,005.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51.3억 위안인 8.5%가 증가함 - 재정 R&D 지출은 당해 연도 국가재정지출 대비 3.98%의 비중을 차지함 - 그 가운데 중앙재정 R&D지출은 3,012.1억 위안으로 3.9% 증가, 지방재정 R&D지출은 3,993.7억 위안으로 12.3% 증가함 <출처:《2015年全 科技 投入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7년 중국 국가공휴일 일정
중국 국무원은 2017년 중국의 국가공휴일 일정을 발표 - 중국은 신정, 춘절(春 ), 청명절, 노동절, 단오절, 중추절, 국경절을 국가공휴일로 지정함 2017년 총 휴일 수는 27일이며, 연휴기간 전후로 주말 보충근무가 이루어질 예정임 <출처: 《 院 公 于2017年部分 假日安排的通知》, 院, 2016-12-01>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16년 중국 택배 물량 313.5억 건
2016년 중국의 택배서비스 물량은 313.5억 건으로 전년대비 51.7% 증가했으며, 서비스 수입은 4,005억 위안으로 44.6% 증가함 중국 국가우정국은 2016년 인터넷판매액 총액이 4조 위안을 초과했다고 밝힘 - 중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 가운데 인터넷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12.5%에 달하며, 이로 인한 일자리 창출은 20만 명 이상임 - 현재 중국 전역의 택배망 구축은 80%를 달성함 2016년 농촌지역 우편소포 송부 건수는 80억 건을 초과했으며, 농산품 직접 판매서비스 규모는 1,000억 위안에 달함 국가우정국이 2016년 12월 발표한《우정업발전 13·5규획( 政 展“十三五” )》에서는 택배 기초시설 건설, 경쟁성 업무 개방, 택배하향(下 ), 촌(村)간 직통 택배 등 7개 주요내용을 담음 <출처: 2016年快 日均服 超2.5 人次, 日 , 2017-01-06>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6년 중국 FDI 규모 7,850억 위안
2016년 12월 26일 중국 상무부는 중국의 2016년 투자 통계를 집계하여 발표 2016년 중국의 FDI(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7,850억 위안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 수준임 - 2016년 11월까지 중국의 FDI 규모는 7,318억 위안으로, 이 가운데 서비스업의 증가율이 8%로 전체 FDI의 70.1% 비중을 차지하며 크게 증가함 중국의 ODI(해외투자)는 최근 5년 사이 빠르게 증가, 2016년 비금융 해외투자 규모는 55% 증가한 1조 1,200억 위안(약 1,612억 달러)으로 집계됨 - 2016년 중국의 해외투자 규모는 처음으로 외국인직접투자를 뛰어 넘게 됨 - 최근 중국정부는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장려해 2006년(176억 달러) 대비 약 10배 증가함 최근 FDI는 첨단제조업과 현대서비스업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음 - 중국정부는 첨단산업으로의 해외투자 유도 및 환경 조성, 자유무역시험구 설치 등을 통해 전략적 육성산업에 대한 해외투자를 유인하고 있음 중국 상무부는 투자 장려를 위한 해외투자 및 해외 M&A에 관한 제도와 관리를 개선할 것이라 밝혀, 공격적인 해외투자는 지속될 전망 <출처: 商 部: 2016年我 吸收外 7850 元人民 , 新 社, 2016-12-26>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경제성장 6.5% 전망
중국사회과학원은 2016년 12월 19일 《경제보고서(2017)》를 통해 2017년 중국의 거시경제를 전망함 보고서에서는 2017년 중국의 분기별 GDP 성장률을 각각 6.5%, 6.5%, 6.4%, 6.4% 예상, 2017년 6.5%의 경제성장을 이룰 것이라 전망 2017년 중국의 사회고정자산투자 규모는 67.1조 위안에 달하고, 명목성장률 8.9%, 실질성장률 8.7%로 성장세는 전년대비 각각 0.5%p, 1.7%p 소폭 하락 할 것으로 전망함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6.2조 위안으로 분기별로는 각각 10.0%, 9.5%, 9.3%, 9.2%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 명목성장률 9.5%, 실질성장률 8.8%로 성장세는 전년대비 각각 0.5%p, 0.6%p의 하락할 것이며, 하락폭은 점차 줄어들 전망임 <출처: 社科院 皮 : 明年 增速 6.5%, 中 , 2016-12-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국가정보화발전의 특징
최근 중국의 정보화발전 특징은 다음과 같음 ① 인터넷속도와 가성비 대폭 제고: 2015년 중국의 광대역네트워크 속도가 8.34Mbit/s로 2014년 4.25Mbit/s에 비해 약 2배 빨라짐 ② 광대역 인터넷 및 단말기 보급 확대 ③ 인터넷기업 수와 시가총액 규모의 급증 - 2013년 74,141개이던 중국의 IT·SW 관련 신규기업 등록 수가 2015년 240,413개로 3배 이상 증가함 - 인터넷기업의 시가총액 역시 2014년 14,929.77억 위안에서 2015년 31,844.14억 위안으로 2배 이상 증가함 ④ 인터넷분야 발전이 이끈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속도 - 2015년 중국의 특허신청건수는 29,846건으로 전년대비 17% 증가했으며, 세계 3위로 빠른 증가 추세를 보임 ⑤ 인터넷기업의 피라미드형 구조 R&D 투자 - 중국은 처음으로 세계혁신지수 순위 TOP25에 진입했으며, 혁신질량 순위에서는 17위를 차지함 - 하이난, 저장, 산시( 西), 후베이, 베이징의 규모이상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 기업은 3%대의 R&D 투입 비중을 보임 ⑥ ‘인터넷+’전략과 비즈니스(교통, 의료, 교육, 여행, 식당 등)분야의 융합 ⑦ 모바일 전자상거래와 해외직구의 빠른 성장: 2015년 중국의 모바일쇼핑거래 규모는 2.1조 위안으로 123.8% 증가 ⑧ 정부서비스 이용규모 및 서비스 범위 확대 ⑨ 모바일 인터넷의 발달로 공유경제의 활성화 ⑩ 정보화발전의 정책적 환경의 개선 - 중국정부는 최근《국가정보화발전전략강요》, 《중국제조2025》, 《“광대역중국”전략 및 실시방안》, 《빅데이터발전추진행동강요》등 정보화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함 <출처: CNNIC(2016), 家信息化 展 价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국가정보화발전 단계 유형
보고서에서는 중국 지역별 정보화발전지수와 순위변화를 통해 발전단계를 혁신주도형, 성숙응용형, 변화추진형, 기초잠재형으로 분류하고 있음 혁신주도형은 정보화지수가 높고, 순위변화 폭이 큰 지역임 - 정보화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신산업 육성 전략이 시행되고 있는 지역 -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 푸젠, 산둥, 충칭 등이 포함됨 성숙응용형은 지역내 인터넷 기초설비와 보급률이 높고, 산업 규모가 큰 편이나 발전속도는 크게 빠르지 않음 - 장쑤, 톈진, 랴오닝, 산시( 西), 후베이, 쓰촨, 하이난 등이 있음 변화추진형은 발전여건이 충분히 갖춰져 있고 지역의 발전 전략이 수립되어 있어 정보화발전수준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지역임 - 중국 중서부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 구이저우, 허난, 안후이, 장시, 닝샤 등임 기초잠재형은 지역의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더디고, 넓은 초원지형으로 투입되는 자본은 크지만 수익이 낮은 지역임 - 시짱, 신장이 이에 해당됨 - 최근 농업·목축업, 관광, 생태환경보호 분야의 정보화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함 <출처: CNNIC(2016), 家信息化 展 价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지역별 국가정보화 발전 수준
중국 지역별 정보화 발전 수준은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 장쑤, 푸젠, 산둥, 톈진이 선두를 유지하고 있음 - 동부 연해지역에서 서북, 서남, 동북 방향으로 발전 수준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충칭, 안후이, 장시, 허난, 구이저우의 정보화 수준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음 중국 지역별 정보화발전 수준과 1인당 GDP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1인당 GDP가 높은 지역의 정보화발전 정도가 높음 예외적인 사례로는 광산자원 개발 등 지하자원을 중심으로 발전한 지역의 경우 1인당 GDP는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정보화발전 수준은 반대로 낮게 나타남 현재 중서부지역의 정보화발전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후발주자의 우위를 활용,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음 - 자본투입, 정책적 지원, 우수한 인재유치, 기술혁신 등을 통해 기존 선두지역보다 빠른 속도로 정보화 수준의 향상이 기대됨 <출처: CNNIC(2016), 家信息化 展 价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세계 정보화 발전 25위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는 2016년 12월 《국가정보화발전평가보고(2016)( 家信息化 展 价 告)》를 발표 - CNNIC는 2011년~2015년 인터넷 인프라 성숙도, 산업·기술혁신, 정보화응용수준, 인터넷안전, 정보화지속발전가능성 항목으로 정보화발전평가지수를 개발함 - 분석대상은 세계 88개 국가 및 중국 31개 성임 국가정보화 세계 순위에서 중국은 2012년 36위에서 2016년 25위로 11단계 상승하였음 - 2016년 미국 1위, 영국 2위, 일본 3위, 스웨덴 4위, 한국 5위임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러시아는 경제규모가 큰 국가로 정보산업기초가 탄탄하고 사용자 수가 많아 정보화 발전에 유리한 조건임 - 스위스, 핀란드 등 북유럽국가는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인터넷보급 환경을 갖추고 있음 <출처: CNNIC(2016), 家信息化 展 价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