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중국 40대 주요 도시 GRDP
2015년 중국 주요도시의 GRDP 규모 합계는 306,221.6억 위안으로 중국 GDP(689,052억 위안)의 44.4%의 비중을 차지함 GRDP 규모 순위는 상하이가 25,123.5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베이징 23,014.6억 위안, 광저우 18,100.4억 위안, 선전 17,502.9억 위안, 톈진 16,538.2억 위안, 충칭 15,717.3억 위안 순임 4대 직할시의 GRDP는 1조 5천억 위안 이상이며, 1조 위안 이상 도시는 총 10개로 쑤저우, 우한, 청두, 항저우가 포함됨 권역별 주요도시의 GRDP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GRDP는 50,819.2억 위안으로 주요도시 가운데 16.6%의 비중을 차지함 - 베이징, 톈진, 상하이, 충칭의 GRDP는 80,393.5억 위안으로 중국 국내총생산의 11.7%를 차지함 동북 주요도시의 GRDP는 26,285.2억 위안으로 랴오닝성인 선양과 다롄의 규모가 각각 7,272.3억 위안, 7,731.6억 위안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창춘과 하얼빈은 5,530억 위안, 5,751.2억 위안으로 나타남 화동 주요도시의 GRDP 규모는 1조 위안 이상의 도시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가 포함되어 90,423.8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약 30%의 비중을 차지함 화남 주요도시의 GRDP는 55,397.2억 위안으로 광둥성인 광저우와 선전의 GRDP 규모가 각각 18,100.4억 위안, 17,502.9억 위안으로 화남지역의 경제를 이끌고 있음 화중 주요도시의 GRDP는 36,387.5억 위안으로 우한이 10,905.6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창사 8,510.1억 위안, 정저우 7,311.5억 위안, 허페이 5,660.3억 위안, 난창 4,000억 위안 순임 서남 주요도시는 충칭과 청두의 GRDP가 각각 15,717.3억 위안, 10,801.2억 위안이며 라싸의 GRDP는 376.7억 위안으로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적음 서북 주요도시의 GRDP 규모는 13,154.3억 위안으로 4.3%에 불과함 - 시안(5,801.2억 위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3,000억 위안 미만 수준임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 도시 면적
2015년 중국 전역의 면적은 9,634,057㎢이며, 40대 주요도시의 면적은 554,359.5㎢으로 전국 면적의 약 5.8%의 비중을 차지함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도시는 충칭이 82,400㎢로 주요도시 면적의 15%를 차지함 - 충칭 다음으로는 하얼빈(53,100㎢), 라싸(29,518㎢), 난닝(22,122㎢), 쿤밍(21,473㎢), 창춘(20,565㎢), 후허하오터(17,224㎢) 순으로 2만㎢이상 도시는 총 6곳으로 서부, 동북지역 주요도시의 면적이 넓음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면적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면적은 54,128㎢으로 주요도시 가운데 13.9%의 비중을 차지함 - 수도인 베이징과 직할시인 톈진의 면적은 각각 16,411㎢, 11,946㎢이고, 스자좡의 면적은 1,548㎢로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좁음 동북 주요도시의 면적은 99,850㎢로 주요도시의 1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얼빈의 면적이 가장 넓고, 창춘, 다롄, 선양 순으로 나타남 화동 주요도시는 9개의 면적은 84,654.6㎢로 항저우, 원저우, 칭다오를 제외하고는 모두 1만㎢ 미만의 도시들임 - 상하이의 면적은 6,340㎢로 4대 직할시 가운데 가장 면적이 좁음 화남 주요도시의 면적은 58,540.1㎢로 1만㎢ 이상인 도시는 난닝(22,122㎢), 푸저우(11,968㎢), 취안저우(11,015㎢) 순임 - 5대 부성급시 중 두 곳인 샤먼과 선전의 면적은 각각 1,699.4㎢, 1,996.9㎢임 화중 주요도시인 중부 5개 성 성도 면적은 46,606.9㎢로 주요도시의 8.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서남 주요도시의 면적은 156,030㎢로 주요도시의 28.1%비중을 차지하며 7대 권역 가운데 가장 넓음 서북 주요도시의 면적은 54,549.9㎢로 우루무치(14,216.3㎢), 란저우(13,085.6㎢), 시안(10,108㎢), 인촨(9,491㎢), 시닝(7,649㎢) 순으로 나타남 <출처: 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 검색일:2017-01-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 도시 인구
2015년 중국의 총 인구는 13억 7,462만 명이며, 40대 주요도시의 상주인구는 2억 8,913.1만 명으로 전국 인구의 약 21%의 비중을 차지함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충칭이 3,371.8만 명으로 넓은 면적만큼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음 - 충칭 다음으로는 상하이(1,443만 명), 베이징(1,345.2만 명), 청두(1,228.1만 명), 쑤저우(1,061.6만 명), 스자좡(1,028.8만 명), 톈진(1,026.9만 명) 순으로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도시는 총 7곳에 달함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인구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인구는 4,006.9만 명으로 주요도시 가운데 13.9%의 비중을 차지함 - 또한 징진지 세 도시의 인구는 모두 1,000만 명을 넘는 대도시지만 타이위안과 후허하오터는 각각 367.4만 명, 238.6만 명임 동북 주요도시의 인구는 3,039.2만 명으로 주요도시의 10.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얼빈의 인구가 961.4만 명으로 가장 많고, 창춘, 선양, 다롄 순으로 나타남 화동 주요도시는 9개로 총 7,069.1만 명(24.4%)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1,000만 명 이상 도시는 상하이와 쑤저우가 있음 - 웨이하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구 500만 명 이상의 도시임 화남 주요도시는 3,854.7만 명의 인구 거주하고 있으며, 광저우(854.2만 명), 취안저우(851만 명), 난닝(740.2만 명), 푸저우(678.4만 명) 순으로 집계됨 화중 주요도시의 인구는 3,558.2만 명으로 주요도시의 12.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5개 도시 모두 인구 500만 명 이상임 서남 주요도시는 충칭과 청두에 집중된 인구로 총 5,6001.3만 명이 거주하고 있음 - 시짱(티벳트)성의 라싸 상주인구는 53만 명으로 40개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적음 서북 주요도시의 인구는 1,784.8만 명으로 시안(815.7만 명), 란저우(321.9만 명), 우루무치(266.8만 명), 시닝(201.2만 명), 인촨(179.2만 명)으로 나타남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주요 도시 조사 필요성 ・ 40대 도시 선정
중국 권역별 성장거점 중심의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대두 - 중국은 권역별 거점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권역거점 지역발전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 시진핑 집권 이후 기존의 성급 행정권역을 뛰어넘어 권역별 성장거점 대도시 및 도시군(城市群)을 네트워크로 연결한, - 일대일로(一帶一路), 창장경제벨트( 江 ), 징진지 등으로 지역발전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 중국 권역 성장거점인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한 공간구조 재편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필요 - 중국 전역의 경제·사회적 공간구조 재편에 대한 지역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함 - 중국 권역 주요도시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각 도시의 현황 및 발전 잠재력을 파악, - 지역의 대 중국 교류·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함 이 같은 배경에서 한중DB 최신중국동향에서는 중국 주요 도시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를 ▲ 기본현황 ▲ 소비경제 ▲ 대외경제로 나누어 진행함 - 조사 대상은 ① 베이징, 상하이, 톈진, 충칭의 4대 직할시 및 ② 각 성의 인민정부 소재지인 성도 그리고 ③ 부성급시(副省 市) ④ 국가급 시범지역 설치 도시로 하고, - 중국을 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남, 서북의 7대 권역으로 구분함 선정 40대 주요 도시 및 그 선정기준은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이 조사에서 선정한 40대 거점도시의 면적은 중국 총면적의 5.8%에 불과하지만, -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44.4%, 인구 21%, 사회소비품 판매총액 43.8%, 수출입 67.9%를 차지하고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권역별 1인당 가처분소득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34,783.4위안으로 전국 평균보다는 높지만 스자좡과 타이위안은 각각 28,168위안, 25,828위안으로 낮은 수준임 동북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33,150위안으로 선양, 다롄, 하얼빈, 창춘 순으로 높음 화동 주요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44,795.6위안으로 7개 권역가운데 가장 높음 - 쑤저우, 상하이, 항저우, 닝보, 난징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45,000위안 이상으로 5개 도시가 상위 7위에 포함됨 화남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37,696.1위안으로 광저우가 46,735위안, 선전 44,633위안, 샤먼 42,607위안 순으로 소득이 큼 화중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모두 30,000위안 이상으로 평균은 34,285.4위안임 - 순위는 창사(39.961위안), 우한(36,436위안), 허페이(31,989위안), 난창(31,942위안), 정저우(31,099위안) 순임 서부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서남 29,763.8위안, 서북 29,074.6위안으로 중국 도시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함 - 서남의 청두(33,476위안), 쿤밍(33,955위안), 서북의 시안(33,188위안), 우루무치(31,604위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3만 위안 이하의 1인당 가처분소득을 기록함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 순위
2015년 중국의 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은 31,195위안이며, 40대 주요도시의 1인당 가처분소득 평균은 35,979위안으로 전국 도시 평균보다 4,784위안 많음 -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과 농촌 1인당 가처분소득으로 분류하여 집계함 - 중국의 2015년 국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1,966위안이며, 농촌 1인당 가처분소득은 11,422위안임 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을 소득액 구간별로 살펴보면, 4만 위안 이상 도시가 11개, 4만 위안 미만~3만 위안 이상 도시 18개, 3만 위안 미만~2만 위안 이상 도시 11개로 나타남 중국에서 도시 1인당 가처분소득이 가장 높은 도시는 장쑤성의 쑤저우로 50,400위안을 기록함 다음으로는 상하이(49,867위안), 베이징(48,458위안), 항저우(48,316위안), 닝보(47,852위안) 순이며, 주로 동남부 연해지역의 선도적 개방도시가 상위 순위를 차지하고 있음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권역별 소비판매총액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을 권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그림 2>와 같음 - 권역은 중국을 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남, 서북의 7개로 구분함 화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21,182.6억 위안으로 40대 도시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의 16.1% 비중을 차지함 - 소비품 판매규모 중국 TOP 5에 해당하는 베이징과 톈진을 제외한 화북의 스자좡, 타이위안, 후허하오터는 3,000억 위안 미만의 소비규모를 가짐 동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12,774.5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9.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얼빈 3,394.5억 위안, 선양 3,883.2억 위안, 다롄 3,087.5억 위안, 창춘 2,409.3억 위안으로 비슷한 수준임 화동지역의 9개 주요도시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8,303.3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29%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독보적으로 큰 규모인 상하이 외에, 주장삼각주 도시인 난징, 쑤저우, 항저우가 4,000억 위안대의 규모를 보이고 있음 화남 주요도시는 22,504.7억 위안의 소비규모로 화동지역 다음으로 규모가 큼 - 광저우 다음으로는 선전(5,017.8억 위안), 푸저우(3,488.7억 위안), 취안저우(2,459.6억 위안) 순임 화중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15,934.1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12.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5개 도시 가운데 우한의 판매총액이 5,102.2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창사, 정저우, 허페이, 난창 순으로 나타남 서남 주요도시는 14,573.2억 위안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 규모로 충칭과 청두가 서남의 78%의 비중을 차지함 - 시짱(티베트)성 라싸의 소비규모는 205.8억 위안으로 40개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적음 서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6,648.5억 위안으로 서부징역 최대도시인 충칭시의 규모와 비슷한 수준임 - 시안(3,405.4억 위안), 란저우(1,152억 위안), 우루무치(1,151.5억 위안), 인촨(477.6억 위안), 시닝(461.9억 위안) 순임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소비판매총액 순위
최근 중국은 내수중심 성장전략을 펼치며, 소비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이 전년대비 10.7% 증가한 300,930.8억 위안을 기록함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판매총액은 38,773억 위안으로 33.3% 증가하며 빠른 증가세를 보임 - 전자상거래 소비판매 품목 증가율을 보면 식료품 40.8%, 의류 21.4%, 생활용품 36%의 판매 증가율을 보임 이 같은 중국의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소비 활황은 주로 대도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2015년 기준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의 합은 131,920.9억 위안으로 전국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의 43.8%를 차지함 2015년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 판매총액 순위는 <그림 1>과 같음 2015년 사회소비품 판매 총액이 규모가 가장 큰 도시는 베이징(106,284억 위안)이며, 다음으로는 상하이(10,131.5억 위안), 광저우(7,988억 위안), 충칭(6,424억 위안), 톈진(5,257.3억 위안)이 뒤를 잇고 있음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권역별 FDI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FDI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 <그림 4>와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FDI 총액은 361.2억 달러로 톈진과 베이징으로의 투자가 대부분을 이루며, 스자좡과 타이위안은 각각 11.4억 달러, 8.5억 달러 수준임 동북 주요도시의 FDI 총액은 124.2억 달러로 창춘(56.6억 달러), 하얼빈(29.9억 달러), 다롄(27억 달러), 선양(10.6억 달러) 순임 화동지역 주요도시 FDI 총액은 498.5억 달러로 상하이가 가장 크고, 항저우(71.1억 달러), 쑤저우(70.2억 달러), 칭다오(66.9억 달러), 닝보(42.3억 달러) 순으로 나타남 화남 주요도시의 FDI 총액은 186.2억 달러로 상하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광둥성의 광저우(54.2억 달러)와 선전(65억 달러)을 제외하고는 모두 30억 달러 미만임 화중 주요도시의 FDI 총액은 208.9억 달러로 우한(74.4억 달러)을 중심으로 중부지역 성회 도시로의 투자가 비교적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짐 - 정저우 38.3억 달러, 창사 44.1억 달러, 허페이 25.1억 달러, 난창 27.1억 달러임 서남 주요도시는 144.8억 달러의 FDI 규모로 청두(75.2억 달러), 충칭(37.7억 달러), 쿤밍(22.6억 달러), 구이양(9.3억 달러) 순이며, 라싸는 자료 없음 서북 주요도시의 FDI 총액은 44.6억 달러로 시안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FDI가 이루어지지 않음 - 우루무치 2.8억 달러, 인촨 1.7억 달러이며, 란저우와 시닝은 FDI 통계 수치를 발표하지 않고 있음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및 각 시 통계공보 자료정리>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FDI 순위
2015년 중국의 FDI 규모는 7,813.5억 위안(약 1,263억 달러)로 전년대비 6.4% 증가함 - 이 가운데 일대일로 관련국가의 FDI 규모는 85억 달러로 25.3% 증가함 산업별 FDI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2,452.3억 위안으로 여전히 가장 많지만 증가세는 보이지 않음 - 반면, IT·SW와 도소매업은 각각 40.1%, 28%의 증가율을 보임 2015년 중국의 FDI 규모 순위는 톈진이 211.3억 달러로 가장 많고, 상하이 184.6억 달러, 베이징 130억 달러, 청두 75.2억 달러, 우한 74.4억 달러 순으로 나타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및 각 시 통계공보 자료정리>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