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랴오닝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랴오닝 자유무역시험구는 다롄(大 ), 선양(沈 ), 잉커우( 口)지역 등 3개 지역으로 119.89㎢의 면적을 포함 랴오닝 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시장지향적 시스템 구축 및 구조조정 추진 △동북지역 노후공업기지의 경쟁력 강화 △대외개방 수준 제고임 랴오닝 시험구는 동북의 노후된 공업을 첨단 장비 제조업으로 업그레이드하고, 다롄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국제물류센터와 해운과 철도를 연계한 교통 허브 육성을 목표로 함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톈진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톈진 자유무역시험구는 톈진항, 톈진공항, 빈하이신구( 海新 ) 중심상업지구 등 3개 지역으로 119.9㎢의 면적을 포함 환발해 지역의 성장을 선도하게 될 톈진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중국의 징진지 협동발전을 통한 경제권 공동발전 △수준 높은 대외개방 플랫폼임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자유무역시험구 권역별 분포
중국의 11개 자유무역시험구를 권역별로 나누어 보면 ▲ 환발해의 톈진, 랴오닝 ▲ 동부 연해의 상하이, 광둥, 푸젠, 저장 ▲ 중서부의 충칭, 쓰촨, 허난, 후베이, 산시로 나눌수 있음 중국자유무역시험구 기본적으로 중국의 지역발전 전략인 일대일로, 창장경제벨트, 징진지전략과 연계되어 권역별로 분포하고 있음 신실크로드전략은 중서부 5개 무역구를 중심으로, 해상실크로드는 동부연해의 4개 무역구를 그리고 징진지는 환발해의 2개 무역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거점 육성을 도모하게 될 것임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설립과 확대
중국정부는 21세기 중국의 발전을 선도할 성장거점으로 자유무역시험구(自由 易 , Free Trade Zone(FTZ))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2013년 상하이의 4개 보세구를 통합하여 서비스업의 개방, 외자유치 확대 및 금융제도 혁신, 무역자유화 촉진을 위한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를 설립함 이후 중국정부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방식인 “점선면 전략”을 자유무역시험구에도 적용 점선면 전략이란,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이 개혁 개방을 선언하며 선전과 주하이를 시작으로 산터우, 샤먼, 하이난 등 5개 점을 선도 개방, 동부 연해 톈진과 다롄 등 14개 연안 도시를 선으로 연장, 다시 창장삼각주, 주장삼각주, 랴오둥반도, 산둥반도 등 면으로 확대시킨 경제 전략임 상하이를 기점으로 3년간의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자유무역시험구에 대한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이후 추가 선정 지역은 지역적 특성에 맞추어 제도를 수정 및 보완, 개방 범위를 확대하고 점차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나감 이에 따라 중국 각 지역의 시험구는 “1+3+7”의 형태로 설립됨 - 2013년 9월 27일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설립 - 2015년 4월 20일 광둥, 톈진, 푸젠 자유무역시험구 설립 - 2017년 3월 31일 랴오닝, 저장, 허난, 후베이, 충칭, 쓰촨, 산시( 西) 자유무역시험구 설립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저장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저장 자유무역시험구는 저우산도(舟山 ) 북부, 남부, 인근 섬 등 3개 지역으로 119.95㎢의 면적을 포함 저장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저우산자유무역항 구축 사업을 통한 무역자유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 추진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푸젠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푸젠 자유무역시험구는 샤먼(厦 )시, 푸저우(福州)시, 핑탄(平潭)시 등 3개 지역으로 118.1㎢의 면적을 포함 푸젠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대만(양안)과의 경제협력시범구 건설 △21세기 해상실크로드 핵심지역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광둥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광둥 자유무역시험구는 광저우 난사신구( 州南沙新 ), 선전 첸하이신구(深 前海蛇口), 주하이 헝친신구(珠海 琴新 ) 등 3개 지역으로 116.2㎢의 면적을 포함 광둥 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광둥·홍콩·마카오 협력시범구 △21세기 해상실크로드의 허브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상하이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7개 지역, 120.72㎢의 범위를 포함 - 2013년 와이가오차오(外高 保 ) 보세구, 와이가오차오 보세물류단지, 양산보세항구(洋山保 港 ), 상하이푸둥공항종합부세구(上海浦 机 合保 ) 등 4곳 세관특수관리감독 지역을 선정 - 2015년 루자쭈이금융지구( 家嘴金融片 ), 진차오개발구(金 ), 창장첨단기술단지( 江高科技 ) 추가 선정으로 범위 확대 21세기 중국의 성장을 선도하게 될 상하이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국제경제, 금융, 무역, 해운 등 경제개혁개방의 시범구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산시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산시(陝西) 자유무역시험구는 시안시중심, 시안국제항비즈니스구(西安 港 ), 양링시범구( 凌示范 ) 등 3개 지역으로 119.95㎢의 면적을 포함 중서부 지역의 성장을 선도하게 될 톈진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서부대개발’과 ‘일대일로’ 프로젝트 연계를 통한 서부지역 개방확대 및 내륙형 개혁개방의 새로운 규범 조성 △내륙지역과 ‘일대일로’ 관련 국가 간 경제인문 교류협력 모델 구축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후베이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후베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우한(武 ), 샹양(襄 ), 이창(宜昌) 등 3개 지역으로 119.96㎢의 면적을 포함 중서부 지역의 성장을 선도하게 될 톈진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동부지역 산업을 이전 및 유치 △전략적 신흥산업과 하이테크 산업 기지로 육성 △‘중부굴기’ 전략 추진 및 장강( 江)경제권 건설 시범지역으로의 역할을 수행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