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허난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허난 자유무역시험구는 정저우( 州), 카이펑( 封), 뤄양(洛 ) 등 3개 지역으로 119.77㎢의 면적을 포함 허난 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대륙의 동서·남북을 잇는 교통인프라 및 물류시스템 구축 △‘일대일로’ 추진을 위한 현대적 종합교통 허브지역 조성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쓰촨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쓰촨 자유무역시험구는 청두톈푸신구(成都天府新 ), 청두칭바이장철도항(成都 白江 路港), 촨난임항(川南 港) 등 3개 지역으로 119.95㎢의 면적을 포함 쓰촨 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서부 및 내륙지역 개방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지역으로서의 핵심역할 수행 △내륙과 연해, 국경지역 간 협력 및 공동개방을 실현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충칭 자유무역시범구 현황
충칭 자유무역시험구는 량장( 江), 시융(西永), 궈위안항(果 港) 등 3개 지역으로 119.98㎢의 면적을 포함 중서부 지역의 성장을 선도하게 될 충칭자유무역시험구의 전략적 위상은 △서부지역의 핵심지역으로서 서부지역 개방을 가속화 △‘서부대개발’의 중심역할 수행 <출처> 1. 각 지역별 《中 自由 易 方案》 2. 新 接:7 新 自 大 点, 新 社, 2017-03-31 3. 강민주, 정도숙(2016), 「중국자유무역시범구 운영현황 및 시사점」, KOTRA 4. 김명아(2015), “중국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과 제주의 활용방안”, 『China Issue Brief』.No. 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 수출입 상품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 간 무역상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전기기기 및 관련 부품이 1,165.9억 달러로 가장 많고, 보일러 기계 및 부품이 920억 달러, 철강은 237.2억 달러로 나타남 - 플라스틱 및 관련제품, 가구·침구, 자동차 및 관련 부품 등은 200억 달러 이하의 수출규모를 보여 전기 기기, 기계와 큰 격차를 보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으로의 수입상품은 광물 연료, 광물유 및 증류 제품 등이 1,109.9억 달러로 가장 많으며, 전기 기기, 전기 설비 및 부품은 772억 달러임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 수출입 현황
2016년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 간의 무역총액은 9,535.9억 달러로 중국 전체 무역교역액의 25.7%를 차지함 - 무역비중은 2015년 대비 0.3%p 증가했으나, 세계경제 위축과 국제시장에서 벌크상품 가격의 폭락 등으로 무역 규모는 4.9% 감소 2016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으로의 수출 규모는 5,874.8억 달러로 전년대비 4.4% 감소했지만, 중국 총 수출액 가운데 27.8%를 차지하며 전년대비 0.9%p 증가하며 꾸준히 수출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 반면 일대일로 관련국으로 부터의 수입비중은 2011넌 25.2%에서 2016년 23%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임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 간의 수출입 구조를 살펴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무역흑자 규모가 크게 증가함 - 2011년 142.9억 달러였던 무역흑자는 2015년 2,262.4억 달러로 약 16배 증가함 국가별 무역수지는 52개국과의 무역교류에서 무역흑자를 보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인도와의 무역흑자가 470.7억 달러로 가장 큼 -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 국가는 12개로 말레이시아와의 무역적자가 109억 달러로 가장 큼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일대일로 관련국 GDP・인구・무역 현황
2016년 일대일로 관련 64개국의 GDP 규모는 약 12조 달러로 세계 GDP의 16%를 차지함 - 64개국의 인구는 총 32.1억 명으로 세계인구의 43.4% 비중을 차지하고, 무역총액은 7조 1,885.5억 달러로 21.7%에 달함 2016년 기준 관련국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가 13억이며, 인도네시아 25,880만 명, 파키스탄 18,987만 명 순으로 나타남 GDP 규모 역시 인도가 22,887억 달러로 가장 크고, 러시아(11,327억 달러), 인도네시아(9,370억 달러), 터키(7,512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6,183억 달러) 순임 일대일로 관련국의 무역점유율은 2011년 22.3%, 2012년 24%를 기록한 이후 별다른 증가세를 보이지 않음 2016년 일대일로 관련국 지역별 무역비중을 살펴보면 동남아지역의 무역액이 23,065.8억 달러로 관련국 가운데 32.1%의 비중을 차지함 - 동유럽의 무역액은 21,163.9억 달러로 29.4%의 비중을 차지함 - 서아시아·아프리카북부는 18,526.1억 달러로 25.8%임 2016년 일대일로 관련 국가별 수출입 규모는 싱가포르가 6,436.9억 달러로 가장 크고, 인도 6,176.9억 달러, 러시아 5,266.9억 달러 순임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일대일로 관련 64개국 분포
중국국가정보센터( 家信息中心)는 2017년 3월 《“일대일로”무역합작빅데이터보고(2017)》를 발표 - 중국국가정보센터는 일대일로 관련국가 무역 관련 빅데이터 분석보고서를 연간으로 발간함 일대일로 관련 64개국은 동아시아 1개국, 동남아시아 11개국, 남아시아 8개국, 중앙아시아 5개국, 서아시아·아프리카 북부 19개국, 동유럽 20개국을 포함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 투자 현황
중국상무부는 2016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145억 달러에 달한다고 발표 - 이는 2003년 2억 달러에서 약 70배 성장한 규모이며, 2013년 134억 달러에서 8.2% 증가했으며 최근 3년간 평균 2.6%의 증가세를 보임 - 일대일로 관련국에 대한 투자액은 중국의 대외투자 총액의 8.5% 비중임 같은 기간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과 신규 체결한 도급공사 프로젝트 계약규모는 1,260억 달러로 36% 증가함 - 교통인프라 관련 대형 프로젝트와 경제무역협력구 설치가 주를 이룸 상무부는 최근 중국기업이 일대일로 관련 20개국에 56개 경제무역협력구를 건설했으며 다양한 분야 투자가 진행되어 2016년까지의 누적투자액이 185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힘 반면 2016년 일대일로 관련국의 중국에 대한 투자는 2,905개의 기업이 신설되었고, 실제 투입된 해외자본은 71억 달러에 달함 2017년 1~5월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 직접투자 총액은 49.9억 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14.4%를 차지했으며, 전년동기대비 6.7%p 증가함 <출처: 中 “一 一路”沿 家直接投 13年增70倍, 新京 , 2017-05-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일반무역 중심의 일대일로 수출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으로 수출방식은 일반무역이 주를 이룸 - 2011년 61.5%였던 일반무역의 비중은 2016년 63.5%로 증가함 반면 가공무역의 비중은 점차 감소세를 보여 같은 기간 26%에서 20.1%로 감소함 - 국경소액무역과 해관특수관리감독구역의 수출비중 역시 감소함 수입 방식도 일반무역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비중은 2011년 61.7%에서 2016년 55.7%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가공무역의 비중은 동기간 18.7%에서 21.2%로 증가함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민영기업의 일대일로 관련국 수출 비중 증가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국간의 수출 주체 추이를 살펴보면 민영기업의 비중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남 - 민영기업의 일대일로 관련국 수출 비중은 2011년 46.6%에서 2016년 58.9%로 12.3%p 증가한 반면, 외상투자기업과 국유기업의 수출비중은 같은 기간 각각 7.6%p, 4.8%p 하락함 2016년 외상투자기업의 일대일로 관련국 수입규모 비중은 37%에 달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반면, 국유기업의 수입비중은 2011년 43.1%에서 2016년 31.6%로 11.5%p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민영기업은 21.6%에서 28.2%로 증가함 <출처: 家信息中心(2017). 《“一 一路” 易合作大 据 告(2017)》>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