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의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인터넷기술의 발전으로 소매기업의 온라인 비즈니스가 확대되고 있음 - 중국인터넷정보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중국 기업 가운데 온라인 매장을 운영 중인 비율은 45.3%로 전년대비 12.7%p 늘어남 소매기업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 - 고객, 주문정보, 상품현황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별 맞춤형 상품, 지역별 선호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을 통해 영업효율이 향상됨 또한 고객 중심의 체험매장, 온라인 쇼핑몰 개설 등 끊임없이 새로운 소매업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있음 - 오프라인 체험, 온라인 주문 - 온라인 주문, 매장 상품인도 - 매장 주문, 물류센터 배송 2016년 광군제(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중국 온라인 종합 쇼핑몰 티몰(Tmall)은 가전, 의류, 자동차, 인테리어, 뷰티 등의 업종에서 O2O 서비스를 진행함 - 인테리어 시공, 신선식품 등 오프라인 업체 6만 곳을 온라인에 등록·연계함 중국인들의 소득 증가로 소비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매 상품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 - 기존의 생필품 위주 상품에서 여유로운 삶을 즐기기 위한 상품으로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부동산시장의 훈풍과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인테리어상품의 빠른 성장세 - 중국국가통계국은 2016년 규모 이상 기업의 건축 및 인테리어 자재, 가구의 판매율이 각각 14%, 12.7% 증가했다고 발표함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건강·레저 상품의 판매가 늘고 있음 다양한 기능과 소비체험에 기반을 둔 스마트기기 열풍 - 2016년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5.2억 대로 전년대비 14% 증가했으며, 광군제 기간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 알리바바의 스마트기기 판매 비중은 7.4%로 집계됨 환경보호 의식 강화로 친환경,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상품이 소매시장에 새롭게 등장함 - 무독성 친환경 페인트, 유기농 올리브유, 절수형 세탁기의 판매율이 각각 244%, 228%, 126% 증가함 <출처: 商 部(2017), 『中 零 行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의 성숙화
상무부의 유통기업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 편의점, 쇼핑센터, 마트의 판매액이 전년대비 각각 7.7%, 7.4%, 6.7%씩 증가함 - 전문점, 백화점의 증가율은 각각 3.1%, 1.3%씩 증가했지만, 백화점의 증가폭은 2.1%p 하락함 중국의 온라인 소매시장은 성숙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안정적인 증가세롤 보이고 있음 - 인터넷 소매기업 간 경쟁은 제품의 품질 개발, 서비스 수준 향상, 상품의 체험 서비스 다각화 등으로 변화되고 있음 2016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총액은 51,55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6.2% 증가함 - 그 가운데 실물상품의 온라인 소매액은 41,944억 위안으로 25.6% 증가했지만 전년대비 6%p 하락함 - 소비품판매총액 가운데 실물상품 온라인 소매액 비중은 12.6%로 전년대비 1.8%p 중가함 <출처: 商 部(2017), 『中 零 行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창업열풍, 소매기업 수 증가
중국상무부는 2017년 7월 3일《중국소매업발전보고(2016/2017)》을 발표 - 2014년 중국정부가 제시한 “대중창업, 만인혁신(大 , 万 新: 모두 창업하고 혁신하자)” 정책으로 인해 중국 내 소매기업 수가 증가추세를 보임 상무부의 소매기업 통계 결과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소매업체 수는 1,811.9만 개로 전년대비 5.2% 증가함 - 그중 법인기업은 244.83만 개로 28% 증가하며 전체 소매업체 수의 13.5%를 차지함 - 자영업자 수는 1,567.1만 개로 2.4% 증가했으며, 소매업체의 86.5%를 차지함 2016년 상품 소매총액은 196,51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0.4% 증가함 - 2010~2015년 5년간 상품판매액 증가율은 연평균 1.6%p씩 하락하며 다소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품소매총액은 안정적인 증가추세를 보임 - 특히 규모 이상 대기업의 소매총액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출처: 商 部(2017), 『中 零 行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외자유치, 해외투자 규모 확대
최근 중국은 스위스, 한국, 호주 등과의 FTA 체결과 상하이, 광둥, 톈진 등 중국 내 11곳에 설치한 자유무역실험구 등을 통해 “저우추취(走出去: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의 속도로 높이고 있음 - 이로 인해 외자유치와 해외투자 규모는 연일 최고 기록을 갱신하고 있음 2013~2016년 중국의 누적 실제사용 해외자본(FDI)은 4,894억 달러로 연평균 3.1% 증가했으며, 비금융 대외직접투자 누적액은 4,915억 달러로 연평균 21.6%의 증가율을 보임 중국에 유입된 해외자본은 과거 제조업 중심 투자에서 서비스업으로 투자가 옮겨가고 있음 - 2016년 중국의 서비스업 FDI 규모는 5,716억 달러로 전년대비 8.3% 증가했으며, 그 가운데 하이테크 서비스업 투자는 86.1% 급증함 중국의 해외투자 역시 2012-2015년 연평균 18.4% 증가했으며, 2015년 중국의 해외투자 규모는 1,457억 달러로 세계 2위를 기록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一-新理念引 新常 新 新篇章》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二- 地位 著提高 影 力明 增强》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무역 구조의 변화
2016년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24.3조 위안으로 전세계 수출입의 11% 이상을 차지함 중국 수출입 품목은 가공무역에서 일반무역 중심으로 전환됨 - 일반무역 수출입 비중이 2012년 52.0%에서 2016년 55.1%로 증가 중국의 화물 수출입 규모는 세계 2위로 2016년 36,856억 달러로 1위인 미국(37,060억 달러)과 200억 달러의 격차를 보임 세계 무역비중은 2012년 10.4%에서 11.5%로 증가함 중국 경제는 경기하방 압력이 가해지고 있지만, 최근 수출 실적은 완만한 회복세를 보임 서비스 무역의 빠른 성장으로 수출입구조가 재편되고 있음 - 2016년 중국의 서비스 무역 규모는 6,575억 달러로 2012년 대비 36.7% 증가했으면 연평균 8.1%의 성장세를 보임 중국의 고부가가치 서비스 무역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유지 및 보수 서비스, 정보서비스 무역이 약 40% 이상의 증가율을 보임 2016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국과의 수출입 총액은 6.3조 위안으로 중국 전체 수출입의 25.7%의 비중을 차지함 - 중국기업의 일대일로 관련국과의 경제무역협력지역은 56곳으로 누적투자액은 185억 달러에 달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一-新理念引 新常 新 新篇章》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二- 地位 著提高 影 力明 增强》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서비스업의 발달
시진핑 시기 중국 정부는 산업구조 업그레이드, 공급측 개혁, 첨단산업 육성 등을 통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강조해 옴 서비스업의 빠른 발전은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 - 2013~2016년 서비스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8.0%로 GDP 성장률보다 0.8%p 높음 2013년 중국의 서비스업 비중은 처음으로 제조업 비중을 넘어섬 - 2012년 45.3% 비중을 차지하던 서비스업은 2016년 51.6%로 6.3%p 증가함 - 제조업의 산업비중은 2012년 45.3%에서 2016년 39.8%로 5.5%p 감소해 서비스업과 11.8%p의 격차를 보임 2015년 발표한 “중국제조 2025” 전략으로 공업화와 정보화가 융합되어 첨단 제조업이 빠르게 발전함 시진핑 집권 1기 장비제조업과 하이테크 산업의 부가가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9.4%, 11.3%로 나타남 - 2016년 장비제조업과 하이테크 산업의 부가가치는 중국의 규모이상 공업 부가가치의 32.9%, 12.4%의 비중을 차지함 - 이는 2012년 대비 각각 4.7%p, 3.0%p 증가한 수치임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一-新理念引 新常 新 新篇章》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二- 地位 著提高 影 力明 增强》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GDP 규모 및 성장률
시진핑 정부의 집권 1기인 2012~2016년 5년간 중국의 GDP 성장률은 연평균 7.2%를 기록함 - 같은 기간 세계 GDP 성장률은 2.5%, 개발도상국은 평균 4%대를 기록함 시진핑 정부는 소강사회 건설을 위해 심화개혁, 안정적 성장, 개혁촉진, 구조조정 등을 추진 중국의 새로운 경제 성장 기조인 신창타이(뉴노멀) 시대를 제시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중고속성장을 강조해옴 중국의 GDP 규모는 2012년 54조 위안(약 85,703억 달러)에서 2016년 74.4조 위안(약 112,183억 달러)으로 1.3배 증가함 중국은 2010년 이후 줄곧 경제규모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음 - 세계 GDP 가운데 중국의 비중은 2012년 11.5%에서 2016년 14.9%로 3.4%p 증가함 2016년 중국의 1인당 GDP는 53,980위안으로 2012년 대비 29% 증가함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GNI)은 2012년 5,940달러에서 2016년 8,000달러를 넘어섬 - 세계은행이 발표한 217개 국가의 1인당 국민소득 순위에서 중국은 2012년 112위에서 2015년 97위로 15계단 올랐음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一-新理念引 新常 新 新篇章》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二- 地位 著提高 影 力明 增强》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창업시장의 현황 및 변화
시진핑 정부는 “대중창업, 만인혁신(大 , 万 新: 모두 창업하고 혁신하자)” 정책 지원을 위한 창업 환경을 조성하고 있음 중국 국무원은 각종 행정 심사비준 항목 600여개를 취소하여 행정절차를 대폭 간소화함 - 기존 허가증 취득 후 영업 면허증 발급(先 后照)에서 영업면허증 사전 발급 후 허가증 신청(先照后 )으로 행정절차의 편의 제공 기업 설립 행정절차 처리기간은 평균 26일에서 14일로 축소 - 세계은행이 발표한 보고에 따르면 2013년 이후 중국의 영업·비즈니스 편리도의 세계 순위가 18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신흥산업에 대한 창업투자는 중소기업과 국가과학기술 관련 기금 등을 조성하여 창업 융자와 창업서비스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있음 현재 중국의 창업 플랫폼은 4,200개 이상, 과학기술기업 창업인큐베이터는 약 3,000개, 창업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및 단체 40만 곳 이상, 상장회사 양성 기업도 천여 곳에 달함 2014-2016년 중국에 신규 등록된 시장주체는 4,400만 곳 이상임 - 그 가운데 신규 등록 기업은 1,362만 개로 하루 평균 1.2만 개의 기업이 생겨나고 있음 신설기업 중 서비스업 종사 기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 - 2016년 신규 등록된 서비스업 기업은 446만 개로 2014년 대비 55.4% 증가함 샤오웨이기업의 신규 설립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1년 후 생존율은 70.8%로 나타남 2016년 창업으로 창출된 일자리는 240만 개 이상으로 전체 창출 일자리의 18.7% 비중을 차지함 대학생과 귀향 농민공 출신 창업자가 크게 증가함 - 중국의 귀향 농민공 출신 창업자 규모가 450만 명으로 집계됨 - 2016년 등록된 대학생 창업자 수는 61.5만 명임 2016년 중국 도시의 자영업자와 민간기업 취업자 수는 20,710만 명으로 2012년 대비 56.9%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四- 新蓬勃 起 新 茁 成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五-服 擎起半壁江山 新 服 蓬勃 展》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九-科技 展成效 著 新 加力提速》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서비스업 발전의 긍정적 영향력
시진핑 집권 1기 서비스업의 발전은 중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2013-2016년 누적 서비스업 신설기업은 1,283만 개로 연평균 31.5% 증가함 - 2016년 신설 기업 가운데 서비스업 종사 기업 비중은 80.7%에 달함 같은 기간 서비스업 창출 일자리는 6,067만 개로 연평균 5.1% 증가했으며 전체 성장률보다 4.8%p 높음 - 2016년 중국의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33,757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 비중의 43.5%로 2012년 대비 7.4%p 증가함 서비스업은 세수 증가에도 큰 역할을 함 - 중국의 세수 중 서비스업 비중은 2012년 50.4%에서 2016년 56.5%로 6.1%p 증가함 - 2016년 중국의 서비스업 관련 세수액은 65,47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8.0% 증가했으며, 새로 증가한 세수의 92.2%가 서비스업임 무역에서도 서비스업은 시진핑 집권 기간 연평균 8.1%의 성장세를 보임 - 2016년 서비스업 수출입 규모는 6,575억 달러로 전체 수출입의 15.1% 비중을 차지함 2013-2016년 중국의 서비스업 고정자산투자는 연평균 16.7% 증가했으며, 제조업 투자 증가율보다 4.6%p 높은 수준임 - 2016년 서비스업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34.6조 위안으로 전체 고정자산투자의 58% 비중을 차지함 2016년 서비스업 FDI 규모는 5,71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8.3% 증가했으며, 전체 FDI의 70.3% 비중으로 2012년 대비 22.1%p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四- 新蓬勃 起 新 茁 成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五-服 擎起半壁江山 新 服 蓬勃 展》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九-科技 展成效 著 新 加力提速》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행복산업' 급성장
중국의 소비품목 다양화, 소비 품질 향상, 소비 방식의 다원화로 삶의 질과 연관된 여행, 문화, 체육, 건강, 실버, 교육산업이 ‘행복산업’이라 불리며 급부상하고 있음 ■ 관광 산업의 성장과 여행 트렌드 2015년 중국의 여행 및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는 30,017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 GDP의 4.4%를 차지함 - 또한 여행서비스, 여행정보 제공, 여행가이드 관련 서비스 기업의 영업이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여행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면서 여행소비가 크게 증가함 - 2016년 중국의 국내여행객는 44억 명으로 2012년 대비 50.2% 증가했고, 국내여행수입은 39,390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73.5% 증가함 중국의 해외여행객 수는 1.22억 명으로 2012년 대비 46.7% 증가했으며, 해외여행 소비규모는 1,098억 달러로 세계 1위 수준임 ■ 문화 · 체육 산업의 동반 성장 2016년 문화 및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는 30,254억 위안으로 전체 GDP의 4.07%의 비중을 차지하며 2012년보다 0.59%p 증가함 - 시진핑 집권 1기 기간 동안 중국의 1인당 평균 문화소비 지출액은 35.5위안에서 55.7위안으로 56.9% 증가함 방송·드라마·영화·음악 제작, 문화·예술, 오락 관련 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15.9%, 24.0%, 20.9%로 나타남 - 체육 산업의 부가가치는 5,494억 위안이며 2015년과 2016년 체육관련 기업의 영업수입 성장률은 약 19.1% 증가함 ■ 헬스 · 실버 서비스업의 굴기 2013~2016년 헬스서비스 관련 기업의 영업수입은 연평균 12.6%의 성장을 기록 - 실버산업 관련 기업의 영업수입 연평균 성장률은 28.7%로 나타남 헬스·실버산업과 관련된 시설설비, 전문 인력, 서비스 수준도 크게 향상됨 - 2016년 중국의 병원은 2.9만 곳, 의료침상 741만 개, 의료인 845만 명으로 2012년 대비 각각 25.8%, 29.4%, 26.6% 증가함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거주형태의 양로서비스 기관(실버타운)은 2.78만 개, 침상 680만 개로 2012년 대비 63.3% 증가함 ■ 공교육 투자 · 교육시장 확대 중국의 2016년 교육경비 투입 규모는 38,866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35.6%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국가 재정성 교육경비는 31,373억 위안으로 중국 GDP의 4.2%를 차지함 공공교육과 더불어 사교육 시장도 크게 확대되어 2016년 각종 형태의 학원은 17.1만 개로 2012년 대비 3.1만 개가 증가했으며, 학원에 다니는 학생 수는 4,825만 명으로 914만 명이 증가함 - 시진핑 집권 1기 교육관련 기업의 영업수입은 연평균 13.0% 증가함 - 같은 기간 직업능력, 체육, 문화예술 분야 교육기관의 영업수입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11.5%, 26.2%, 12.2%로 나타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四- 新蓬勃 起 新 茁 成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五-服 擎起半壁江山 新 服 蓬勃 展》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九-科技 展成效 著 新 加力提速》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