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의 과학기술 투자 및 발전 현황
시진핑 정부의 과학기술 혁신 지원과 시장주체의 기술발전이 향상됨에 따라 기술혁신 투자 급증, 투자 규모는 세계 상위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함 2016년 중국의 R&D 경비지출은 15,500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50.5% 증가했으며 시진핑 집권 1기 기간 연평균 10.8%의 성장을 기록 - GDP 중 R&D 비중은 2.08%로 2012년 보다 0.17%p 늘어남 과학기술에 대한 재정투입 역시 증가해 2016년 중국의 국가일반공공예산 가운데 과학기술 지출은 6,568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47.5% 증가함 기업의 R&D 투자 규모는 2015년 10,589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38.9% 증가함 -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R&D 지출은 10,014억 위안으로 영업수입의 0.9% 비중을 차지함 2016년 중국의 국가중점연구계획 프로젝트는 총 42개 전문분야의 1,163개임 - 중국의 중점실험실은 488개, 국가 프로젝트연구센터 131곳, 국가 프로젝트 실험실 194곳, 국가 기업 기술센터 1,276곳으로 집계됨 중국의 과학기술 관리체계 시스템화, 시장주도의 혁신체계 완비에 따라 혁신능력이 크게 향상됨 2016년 중국의 특허신청 건수는 346.5만 건으로 2012년 대비 68.9% 증가함 - 이 가운데 발명특허 신청건수는 133.9만 건으로 105.1% 증가했으며, 중국의 발명특허 신청건수는 6년 연속 세계 1위임 중국이 획득한 특허권 수는 175.4만 건으로 2012년 대비 39.8% 증가함 - 그 중 발명특허 획득 건수는 40.5만 건으로 86.2% 증가했으며, 전체 특허권 획득의 23.0%의 비중을 차지함 2016년 중국에서 유효한 발명특허는 110만 건임 세계 지적재산권기구가 발표한 세계 혁신지수에 따르면 중국의 혁신능력 종합순위는 2012년 34위에서 2016년 25위로 랭크됨 2016년 중국의 기술시장 거래 규모는 11,407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77.2%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四- 新蓬勃 起 新 茁 成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五-服 擎起半壁江山 新 服 蓬勃 展》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九-科技 展成效 著 新 加力提速》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지역별 도시군과 도시 수
시진핑 정부는《전국 중점기능지역 규획(全 主 功能 )》과 《국가신형도시화계획》에 따라 “일대일로” 건설, 징진지협동발전, 창장경제벨트 건설 등의 지역발전전략을 실시 - 지역발전전략의 핵심인 도시군은 전략전통적인 성시 단위의 경제·행정 체계를 확대해 특정 지역에 집중 분포된 도시들을 하나의 도시군으로 묶어 도시 간 연계를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형성·발전시킨 도시집합체임 2015년 중국의 3대 도시군 징진지, 창장삼각주, 주장삼각주 지역의 국토면적은 5.2%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23%가 집중되어있으며, 국내총생산의 39.4%가 이 3개의 도시군에서 창출됨 중국 신형도시화 전략에 따라 빠른 성장을 보이는 지역별 도시군은 다음과 같음 - 동부지역: 산둥반도(山 半 )도시군, 해협서안(海 西岸)도시군 - 중부지역: 중웬(中原)도시군, 창장중역( 江中游)도시군 - 서부지역: 청위(成 )도시군, 관중( 中)도시군, 베이부완(北部 )도시군 - 동북지역: 하창(哈 )도시군, 랴오중난( 中南)도시군 2016년 중국의 도시는 총 657개임 - 직할시 4개, 부성급도시 15개, 지급시 278개, 현급시 360개 - 지역별 도시 수는 동부지역 지급시 이상 도시와 현급시가 각각 89개, 124개, 중부지역은 80개, 89개, 서부지역은 94개, 92개, 동북지역은 32개, 55개로 집계됨 2015년 호적인구 기준 100-300만 명 규모의 도시는 총 121개로 2012년보다 15개 증가함 - 300-500만 명 규모 도시는 13개로 4개 증가 - 500만 명 이상 도시는 13개로 1개 증가 2015년 지급시 이상 도시의 행정구역 토지 면적은 73.8만㎢로 2012년 대비 11.6%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九- 城 化水平持 提高 城市 合 力 著增强》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一-就 形 持 向好 民生之本亮点 呈》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六-人口 展 略不 完善 人口均衡 展取得成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신형도시화 추진 현황
시진핑 지도부는 2013년 집권 이래 국가발전의 최대 화두 중 하나로 도시화를 줄곧 거론 - 중국 국무원이 2014년 3월 16일 발표한《국가신형도시화계획( 家新型城 化 )(2014~2020)》에서도 “중국 경제발전의 근본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내수 확대를 위한 최대 잠재력은 도시화에 있다”고 규정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도시화수준은 빠르게 향상되어, 2016년 도시 상주인구는 7억 9,298만 명, 농촌 상주인구 5억 8,973만 명으로 도시화율은 57.4%에 달함 - 2012년 대비 4.8%p 증가했으며, 호적인구와 상주인구 기준 도시화율 격차는 1.4%p 감소함 - 같은 기간 도시 상주인구는 8,116만 명 증가했으며, 농촌 상주인구는 5,249만 명 감소함 중국의 지역별 도시화율은 2016년 동부지역이 65.94%로 2012년 대비 4.08%p 증가했고, 동북지역은 61.6%로 2.07%p 증가 비교적 낮은 수준의 도시화율을 보인 중서부지역의 도시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2016년 중국 중부와 서부지역의 도시화율은 각각 52.77%, 50.19%로 2012년 대비 5.57%p, 5.46%p씩 증가함 중국 정부는 호적인구 기준 도시화율 제고를 위해 토지, 재정, 교육, 취업, 의료, 양로, 주거보장 등의 개혁을 끊임없이 추진해 농업 인구의 시민화를 위해 노력 중임 - 2015년 지급시 이상 도시의 호적인구 수는 4억 4,639만 명으로 2012년 대비 4,321만 명 증가함 농업 인구의 시민화를 위해 “1억 인구의 세 가지 방안(三 1 人)”, 농촌 인구의 도시 이주 유도, 상주인구 도시화율과 호적인구 도시화율의 격차 축소, 농촌 출신 도시 이주민들의 구직 지원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음 2016년 중국의 유동인구 실제 거주지와 호적상의 주소지가 6개월 이상 다른 인구(시 직할구 내 유동인구는 제외) 은 2.45억 명으로 전체인구의 17.7%에 달함. 2012년 대비 유동인구는 874만 명 증가했으며 유동인구 비중은 0.3%p 증가함 - 여전히 유동인구 규모는 큰 편이나 농민공 증가세 둔화와 농촌 출신 도시 이주민의 도시호적 부여 정책으로 유동인구 증가세가 크게 줄어들었음 - 유동인구의 이러한 변화는 신형도시화의 성과를 보여줌과 동시에 중국 인적 자원의 효율적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九- 城 化水平持 提高 城市 合 力 著增强》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一-就 形 持 向好 民生之本亮点 呈》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六-人口 展 略不 完善 人口均衡 展取得成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노동인구의 규모와 특징
시진핑 집권 1기 중국의 경제성장은 고속성장에서 중속성장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에 맞춘 적극적인 취업지원, 창업 환경 조성, 안정적인 고용 환경 마련, 노동의 질 향상 등 고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실시 2016년 중국의 16-59세에 해당하는 노동인구는 9억 747만 명으로 총 인구의 65.6%의 비중을 차지함 - 중국 0-15세 인구는 4억 4,438만 명으로 17.7%를 차지함 중국의 노동인구는 2012년 9억 2,198만 명에서 2016년 9억 767만 명으로 2012년 처음 줄어들기 시작해 5년 연속 감소세를 보임 - 반면, 중국의 취업자 수는 2012년 7억 6,704만 명에서 2016년 7억 7,603만 명으로 연평균 225만 명씩 증가함 노동인구는 줄었지만 1억 명의 고등 교육 이수자와 전문 기술을 가진 인적 자원으로 노동인력이 풍부해짐에 따라, 중국정부는 인구보너스에서 인재보너스로의 전환을 목표로 삼음 - 2016년 중국의 누적 각종 전문 기술 자격증 소지자는 총 2,358만 명으로 2012년 대비 783만 명 증가함 - 2013-2016년 누적 귀국 해외유학생은 156만 명으로 집계됨 중국의 도시 신규 취업자는 2012년 1,266만 명에서 2016년 1,314만 명으로 2013년 이후 줄곧 1,300만 명 이상을 유지해옴 - 시진핑 집권 1기 누적 신규 취업자는 6,500만 명 이상으로 매년 목표량을 달성함 2012-2016년 중국의 도시 등록 실업자 수는 평균 약 900만 명, 실업률은 4.1%로 정부의 목표인 4.5%보다 낮은 수준임 - 그러나 중국 31개 대도시의 조사 실업률은 약 5.1%에 달함 산업구조에 따른 산업별 노동인구의 변화 - 2016년 중국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3억 3,757만 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43.5%를 차지해 2012년 36.1% 대비 7.4%p 증가함 - 같은 기간 1차 산업의 종사자 비중은 33.6%에서 27.7%로 감소, 2차 산업은 30.3%에서 28.8%로 감소함 업종별로 살펴보면, 장비제조업 종사자 수가 빠르게 증가함 - 그 중, 자동차 제조업, 전기·기계제조업, 컴퓨터·통신·전자설비제조업의 종사자 수는 각각 341만 명, 380만 명, 706만 명으로 2012년 대비 26.3%, 39.1%, 37.8%의 증가율을 보임 시진핑 집권기간 현대 서비스업 종사자 수도 크게 증가해 보험업, 부동산 중개서비스, 임대업, 비즈니스 서비스업, 과학기술 응용 서비스업, 오락업 등의 종사자 수가 연평균 10% 이상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九- 城 化水平持 提高 城市 合 力 著增强》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一-就 形 持 向好 民生之本亮点 呈》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六-人口 展 略不 完善 人口均衡 展取得成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인구 규모와 인구구조
시진핑 집권 1기 중국은 인구수 증가율 둔화, 저출산, 노동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고령화 심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음 - 인구수와 인구구조의 변화는 장기적으로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2016년 중국의 인구는 13억 8,271만 명으로 2012년보다 2,867만 명 증가하며 연평균 5%대의 증가율을 기록함 지역별 인구분포는 “동多서少”의 경향을 보임 - 2016년 동부지역의 인구는 5억 2,950만 명으로 중국 전체의 38.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북지역의 인구는 1억 910만 명으로 7.9%, 중부지역은 3억 6,709만 명으로 26.6%, 서부지역은 3억 7,414만 명으로 27.1%의 비중을 차지함 시진핑 정부는 인구구조 변화의 직접적인 해결방안으로 출산정책 조정을 추진함 - 2013년 18기 3중전회에서 발표한《전면적 개혁 심화를 위한 몇 가지 중대 문제에 관한 결정》을 통해 “부모 중 한 명만 독자여도 자녀를 두 명까지 낳을 수 있다.” 는 정책으로 1979년부터 유지해온 한자녀 정책을 부분적으로 완화함 - 이어 2015년 18기 5중전회에서는 전면적 두 자녀 정책을 도입해 한 부부가 두 자녀를 갖는 것을 허용하며 36년간 유지해온 한 자녀 정책을 폐기함 전면적 두 자녀 정책 이후 신생아 수는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중국의 신생아 수는 1,786만 명으로 지난 3년 평균 신생아 수인 1,654만 명보다 132만 명 많은 수준임 신생아 수의 증가로 성비불균형이 다소 해소되고 있음 - 2012년 여아 100명당 남아 117.7명이던 출생성비는 2015년 113.5명으로 감소해 두 자녀 정책이 성비 불균형을 해소할 것이라 기대 2015년 중국인의 기대수명은 76.34세로 2010년 74.83세에서 1.51세 증가하며 고령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 예상됨 - 남성의 기대수명은 73.64세, 여성의 79.43세로 2010년 대비 각각 1.26세, 2.06세로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빠르게 늘어남 중국 노인인구의 건강상태는 ‘건강하다’ 40.50%, ‘보통이다’ 41.85%, ‘몸은 불편하지만 혼자 생활이 가능하다’ 15.05%, ‘혼자 생활이 불가능하다’ 2.06%로 집계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九- 城 化水平持 提高 城市 合 力 著增强》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一-就 形 持 向好 民生之本亮点 呈》 3.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十六-人口 展 略不 完善 人口均衡 展取得成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빈곤인구와 지역별 빈곤 현황
시진핑 정부는 중국공산당 제 18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빈곤 인구 구제를 위한 “우거이피(五 一批)” 프로젝트를 추진 - ▲농촌의 빈곤 인구수 감소, ▲빈곤 발생율의 지속적인 하락, ▲빈곤지역 농촌 주민 수입의 빠른 증가, ▲생활소비 수준의 질적 제고, ▲생활 조건과 환경의 개선 등의 성과를 이루어 2020년에는 모든 빈곤지역과 빈곤인구가 샤오캉 사회 국면으로 접어들게 할 것을 목표로 함 중국의 농촌 빈곤 2010년 규정한 중국의 농촌빈곤 기준은 연간 1인당 순수입 2,300위안 이하임 인구는 매년 약 1,300만 명씩 감소하고 있음 - 중국의 농촌인구 규모는 2012년 9,899만 명에서 2016년 4,335만 명으로 감소함 - 전국 농촌빈곤 발생률은 2012년 10.2%에서 2016년 4.5%로 하락하여 5.7%p 감소하였으며, 연평균 1.4%p 감소함 중국의 지역별 빈곤 감소율은 50% 이상을 기록함 - 동부지역 농촌 빈곤인구는 2012년 1,367만 명에서 2016년 490만 명으로 감소하여 누적 감소 인구 877만 명으로 감소폭이 64.2%에 달함 - 중부지역의 농촌 빈곤 인구는 2012년 3,446만 명에서 2016년 1,594만 명으로 누적 감소 인구 1,852만 명으로 감소폭은 53.6%임 - 서부지역의 농촌빈곤인구는 2012년 5,086만 명에서 2016년 2,251만 명으로 누적감소 인구 2,835만 명으로 감소폭은 55.7%임 빈곤지역 환경 개선을 위한 인프라 투자도 크게 확대되어 가고 있음 2016년 통신은 산간오지지역을 모두 커버하는 수준임 - 산간오지지역의 전화 보급률은 98.2%로 2012년에 비해 4.9%p 증가하였음 - 유선방송 보급은 81.3% 수준으로 2012년 대비 12.3%p 증가하였고, 인터넷 네트워크는 63.4%로 2012년 대비 25.1%p 증가하였음 2016년 간선도로 건설로 산간오지지역의 77.9% 도로를 연결하여 2013년 대비 18%p 증가하였음 - 여객운수의 연결 비중의 49.9%로 2013년 대비 11.1%p 증가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六- 精准 成效卓著小康短板加速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七-居民收入持 快增 人民生活 量不 提高》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소비 수준과 소비 패턴의 변화
2016년 중국 주민의 소비 지출은 평균 17,111위안으로 2012년 대비 33.1%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7.4%에 달함 도시 주민의 평균 소비는 23,079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26.2% 증가하였고, 농촌 주민의 소비는 10,130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43.4%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9.4%에 달함 2016년 중국 주민 평균 식품・담배・주류의 지출은 5,151위안으로 2012년 대비 21.2% 증가했으며, 시진핑 집권기간 연평균 4.9% 증가하였음 중국의 엥겔지수 가계 소비지출 총액에서 식품 및 술・담배의 지출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 는 2012년 33.0%에서 2016년 30.1%로 감소하여 2.9%p 낮아짐 도시 주민의 식품・담배・주류 지출은 6,762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17.6% 증가했으며, 연평균 4.1% 증가하였음 - 도시 주민의 엥겔지수는 2012년 31.4%에서 2016년 29.3%로 감소하여 2.1%p 낮아짐 농촌 주민의 평균 식품・담배・주류 지출은 3,266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23.3%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 5.4%임 - 농촌 거주민의 엥겔지수는 2012년 37.5%에서 2016년 32.2%로 감소하여 5.3%p 낮아짐 - 엥겔지수의 감소는 주민 생활수준이 높아졌음을 의미함 식품 소비가 줄어든 반면 서비스 소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2016년 중국 주민 평균 교통・통신 지출은 2,338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55.7%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11.7% 증가하였음 - 이는 주민의 평균 소비 지출보다 4.3%p 빠른 증가로 1인당 소비지출의 약 13.7% 비중을 차지하며 2012년에 비해 2.0%p 증가하였음 2016년 주민 평균 교육・문화・오락 지출은 1,916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41.7%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9.1% 증가함 - 매년 1.7%p의 증가세를 보이며, 1인당 평균 지출의 11.2% 비중을 차지함 - 이는 2012년에 비해 0.7%p 상승한 수준임 2016년 주민 평균 의료보건 지출은 1,307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60.6% 증가하였음 - 또한 연평균 증가율 12.6%로 전국 주민 소비 지출 증가율 보다 5.2%p 빠르고, 1인당 소비지출 비중의 7.6%를 차지하며 2012년에 비해 1.3%p 증가하였음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六- 精准 成效卓著小康短板加速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七-居民收入持 快增 人民生活 量不 提高》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도시・농촌 간 소득 격차 축소
중국의 도시주민과 농촌주민의 소득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 2016년 중국 도시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33,616위안으로 2012년 대비 39.3% 증가함 - 반면 농촌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12,363위안으로 2012년 대비 47.4% 증가함 농촌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의 연평균 실질성장률은 도시주민보다 1.5%p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2016년 도시와 농촌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 격차는 2.72(농촌주민소득=1)로 2012년 대비 0.16p 하락함 서부지역의 주민 소득 수준 향상으로 중국 지역 내 소득 격차가 줄어들고 있음 2012년 이후 중국 서부지역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10.3%의 증가세를 보이며 중부지역보다 0.4%p, 동부지역보다 0.9%p, 동북지역보다는 1.8%p 높은 수준임 2016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의 주민 1인당 소득 격차는 1.67(서부지역주민 수입=1)로 나타남 -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의 소득격차는 1.09, 동북지역과 서부지역은 1.21임 - 동부와 서부, 중부와 서부, 동북과 서부의 소득격차는 2012년 대비 각각 0.06, 0.02, 0.08 축소됨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六- 精准 成效卓著小康短板加速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七-居民收入持 快增 人民生活 量不 提高》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주민 소득 증대와 소득구성 변화
시진핑 정부는 도시와 농촌의 안정적인 소득 증대, 도농 소득 격차 축소, 소비수준 제고, 생활환경 개선 등을 통해 2020년 전면적 샤오캉(小康: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추진 중임 중국의 주민소득은 경제 성장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2016년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23,821위안으로 2012년 대비 44.3% 증가했으며 연평균 7.4%의 성장세를 보임 중국 주민의 소득 구성은 전이성수입과 재산순수입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월급성수입과 경영순수입 비중은 감소하였음 2016년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 가운데 1인당 평균 전이성수입은 4,259위안으로 2012년 대비 56.2% 증가했으며, 연평균 11.8%의 성장세를 보임 - 전이성수입은 1인당 가처분소득의 17.9% 비중을 차지하며 2012년 대비 1.4%p 증가함 1인당 재산순수입은 1,889위안으로 2012년 대비 53.5% 증가했으며 가처분소득의 7.9%의 비중을 차지함 중국 가처분소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월급성수입은 1인당 평균 13,455위안으로 2012년 대비 43.5% 증가하여, 연평균 9.4%의 증가율을 나타냄 - 1인당 가처분소득 내 월급성수입의 비중은 2012년 56.8%에서 2016년 56.5%로 0.3%p 감소함 1인당 경영순수입은 4,218위안으로 시진핑 집권기간 33.0% 증가했으나, 1인당 가처분소득 내 비중은 같은 기간 1.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2016년 중국의 지니계수는 0.465로 2012년 대비 0.009 하락함 시진핑 집권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지니계수는 2015년 0.462를 기록했으나 2016년 다소 상승함 - 2016년 한국의 지니계수는 0.304임 <출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六- 精准 成效卓著小康短板加速 》 2.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七-居民收入持 快增 人民生活 量不 提高》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장경제벨트 산업 특징 및 현황
시진핑 집권 1기 창장경제벨트의 산업발전 전략은 전통 산업의 기틀을 다지고, 산업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함 - 2016년 창장경제벨트의 산업구조는 8.1 : 42.9 : 49.0임 창장 유역은 중국의 중요한 농업 생산 중심지로 농업 현대화가 가속화되고 있음 - 창장경제벨트는 중국 농경지 면적의 1/3을 차지하고, 농・임・목축・어업 총생산의 41.3%를 차지함 - 창장유역은 농수 사용이 편리하고, 농촌 전기 보급률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창장삼각주 평원의 농업기계화, 농작물의 하우스 재배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시진핑 집권기간 창장경제벨트의 제조업은 혁신 발전전략의 실시로 산업 구조 재편, 기술 선진화, 고부가가치 공업체계 구축이 진행되고 있음 - 따라서 2016년 장비제조업의 공업 내 비중은 39.1%로 2012년보다 4.9%p 증가했으며, 전국대비 6.2%p 높은 수준임 창장경제벨트는 산업밀집도가 높다는 특징을 가짐. 그 중 섬유, 가전, 전자, 전력, 화공, 자동차, 선박, 건설 자재, 장비 제조업 등의 산업밀집도가 뚜렷하게 나타남 2016년 창장경제벨트의 서비스업 생산총액은 16,3194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64,574억 원 증가했으며, 3차 산업 비중은 같은 기간 7.2%p 증가함 - 특히 금융, 부동산,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업 등 신흥 서비스업이 급성장하고 있음 시진핑 집권기간 창장경제벨트 지역은 국제경쟁력 제고, 해상・육상을 통한 대외개방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음 - 2012~2016년 창장경제벨트 11개 지역의 수출입 총액은 연평균 1.6%씩 증가했으며, 전국대비 비중이 2012년 40.4%에서 2016년 42.5%로 높아짐 - 외상투자기업 수는 2012년 18.49만 개에서 2015년 20.9만 개로 13% 증가함 중국의 자유무역시범구 개혁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면서 현재까지 설립된 11개 시험구 가운데 5개(상하이, 저장, 후베이, 충칭, 쓰촨)가 창장경제벨트 지역에 위치함 - 상하이가 창장유역 전반의 발전을 선도하고, 우한은 창장 중역, 충칭은 창장 상류의 대외개방을 이끌고 있음 시범구가 설립된 5개 지역의 GRDP, 고정자산투자, 대외무역 규모는 창장경제벨트의 각각 47.0%, 42.0%, 58.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출 처> 1. 《 的十八大以 社 展成就系列之二十二-建 江 引 展新格局》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