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베이징의 기술거래시장 규모
베이징은 중앙정부의 혁신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11개의 국가 과학 기술 분야의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베이징에는 세계 500대 기업 본사가 52개 설립되어 있어 중국 1위를 차지했음 중국은 인재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천인계획"과 “하이쥐프로젝트(海聚工程)"를 추진하였고, 해당 프로젝트로 각각 1,103명, 612명의 인재를 유치함 - 또한 누적귀국유학생 수는 10만 명 이상으로 집계되어 전국의 1/4에 달함 베이징의 R&D 센터는 412곳으로 국가중점실험실 111개, 국가프로젝트실험실 50개, 시급(市 )프로젝트연구센터와 실험실은 각각 43개, 180개 이상으로 집계됨 베이징의 국가급 하이테크 기업은 1만 개 이상으로 전국대비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관련 기업은 약 24만 개로 베이징시 전체 기업의 30%에 달함 2015년 베이징의 기술계약은 7만 2,272건으로 전년대비 7.4% 증가했으며 계약규모는 3,452.6억 위안으로 10.1% 증가함 - 베이징의 기술거래시장은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국 기술계약의 35.1% 비중을 차지함 <출처> 1. “十二五”期 北京市 略性新 展回 ,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 2017-12-21 2. 『北京 年 』(2016, 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의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성과
12・5 규획 기간 베이징은 신흥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주력했음 IT산업은 IT 기술 아웃소싱, 소프트웨어 판매의 경쟁력 제고와 빅데이터 응용기술 등의 수준 향상으로 국제적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고 있음 - 베이징에서는 중국 대표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SMIC(중심국제반도체)의 12인치 반도체,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인 징동팡(京 方, BOE)의 8.5세대 액정패널 등 대형 생산라인이 가동되고 있음 베이징의 바이오산업 생산총액 규모는 전국 1위임 - 백신, 진단시약의 매출액은 국내 시장 점유율의 각각 1/3, 1/7이상을 차지함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빠르게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판매가 자동차 판매의 약 1/3에 달하고, 전기버스, 전기환경미화차량 및 관련 부품의 기술이 크게 향상됨 베이징에는 현재 5개의 대형 충전소와 3.2만개의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음 - 전기자동차와 충전설비 비율은 1.6:1로 중국 내 충전설비 규모 선두임 항공 우주 산업은 유인 우주 탐사, 인공위성 활용 등 우주 과학 관련 기술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 <출처:. “十二五”期 北京市 略性新 展回 ,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 2017-12-2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현황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17년 12월 21일 “12・5 규획 기간 베이징시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회고”를 발표 - 12차 5개년 규획(2010~2016년) 시기 베이징의 전략적 신흥산업의 발전성과를 정리함 베이징시는 2011년 7월 《베이징시전략성신흥산업가속육성과발전에관한의견(北京市 于加快培育和 展 略性新 的 施意 )》을 발표 베이징시 8대 전략적 신흥산업은 차세대 정보 기술, 바이오, 친환경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친환경 자동차, 항공우주, 첨단장비제조로 분야별 로드맵을 제시했음 2015년 베이징 규모 이상 공업생산 가운데 전략적 신흥 산업 비중은 23.3%로 2013년 대비 3.3%p 증가함 - 또한 규모 이상 서비스업 중 전략적 신흥 산업기업의 실질 영업이익은 6,428.3억 위안으로 2013년 대비 10.1% 증가함 2015년 베이징 하이테크 산업의 총생산은 5,180.8억 위안으로 전체 베이징 GRDP의 22.6%의 비중을 차지함 - 이는 2010년 대비 3.5%p 증가한 수준이며, 12・5 규획 기간 연평균증가율은 12.9%임 베이징의 하이테크 산업은 하이테크 서비스업 4,193.3억 위안, 하이테크 제조업 987.5억 위안으로 전체 산업대비 각각 80.9%, 19.1%의 비중을 차지함 <출처> 1. “十二五”期 北京市 略性新 展回 ,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 2017-12-21 2. 『北京 年 』(2016, 20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수입식품 오프라인 소비 현황
온라인 쇼핑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오프라인을 통한 수입식품 소비비중은 17%에 달함 오프라인 수입식품 소비자의 주 구매처는 대형마트 66%, 수입식품 전문점 56%, 고급 수입 마트 48%, 직접/지인 해외 구입 43%, 백화점 30%, 편의점 21%로 집계됨 - 본 조사는 중국의 1선 도시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프라인으로 수입식품 구매가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 판단됨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오프라인 구매 이유는 '품질보장'과 '실물을 보고 직접 고를 수 있음'이 각각 40%, 37%로 가장 많이 답함 - 또한 A/S와 구매처에서의 보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구매처, 다양한 종류, 가격 할인, 지인 추천 등의 이유로 오프라인 소비를 선호함 수입식품의 오프라인 소비자의 온라인으로 구매시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낮은 품질 32%, 가품 우려 30%, A/S가 보장되지 않음 30%로 나타남 - 또한 느린 배송과 통관, 식품 안전, 온라인상의 설명과 실물이 일치하지 않음, 해외브랜드에 익숙하지 않음, 배송 중 파손, 짧은 유통기한 등과 같은 이유로 오프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임 <출처: 中 口食品消 究白皮 , 艾瑞咨 , 2017-12-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수입식품 온라인 소비 현황
중국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은 1세대인 징둥(JD.COM), 티몰(Tmall), 아마존, 타오바오를 시작으로 2세대 워마이왕(我 ), 쑤닝이거우( 易 ), 1하오뎬(1 店) 등으로 확대됨 수입식품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만족도는 워마이왕이 38%로 1세대 플랫폼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함 - 2위는 징둥 33%, 3위는 티몰 31%, 4위는 카올라닷컴(kaola.com) 21%, 5위는 타오바오 19%로 나타남 - 워마이왕은 식품전문 온라인쇼핑 플랫폼으로 산지직송, 엄격한 상품 선별 등 직접 운영 형식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임 수입식품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상품의 안전과 품질 보장임 - 이외에도 플랫폼의 서비스 품질, 좋은 가격, 편리함, 산지 직송 등을 고려함 수입식품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 품목은 식품에서 주방 소모용품에 이르기까지 점차 다양화 되고 있음 - 스낵과 사탕/초콜릿을 제외한 곡식류, 과일, 유제품, 냉동육/해산물 등 신선제품의 구매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은 2008년 분유 파동 이후 수입 분유의 비중이 크게 증가 수입식품의 온라인 구매처는 브랜드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가 71%로 가장 높고, 온라인 쇼핑 플랫폼 69%, 브랜드 직영 판매점 63%, 해외 구매대행 49%, 해외직구 41% 등으로 나타남 <출처: 中 口食品消 究白皮 , 艾瑞咨 , 2017-12-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 특징
중국 수입식품 주 소비층은 고등교육을 받은 빠링허우(80년대생) - 수입식품 소비자의 85%가 대졸이상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80년대 생에 해당하는 26세-30세(31%), 31-35세(34%)가 65%에 달함 주 소비층인 빠링허우가 가정을 꾸리고, 양육을 하면서 소비품목이 개인용품에서 가정용품으로 전환되고 있음 - 빠링허우의 소비 특징은 가격 민감도가 낮고, 품질, 다양성, 개성화에 대한 관심이 많음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79%는 기혼, 21% 미혼이며, 소비자의 91%가 자녀가 있다고 답변함 자녀의 연령분포 비중은 12세 이상 9%, 6-12세 26%, 3-6세 29%, 2-3세 16%, 1-2세 15%, 6-12개월 9%, 3-6개월 4%, 1-3개월 2%로 3-12세의 자녀를 가진 가정의 수입식품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임 수입식품 소비자의 가정구성은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형태가 47%로 가장 높으며, 1인 가구 9%, 부부/연인 2인 가구 15%, 부모님과 거주 15%, 기타 13%로 나타남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직업은 화이트칼라 직군의 소비가 두드러짐 - 기업 일반 관리직이 27%로 가장 많으며, 기업 일반직 21%, 기업 중간급 관리직 19%, 전문 기술직 10%, 전문직(변호사, 회계사, 의사) 8%, 공무원 7%, 기업 고위 관리직 4%, 개인사업자 3%, 프리랜서 2% 순으로 집계됨 수입식품 소비자의 가정 월수입(세전)은 2만 위안 이상이 53%에 달함 - 수입식품 소비자의 소득 분포는 4만 위안 이상 13%, 3-4만 위안 11%, 2-3만 위안 29%, 1-2만 위안 38%, 1만 위안 미만 10%로 나타남 <출처: 中 口食品消 究白皮 , 艾瑞咨 , 2017-12-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수입 식품 소비 현황
중국 리서치기업 아이리서치(艾瑞咨 )는 2017년 12월 “중국수입식품소비연구보고서(中 口食品消 究白皮 )”를 발표 - 보고서는 중국의 1선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의 최근 3개월 이내 온・오프라인으로 1회 이상 수입식품을 구입한 1,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분석 중국의 수입 전자상거래 소비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중국의 2016년 수입 전자상거래 규모는 1.2조 위안으로 집계되었으며, 2018년엔 1.9조 위안에 달할 것이라 전망 중국인의 소득 증가로 소비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상품의 품질, 안정성,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 따라서 수입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중국의 2017년 해외 인터넷쇼핑 시장은 전체 인터넷쇼핑 시장의 5.5%에 달할 것으로 예상 2017년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구매 경로는 온라인 구매 58%, 온・오프라인 구매 26%, 오프라인 구매 17%로 온라인을 이용한 구매가 84%로 나타남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는 호주산 식품을 가장 선호 -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식품수입 선호 국가는 호주가 44%로 가장 높으며, 미국(37%), 일본(33%), 독일(28%), 동남아(21%), 한국(18%), 프랑스(18%), 영국(17%), 캐나다(16%), 이탈리아(14%), 중남미(8%) 순으로 나타남 <출처: 中 口食品消 究白皮 , 艾瑞咨 , 2017-12-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법인의 업종별 상위지역
중국 법인의 업종별 상위지역은 대체적으로 법인 수가 많은 장쑤, 산둥, 광둥이 차지하고 있음 반면, 채광업, 과학연구 및 기술서비스업, 교육, 위생 및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업, 문화 분야에서는 지역 특화가 두드러짐 - 채광업은 구이저우, 과학연구 및 기술서비스업과 문화, 체육, 오락업은 베이징, 공공서비스업인 교육과 생 및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업은 허난의 법인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출처: 《中 基本 位 年 》(2017년)>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지역별 법인 현황
2016년 중국의 31개 성시 가운데 법인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동부연해의 장쑤(1,907,732개), 산둥(1,652,065개), 광둥(1,521,420개), 저장(1,497,165개) 순으로 나타남 - 상위 4개 지역을 제외하고는 법인 수가 100만 개 미만으로 집계됨 <출처: 《中 基本 位 年 》(2017년)>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업종별 법인 현황
중국 산업별 법인 수 비중은 1차 산업이 6.9%, 2차 산업 21.7%, 3차 산업 71.3%으로 3차 산업 법인이 가장 많음 - 2016년 중국의 산업비중은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이 8.6 : 39.9 : 51.6임 2016년 중국 법인의 업종별 비중은 도소매업이 27.7%로 가장 높음 - 다음으로 제조업 16.6%, 임대 및 비즈니스서비스업 9.7%, 공공관리, 사회조직 8.8%, 농, 임, 목, 어업 8.1% 순으로 나타남 중국 법인의 업종별 비중 변화는 제조업, 도소매업, 공공관리・사회조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남 1996년 제조업과 공공관리・사회조직의 법인 수 비중은 각각 28.5%, 26.9%였으나, 20년 후인 2016년에는 16.6%, 8.8%로 크게 축소됨 - 제조업은 11.9%p, 공공관리・사회조직은 18.1%p 감소함 반면 도소매업은 1996년 15.5%에서 2016년 27.7%로 12.2%p 증가함 이밖에도 같은 기간 농업 법인 수 비중은 4.8%p 증가했으며, 임대 및 비즈니스서비스업은 2.2%에서 9.7%로 7.5%p 증가함 <출처: 《中 基本 位 年 》(2017년)>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