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의 법인 규모와 유형
중국국가통계국은 매년 《중국기본단위통계연감(中 基本 位 年 )》을 발표. 중국의 업종별, 지역별 법인 현황을 집계함 - 중국의 법인(기본단위)에는 기업법인, 사업법인, 기관법인, 사회단체 등을 포함 2016년 중국의 법인 수는 18,191,382개로 전년대비 15.7% 증가함 - 중국의 법인 수는 2010년 8,754,588개에서 2016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2014년 전년대비 26.6%를 기록하며 최근 들어 급증함 2016년 중국 유형별 법인 비중은 기업법인이 80.4%로 가장 크고, 사업법인 4.5%, 기관법인 1.4%, 사회단체 1.7%, 기타 12.0%로 나타남 중국의 법인 가운데 단일 업종에 종사하는 법인은 17,637,847개로 전체 법인의 97%를 차지하고, 3%인 553,535개의 법인은 다업종 법인으로 집계됨 <출처: 《中 基本 位 年 》(2017년)>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 둔화
2017년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1월 2.5% 상승 이후, 4월부터 전년동기대비 1%대의 상승률을 보이며 대체적으로 둔화 - 중국의 2016년 소비자물가지수는 8월 1.3%를 제외하고는 1.8%~2.3%의 상승률을 기록했음 2017년 전월동기대비 소비자물가지수는 3월, 5월, 6월 각각 0.3%, -0.1%, -0.2%를 기록했으며, 모두 1% 이하의 상승률을 보임 중국의 2017년 산업별 소비자물가지수는 식품이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의료산업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 식품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월 2.5% 이후 급 하락하여 8월과 12월을 제외하고는 마이너스를 기록 - 의료분야 소비자물가지수는 5% 이상의 상승률을 보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사회소비품판매 규모 증가세 지속
중국의 소비 규모는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음 2017년 중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66,261.6억 위안으로 2016년 332,316억 위안 대비 33,945.6억 위안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10.2%에 달함 월별 소비추이를 살펴보면, 중국의 대표적인 소비시즌인 춘절 연휴에 비교적 많은 소비가 이루어짐 - 2017년 1~2월 두 달간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57,959.7억 위안으로 집계됨 - 이는 2017년 월 평균 30,521.8억 위안보다 많은 수치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산업구조별 고정자산투자 비중
중국의 2017년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631,684.0억 위안으로 연 7.2%의 증가율을 기록함 - 2016년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596,501억 위안임 산업구조별 고정자산투자 비중은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이 3.3 : 37.3 : 59.4로 나타남 중앙정부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23,511.6억 위안(3.7%), 지방정부는 608,132.4억 위안(96.3%)으로 집계됨 2017년 중국의 월별 고정자산투자는 5월이 76,886.6억 위안으로 가장 많았고, 1월을 제외하고는 50,000억 위안 이상의 투자규모를 보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수출입 규모 전년대비 11% 증가
2017년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410,447,458만 달러로 2016년 대비 11.4% 증가함 - 수출과 수입은 각각 226,349,005만 달러, 184,098,453만 달러로 전년대비 7.9%, 15.9%의 증가율을 보임 - 무역수지는 42,250,552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함 2017년 월별 수출입 규모는 12월이 40,886,634만 달러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중국 최대 연휴인 춘절이 있는 2월의 수출입 규모는 24,930,561만 달러로 가장 작음 수출이 가장 많은 달은 12월로 23,178,572만 달러, 수입이 가장 많은 달은 11월로 17,716,794만 달러로 집계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기업 빅데이터 활용 현황
2017년 3월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 信息通信 究院)에서 발표한 《중국 빅데이터 발전 조사 보고》는 중국 내 중소기업 1,465곳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 현재 중국의 1/3 이상의 기업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음 - 조사결과 35.1%의 기업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22.9%의 기업도 1년 이내 빅데이터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응답 데이터 관련 부서 운영에 대한 59.2%의 기업은 이미 관련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27.3%는 현재 관련 부서 신설을 계획중이며, 13.5%는 관련 부서 신설 계획이 없다고 답함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은 판매분석이 61.7%로 가장 많았으며, 고객분석 50.2%, 내부운영관리 48.4%, 공급사슬관리 22.6%, 기타 0.8%로 나타남 빅데이터 활용 결과로는 정책 결정 반영이 55.8%로 가장 많았으며, 운영 효율 제고도 48.2%로 집계됨 - 뿐만 아니라 리스크관리, 영업수입 창출, 고객만족도 제고, 생산능력 향상 등에도 효과를 나타냄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2017), 《中 大 据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지역별 빅데이터 발전 지수
2016년 중국의 지역별 빅데이터 발전지수를 살펴보면 광둥, 베이징, 상하이 등 동부 연안 발전지역이 산업 인프라, 풍부한 인재 등의 이유로 높게 나타남 광둥의 빅데이터 발전 지수가 83으로 가장 높으며, 베이징 65.5, 상하이 60, 저장 55.1 장쑤 47.6 순으로 나타남 - 동북과 서부지역인 지린, 헤이룽장, 신장, 닝샤, 시짱이 하위에 랭크됨 7위에 랭크된 구이저우는 성도인 구이양( )에 2014년 1월 '빅데이터 산업 특화 국가급 신구'인 구이안( 安)신구를 조성했으며, 2015년 2월엔 빅데이터 클러스터 발전시범구를 설립 - 구이저우에서는 2015년부터 매년 5월 '중국 국제 빅데이터 엑스포(China International Big Data Expo)'를 개최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산업 규모도 크게 확대됨 <출처> 1. 想用好大 据, 需要先了解 些事, 新 , 2017-12-15 2. '빅데이터 신구' 조성후 가난한 도시서 '디지털 밸리'로…구이양, 아주경제, 2017-06-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빅데이터 시장 규모
세계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2016년 663억 달러로 전년대비 57.5%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2020년에는 5,397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함 2016년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168억 달러로 전년대비 45.0% 증가했으며 세계 시장의 25.3%를 차지함 - 중국의 빅데이터 산업 지원 정책으로 관련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 - 2020년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578억 달러로 예상 빅데이터 시장의 구성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이루어짐 - 2016년 중국 빅데이터 시장 구성 비율은 하드웨어 32.1%, 소프트웨어 43.2%, 서비스 24.7%로 나타남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2017), 《中 大 据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빅데이터 산업 발전 계획
중국은 2015년부터 빅데이터를 국가 신흥산업으로 지정하여 육성하고 이와 관련된 응용산업에 대한 발전계획을 수립해옴 중국 국무원은 2015년 8월 개최된 상무회의에서 《빅데이터 발전 촉진을 위한 행동 요강( 于促 大 据 展的行 要)》을 통과 - 《요강》은 △정부정보시스템과 공공데이터의 개방 및 공유를 가속화하고, 통합관리 기능을 제고 △산업 혁신을 촉구하여 신흥 산업으로 육성 △보안을 강화하고 관리 수준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발전 촉구 등을 목표로 함 2015년 10월 중국공산당 18기 5중전회에서 인터넷플러스 계획과 함께 국가 빅데이터 전략 실시를 언급했으며, - 2016년 발표한 '제13차 5개년 규획'에도 국가 빅데이터 전략을 명시하며 빅데이터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함 2017년 1월 중국공업과정보화부(工 和信息化部)는《빅데이터산업발전계획(大 据 展 )(2016-2020년)》을 발표 - 《계획》에서는 7개 주요 임무로 △빅데이터 기술과 상품 연구개발 강화 △공업 빅데이터 혁신응용 심화 △업종의 빅데이터 응용발전 촉진 △빅데이터 산업의 주체육성 가속화 △빅데이터 표준 체계 구축 추진 △빅데이터 산업 지원 시스템 개선 △빅데이터 보안능력 제고를 제시함 <출처: 《大 据 展 (2016-2020年)》>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경제 관련 정책
중국 정부는 공유경제를 경제 성장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인식하고 “혁신장려, 신중포용(鼓 新, 包容 )”을 공유경제 발전 원칙과 정책방향으로 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음 2017년 7월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8개 부분은 공동으로 공유경제의 시장 진입 허가, 업종 관리・감독, 영업발전 환경 등을 내용으로 한《공유경제발전촉진에관한지도성의견》을 발표 중앙정부의 공유경제 정책 수립 이후 충칭, 저장, 톈진, 장쑤, 간쑤 등 지방정부에서도 공유경제발전 장려 관련 계획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음 <출처: 家信息中心(2018), 《中 共享 展年度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