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공유경제 종사자 특징
최근 공유경제에는 기존 전통산업, 과잉생산 산업, 빈곤지역의 노동력이 유입되어 과잉생산 산업의 생산능력 축소와 탈빈곤 정책에도 기여 하고 있음 디디추싱은 과잉생산 산업(석탄, 철강, 시멘트, 화학공업, 비철금속 등)의 종사자에게 393.1만 개의 일자리와 수입 창출 기회를 제공함 중국의 대표 음식배달업체 메이퇀(美 )에는 50만 명 이상의 배달 직원이 근무 중이며, 이들 가운데 15.6만 명이 과거 전통산업 및 생산과잉 산업 종사자로 31.2%에 달하며, 빈곤현 출신자는 9.2%에 달함 중국의 프로젝트 사업정보 공유 플랫폼 하오훠(好活)는 회사 설립 후 2년간 72.1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 월 12.1만 명의 회원이 활발히 이용하고 있음 <출처: 家信息中心(2018), 《中 共享 展年度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경제 종사자 규모
2017년 중국 공유경제활동 참여자 수는 7억 명 이상으로 전년대비 약 1억 명 증가함 - 그 중 서비스 제공자는 약 7천만 명으로 전년대비 천만 명 증가함 2017년 중국의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 종사자는 전년대비 131만 명 증가한 716만 명으로 집계됨 도시 신규종사자(1,354만 명) 대비 공유경제 플랫폼 신규종사자 비중은 2016년 6.5%에서 2017년 9.7%로 3.2%p 증가함 - 중국 도시 신규종사자의 10명 중 한명이 공유경제 기업에 고용되었으며, 공유경제의 활성화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 <출처: 家信息中心(2018), 《中 共享 展年度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경제 시장 현황
2018년 2월 중국국가정보센터( 家信息中心)는 중국인터넷협회와 공동으로《중국공유경제발전연도보고(2018)》을 발표 2017년 중국의 공유경제시장 규모는 49,20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7.2% 증가함 중국의 공유경제 가운데 금융 공유영역의 시장규모는 28,264억 위안으로 57.4%의 비중을 차지함 비금융 공유영역인 생활서비스는 13,214억 위안으로 26.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4,120억 위안(8.4%), 교통은 2,010억 위안(4.1%) 순으로 나타남 중국의 공유경제 구조는 금융 공유 비중은 감소하고, 비금융 공유 비중이 증가하면서 점차 업그레이드되고 있음 - 비금융 공유 시장 비율은 2016년 37.6%에서 2017년 42.6%로 5%p 증가한 반면 금융공유 시장비율은 5%p 하락함 공유경제의 분야별 증가추세는 지식기술, 생활서비스, 주택공유가 각각 전년대비 126.6%, 82.7%, 70.6%의 증가율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 2017년 중국의 공유경제 융자 규모는 2,16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5.7% 증가함 - 그 중 교통, 생활서비스, 지식기술의 융자규모는 각각 1,072억 위안, 512억 위안, 26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3.2%, 57.5%, 33.8% 씩 증가함 2017년 세계 10대 벤처투자 중 중국기업이 5개에 달함 - 2017년 디디추싱(滴滴出行)은 55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함 <출처: 家信息中心(2018), 《中 共享 展年度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정저우항공항구 주요 산업
정저우항공항구의 주요산업은 공항과 관련한 첨단산업을 발전시키고, 첨단서비스업과 혁신지식 기능을 육성해 중웬경제구 내 경쟁력있는 공항산업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함 항공물류업: 국제환승물류, 항공택배물류, 특수상품물류를 중심으로 분산 환적운송, 창고배송, 교역전시, 가공, IT 서비스 등 관련 서비스 기능 개선 첨단제조업: 항공설비제조 및 수리, IT, 바이오의약을 중점으로 정밀기계상품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반도체, 첨단 상품 규모화 현대서비스업: MICE, 전자상거래, 항공금융, 과학기술 연구개발, 첨단 비즈니스 무역, 본사경제 등의 산업을 발전시키고, 지역 맞춤 서비스 산업혁신센터, 생산성서비스센터, 외향성경제발전플랫폼을 조성 산업지원 플랫폼으로는 스마트 수출 환급 캐시플링,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팅 서비스 플랫폼, 공공자원거래센터, 스마트폰 연구개발 공공 서비스 플랫폼 등이 구축되어 있음 정저우항공항구에는 폭스콘, 허난공항그룹, 중국남방항공 등 항공기업과 쑤닝이거우, 웨이핀후이, 징둥 등 전자상거래 기업 등이 입주해 있음 정저우항공항구의 대표 입주기업인 대만 최대 반도체 업체 폭스콘(Foxconn)은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 위탁생산업체로 미국, 유럽, 일본 등 IT 업체의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로 세계 최대 규모임 - 폭스콘과 같이 부피가 작은 첨단 제조상품은 공항운송에 최적화 되어 있음 - 2017년 정저우항공항구의 휴대전화생산량은 2.99억 대로 2012년보다 4.4배 증가했으며 매년 약 4,000만대씩 생산량이 증가함 <출처> 1. 정저우국제항공항경제종합시험구 홈페이지(http://www.zzhkgq.gov.cn/) 2. 주우한총영사관(2017), 《허난성, 5년간 경제 관련 실적》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정저우항공항구 발전 전략
정저우항공항구를 국제항공물류센터로 만들기 위해 정저우 국제 공항 터미널 건설 - 세계 주요 허브 공항과 주요 경제권을 연결하는 항공 물류 통로를 더욱 발전시켜 운송 중계와 현대적인 종합 운송 체계 도입으로 중국의 주요 국제 공항 물류 허브로 발전 항공경제가 이끄는 현대산업 기지를 건설하여 항공 수송이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 - 또한 항공 설비 제조 및 수리, 항공 물류 등의 중점 산업, 항공과 연계한 첨단 제조업과 현대 서비스업을 육성하여 산업 클러스트를 형성하고 세계 생산・공급체인 구축 중국 내륙지역 대외개방의 주요 관문으로 정저우항공항의 개방성 제고 - 보세 물류 센터 발전, 국제화 경영 비즈니스 환경 개선, 국제 산업 분업 구조 업그레이드, 개방형 경제 시스템 구축, 활력있고 개방적인 새로운 지역 건설 산업과 도시를 융합하여 높은 수준의 도시종합서비스구를 건설하고, 스마트, 친환경, 저탄소 실천 실험구의 강점으로 공항, 산업, 주거, 생태기능이 어울어진 항공도시 건설을 목표로 함 정저우항공항구를 중웬경제구(中原 ) 핵심 성장요소로 발전 - 산업 클러스트와 종합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주변 지역과의 산업, 서비스 연결라인 확대 - 또한 정저우신구, 정볜( )신구와의 연계 발전을 추진하고 중웬경제구 내 경제 활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지역으로 건설 <출처: 정저우국제항공항경제종합시험구 홈페이지(http://www.zzhkgq.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정저우항공항구 설립 연혁
2007년 10월 중국 허난성정부와 중국공산당 허난성위원회는 정저우항공항구( 州航空港 ) 설립을 비준하며, 정저우 국제항공허브 건설을 위한 기초를 다짐 2010년 10월 24일 국무원은 정저우 신정종합보세구(新 合保 ) 설립을 정식으로 비준하고, 2012년 발표한《중원경제구규획》에 따라 정저우항공항을 중심으로 종합보세구와 주변 산업단지를 포함한 정저우항공항경제종합실험구를 건설 2013년 3월 7일 국무원은《정저우항공항경제종합실험구발전계획(2013-2025년)》을 발표하며 중국 최초 국가급 항공항경제종합실험구를 설립 정저우항공항구은 네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 - 공항핵심구는 항공허브, 보세물류, 공항서비스, 항공물류 - 도시종합성서비스구는 상업비즈니스, 항공금융, 행정・문화, 교육・R&D, 생활・거주, 산업단지 - 임항형비즈니스전시교역구의 기능은 항공전시회, 첨단 비즈니스무역, R&D, 항공물류, 혁신산업 - 첨단제조업집적구는 첨단제조, 항공물류, 생산성서비스, 생활주거 <출처: 정저우국제항공항경제종합시험구 홈페이지(http://www.zzhkgq.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정저우항공항구 현황
중국은 산업기능구 중 하나로 공항을 중심으로 한 임공경제구( 空 )를 운영하고 있음 - 현재 중국의 임공경제구는 약 60곳으로 공항관련 산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주로 공항을 중심으로 반경 10-15㎞ 범위 내로 조성되어 있음 중국의 임공경제구 가운데 정저우항공항경제종합실험구( 州航空港 合 , Zhengzhou Airport Economy Zone, 이하 “정저우항공항구”)는 중국 최초의 국가급 항공항경제종합실험구임 정저우항공항구는 허난성(河南省)의 중동부에 위치하여 정저우( 州), 뤄양(洛 ), 카이펑( 封)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계획 면적 415㎢, 계획 인구 260만 명으로 조성됨 2017년 정저우항공항실험구의 GRDP는 700,1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3.4배 증가했으며 연평균 19.4% 성장함 - 규모이상 공업생산총액은 295.3억 위안으로 같은 기간 4.1배, 연평균 22.2% 성장함 해외수출입 총액은 498.1억 달러로 허난성의 65.1%, 정저우시의 83.5%에 달하는 규모임 - 항공 여객 운송량은 2,430만 명으로 2012년 대비 2.1배 증가했으며, 항공 화물 운송량은 50.3만 톤으로 같은 기간 대비 3.3배 증가했음 2017년 상반기 정저우 신정종합보세구의 수입 평균 통관시간은 0.39시로 중국 평균 수준에 비해 19.53 시간 빠르며, 수출 평균 통관시간이 0.6시로 중국 평균 수준에 비해 0.71시간 빠름 <출처> 1. 정저우국제항공항경제종합시험구 홈페이지(http://www.zzhkgq.gov.cn/) 2. 주우한총영사관(2017), 《허난성, 5년간 경제 관련 실적》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바이두 '인천' 검색어 이용자 특징
2017년 바이두의 '인천' 검색어 이용자 특징은 30대가 가장 많고, 남성 검색이 많음 연령별 '인천' 검색어 이용자 비중은 30대가 약 50%에 달하고, 20대와 40대가 약 20%를 차지함 - 10대와 50대 이상은 한자릿 수 비중으로 가장 낮음 성별 비중은 남성의 '인천' 검색량이 여성보다 높음 - 남녀 검색비중은 약 6:4로 나타남 <출처: 바이두지수 홈페이지(http://index.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지역별 바이두 '인천' 검색
2017년 바이두의 '인천' 검색량을 성시별, 권역별, 도시별로 나누어 분석함 중국 31개 성시 가운데 '인천' 검색량은 산둥과 광둥이 가장 많으며 베이징, 장쑤, 저장, 상하이, 랴오닝, 쓰촨, 허베이, 허난 순으로 나타남 중국 7개 권역 가운데 '인천' 검색량은 화동이 가장 많고 화북, 화남, 동북, 서남, 서북순으로 나타남 - 성시별 검색량에서 상위에 랭크된 산둥과 광둥이 포함된 화동지역의 인천 검색량은 두 번째로 검색량이 많은 화북대비 2배 이상의 검색량을 보임 중국 도시별 '인천' 검색 순위는 베이징과 상하이가 1, 2위에 랭크됨 - 이 밖에 동부연해 대도시인 칭다오, 선전, 광저우, 톈진, 항저우에서의 '인천' 검색량이 많은 것으로 집계됨 <출처: 바이두지수 홈페이지(http://index.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바이두 '인천' 연관검색어
'인천'의 연관 검색어 분포도는 주간 연관검색어의 검색추세와 상관성을 보여줌 2018년 1월 1일~7일 한 주간의 인천 연관검색어는 '인천공항', '인천상륙작전 영화', '아시안게임' 등으로 나타남 인천과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검색어는 '인천공항', '공항'으로 검색추세는 다소 하락했으나 연관성이 가장 높음 가장 검색지수가 높은 연관검색어는 '영화'로 2016년 개봉한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한 '6.25 전쟁' , '전쟁' 검색어도 함께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용자의 검색행동을 통해 '인천' 검색 이전 검색어와 이후 검색어을 분석하고, 검색량 TOP 15 연관검색어를 살펴봄 사용자의 '인천' 검색 이전, 이후 검색어는 인천공항에 대한 상관도가 가장 높음 - '인천공항', '공항', '인천공항 공식 홈페이지' 등 공항에 대한 정보와 공식, 중문 홈페이지 검색이 함께 이루어짐 공항 다음으로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검색이 가장 많음 - 인천상륙작전 영화 개봉으로 연관검색어 1위는 중국 최대 클라우딩 컴퓨팅 플랫폼 '쉰레이(迅雷)'가 차지했으며, '영화', '한국영화'가 2, 3위에 랭크됨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은 '인천' 연관검색어 8위로 인천에서 개최된 제17회 아시안게임의 연관 검색으로 보여짐 <출처: 바이두지수 홈페이지(http://index.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