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바이두 '인천' 검색량 추이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는 이용자 행동데이터를 기초로한 데이터 공유플랫폼 바이두 지수를 운영 - 이용자의 검색 추이, 수요변화, 매체・여론 추세, 이용자 특징 등을 통해 시장 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함 본 보고서는 바이두 지수의 '인천' 검색어를 활용해 중국인의 인천에 대한 관심과 이미지를 분석함 2011년부터 2018년 4월까지 바이두를 통한 '인천'의 일일 평균 검색량은 625건임 바이두의 '인천' 검색량은 인천아시안게임 기간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2014년 9월 14일~20일 일일 평균 검색량은 10,069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9월 28일~10월 4일은 8,550건으로 집계됨 - 인천 아시안게임은 2014년 9월 19일~10월 4일까지 16일간 열렸음 2017년 바이두의 '인천' 일일 평균 검색량은 548건이며, 1월 20일과 12월 5일 검색량이 크게 급증함 2017년 PC를 통한 '인천' 일일 평균 검색량은 187건, 모바일은 360건으로 나타남 - PC를 통한 검색량은 1월 20일, 모바일은 12월 5일 가장 많음 <출처: 바이두지수 홈페이지(http://index.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대외경제 현황
2017년 중국의 화물 수출입총액은 277,923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4.2% 증가함 - 수출액은 153,321억 위안, 수입액은 124,602억 위안으로 각각 10.8%, 18.7% 증가함 - 무역수지는 28,71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734억 위안 감소함 일대일로 관련국 수출입총액은 73,745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입의 26.5%의 비중을 차지함 2017년 한국과 중국의 화물수출입 규모는 18,978억 위안으로 EU, 미국, ASEAN, 일본, 홍콩에 이어 여섯 번째로 큼 2017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은행, 증권, 보험 불포함) 유치 신설 기업은 35,652곳으로 전년대비 27.8% 증가했으며, 투자 규모는 8,776억 위안(1,310억 달러)으로 7.9% 증가함 - 그 중, 일대일로 관련국의 대중국 직접투자는 374억 위안임 대중국 하이테크 제조업 해외투자는 666억 위안으로 11.3% 증가함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액은 8,108억 위안(1,201억 달러)으로 전년대비 29.4% 감소함 <출처: 中 人民共和 家 局(2018), '中 人民共和 2017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7년 중국 소비와 주민 생활
2017년 중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66,26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0.2% 증가함 - 도시 소비품판매액은 314,290억 위안, 농촌 소비품판매액은 51,972억 위안으로 각각 10.0%, 11.8%의 증가율을 보임 - 유형별 소비는 상품판매액이 326,618억 위안으로 집계됐으며, 요식업 수입은 39,644억 위안임 2017년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25,974위안으로 전년대비 9.0% 증가함 - 상주지역 기준 도시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36,396위안이고, 농촌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13,432위안으로 각각 전년대비 8.3%, 8.6% 증가함 중국 주민의 소득을 5개 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 소득계층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5,958위안, 하위 소득계층은 22,495위안, 중위 소득계층은 22,495위안, 상위 소득계층은 34,549위안, 최상위 소득계층은 64,934위안으로 집계됨 중국 주민의 1인당 소비지출은 18,322위안으로 전년대비 7.1% 증가했으며, 엥겔지수는 29.3%로 전년대비 0.8%p 하락함 중국의 2017년 농촌빈곤인구는 3,046만 명으로 전년대비 1,289만 명 감소함 - 빈곤발생률은 3.1%로 1.4%p 하락했고, 빈곤지역의 농촌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9,377위안으로 전년대비 10.5% 증가함 <출처: 中 人民共和 家 局(2018), '中 人民共和 2017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고정자산투자 현황
중국의 2017년 사회고정자산투자 규모는 641,23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7.0% 증가했으며, 그 가운데 고정자산투자(농촌 불포함)은 631,684억 위안으로 7.2% 증가함 지역별 투자규모는 동부지역이 265,837억 위안으로 가장 많고, 중부지역은 163,400억 위안, 서부지역은 166,571억 위안, 동북지역은 30,655억 위안으로 나타남 - 전년대비 증가율은 서부지역이 8.5%, 동부지역 8.3%, 중부지역 6.9%, 동북지역 2.8% 순으로 나타남 산업별 고정자산투자는 1차 산업이 20,89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1.8% 증가했고, 2차 산업은 235,751억 위안으로 3.2% 증가했으며, 3차 산업은 375,040억 위안으로 9.5% 증가했음 - 투자 비중은 3.3 : 37.3 : 59.4로 나타남 2017년 중국의 분야별 고정자산투자는 제조업 투자가 193,616억 위안으로 가장 많고, 인프라 투자는 140,005억 위안로 집계됨 <출처: 中 人民共和 家 局(2018), '中 人民共和 2017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7년 중국 경제 규모
중국국가통계국은 2018년 2월 28일 '2017년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를 발표함 2017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는 827,12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6.9%의 증가율을 보임 - 1인당 GDP는 59,660위안으로 전년대비 6.3% 증가함 GDP 공헌도는 소비지출이 58.8%로 가장 높으며, 화물 및 서비스 수출의 공헌도는 9.1%임 - 2017년 중국 국민의 총수입은 825,016억 위안으로 7.0% 증가함 1차 산업의 총생산은 65,468억 위안으로 3.9% 증가했고, 2차 산업은 334,623억 위안으로 6.1% 증가했으며, 3차 산업은 427,032억 위안으로 8.0%의 증가함 - 산업비중은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이 7.9 : 40.5 : 51.6임 <출처: 中 人民共和 家 局(2018), '中 人民共和 2017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동아세안 성장지역 경제교류 현황
2017년 중국과 동아세안 성장지역 4개국의 무역총액은 2,116억 달러로 중국-아세안 무역대비 41.1%의 비중을 차지함 - 중국과 동아세안 성장지역의 무역총액은 2010년부터 증가했으나, 아세안 내 무역비중은 점차 하락세를 보임 2018년 1분기 중국과 동아세안 성장지역의 무역총액은 약 550억 달러에 달함 최근 중국기업의 동아세안 성장지역 투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017년 중국과 성장지역의 누적투자총액은 160억 달러임 <출처> 1. 一 了解中 盟 部增 合作, 在 , 2018-05-08 2. 家:中 盟 部增 合作前景 , 在 , 2018-05-08 3.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동아세안 성장지역 협력관계
중국은 동아세안 성장지역과 2005년 정식으로 동반자관계를 맺고 지속적인 상호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1994년 성립된 동아세안 성장지역(EAGA: East ASEAN Growth Area)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국가를 포함하는 동남아 지역의 경제블록임 - 지리적 인접성과 천연자원, 시장공유 등을 통해 상호 경제성장 촉진을 추진함 - 동아세안 성장지역의 면적은 156만㎢으로 인구는 5,500만 명임 중국과 동아세안 성장지역은 농업, 에너지, 어업의 기초인프라 건설과 항공, 해운, 통신, 관광 분야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 동아세안 성장지역과의 육해공 연락망 강화, 이슬람 식품 가공, 코코넛오일・야자유 가공, 해수 양식, 유람선, 스쿠버다이빙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 중임 중국과 동아세안 성장지역의 협력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중 “21세기 해상실크로드” 정책의 추진으로 더욱 긴밀해 지고 있음 <출처> 1. 一 了解中 盟 部增 合作, 在 , 2018-05-08 2. 家:中 盟 部增 合作前景 , 在 , 2018-05-08 3.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아세안 경제교류 현황
2017년 중국-아세안 무역총액은 5,148.2억 달러로 전년대비 13.8% 증가했으며, 중국 전체 무역비중의 12.5%에 달함 2018년 1분기 중국-아세안 무역액은 1,336.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9% 증가함 2018년 3월 기준 중국-아세안 누적 투자규모는 1,966.4억 달러임 - 아세안 국가의 중국 누적투자액은 1,130.6억 달러로 전체 중국 투자유치 규모의 5.8% 비중을 차지함 2017년 아세안 국가의 중국 실질투자액은 50.8억 달러로 전년대비 22.2% 감소함 - 반면 2018년 1분기 아세안 국가의 중국 투자는 20.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80.9% 증가함 그 중 싱가포르는 4년 연속 중국의 최대 투자국으로 기록됨 중국은 아세안의 네 번째로 큰 투자국으로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의 최대투자국임 - 중국 기업의 아세안 국가 누적투자 규모는 835.8억 달러임 아세안은 중국 해외투자 증가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지역 중 하나로 2017년 중국의 아세안 투자는 94.7억 달러로 집계됨 - 2018년 1분기 신규 투자 규모는 2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4.5% 증가함 2017년 중국은 8개의 아세안 국가와 초보적인 단계의 해외경제무역협력구 27개를 건설함 - 입주기업은 630개로 총 투자액은 130.7억 달러이며, 현지 고용자는 7.1만 명임 <출처> 1. 中 盟的“交情”有多深?一 了解!, “商 微新 ”微信公 , 2018-05-08 2. 中 - 盟 系(10+1), 中 人民共和 外交部, http://www.mfa.gov.cn/chn//pds/wjb/zzjg/yzs/dqzz/dnygjlm/zghdny/t575554.htm 3.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아세안 교류 협력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이하 '아세안')은 1991년 교류를 시작으로 20여년간 경제적, 정치적 협력을 통해 신뢰를 쌓아옴 2003년 중국은 아세안과 《동남아우호 합작조약》을 체력하며 아세안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함 2004년 11월 제1회 중국-아세안 박람회 및 비즈니스・투자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매년 1회 중국 광시성 난닝에서 개최되고 있음 - 이 정상회담에서 중국과 아세안 국가 간 중요한 경제협력을 논의함 중국과 아세안은 농업, IT, 인적자원, 투자, 메콩강유역 개발, 교통, 에너지, 문화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중임 중국은 2009년 주아세안대사를 설립하고, 2012년 9월 중국 주아세안사단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설립함 2010년 1월 중국은 아세안과 처음으로 다자간 무역협정(CAFTA: China-ASEAN Free Trade Agreement)을 체결 - 중국은 아세안 수입품목의 평균 관세율을 1.0%로 인하 - 2010년 중국은 아세안 6개 회원국(싱가포르, 타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간 90% 이상의 교역품목에 무관세를 적용했으며, - 2015년부터는 아세안 4개 회원국(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간 90% 이상의 교역품목에 무관세 적용 또한 중국-아세안은 2010년 투자협력기금, 2011년 해상협력기금을 조성하고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2013년 10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동남아 순방에서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제안을 시작으로 해상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 시진핑은 2013년 9월 카자흐스탄에서 처음으로 '실크로드 경제권'을 언급한 이후 동남아 순방에서 두 번째로 실크로드 구축에 대한 계획을 언급함 <출처> 1. 中 盟的“交情”有多深?一 了解!, “商 微新 ”微信公 , 2018-05-08 2. 中 - 盟 系(10+1), 中 人民共和 外交部, http://www.mfa.gov.cn/chn//pds/wjb/zzjg/yzs/dqzz/dnygjlm/zghdny/t575554.htm
홈 > 최신중국동향 -
[문화] 중국 영화 시장의 트렌드
중국 영화시장의 흥행은 블록버스터급 대형영화와 저예산 영화로 양분화 됨 - 2017년 중국의 최다 흥행수익을 기록한 '특수부대 전랑2( 狼2)'은 2억 위안의 제작비가 투입된 액션・전쟁을 다룬 블록버스터 영화임 저예산영화인 중국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생애를 소재로 한 한중 합작 다큐멘터리 '22(二十二)'와 티베트인들의 순례 여행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혼의 순례길( 仁波 )'은 입소문을 타고 흥행에 성공함 중국의 청춘영화는 여전히 '복고'와 '꿈'을 키워드로 제작되고 있지만, 기존의 제작방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 -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문화선전공작단원들의 청춘을 그려낸 '방화(芳 )'는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실버세대를 영화관으로 이끎 범죄, 추리 영화는 소설, 해외판권, 웹드라마 등 다양한 시나리오로 내용의 질적 향상을 보였으나, 감독의 역량부족이나 현실감이 떨어지는 연출이 작품의 아쉬움으로 남음 2016년 11월 중국정부는《중화인민공화국영화산업촉진법(中 人民共和 影 促 法)》을 발표하고 2017년 열린 '전국신문출판라디오TV공작회의'에서 2017년을 '영화 수준 촉진의 해'로 지정하며 영화 산업 업그레이드, 예술의 신동력,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목표로 함 <출처:《中 影 皮 (2018)》 布, 日 -中 , 2018-05-21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