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중국 영화 시장 현황
2017년 중국의 국산영화 개봉 편수는 총 798편,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수입는 559.1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3.5% 증가함 2017년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의 최다 흥행 수익은 '특수부대 전랑2( 狼2)'이 56.83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10억 위안 이상 영화 6편, 5억 위안 이상 영화 13편으로 집계됨 중국의 스크린 수는 2012년 13,118개에서 2017년 50,776개로 연평균 27%의 성장률을 보이며 증가함 - 도시의 영화 관객 수는 16.2억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함 현재 중국 1, 2선 도시의 스크린 수는 포화단계에 이르러, 영화관 기업들은 3, 4, 5선 도시(중소도시)에 주목하고 있음 2015-2017년 3년간 도시 규모별 극장 수입 증가율을 살펴보면, 1선 도시 8.6%, 2선 도시 12.7%, 3선 도시 25.0%, 4선 도시 40.7%, 5선 도시 49.9%로 중소도시의 증가세가 뚜렷함 <출처:2017年中 影院 市 及 幕 分析, 中 展 究 , 2018-06-04>
홈 > 최신중국동향 -
[문화] 중국 드라마 시장의 문제점
보고서에서는 2017년 중국의 드라마 시장은 다양한 장르를 개척하며 좋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고 밝힘 최근 좋은 평가를 받은 중국 드라마가 몇 편 방영되었지만, 파급력있는 웰메이드 드라마 비율은 높지 않다고 지적하며 지속적인 드라마 수준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함 심각한 드라마 시청률 조작 문제 - TV 드라마의 시청률은 광고비용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으며, 몇몇 대형 방송채널은 시청률와 광고비용을 묶어 드라마 계약을 진행하고 수익성 확보를 위해 시청률을 매매하기도 함 대형 제작사의 독과점 현상 심화 - 중국의 드라마 제작사는 주식시장 상장을 통해 투자금을 유치해 컨텐츠 개발・제작 능력을 갖춘 대형 제작사가 등장함 또한 중국 스타들의 거액 개런티, 급격한 드라마 제작비 증가 등으로 소수의 대형 제작사로 제작이 몰리게 됨 이러한 구조는 신생기업의 업계 진입을 불리하게 하고 드라마 혁신능력과 다양한 컨텐츠 개발에 어려움으로 작용함 <출처:《中 年度 皮 (2018)》 布, 中 , 2018-05-21>
홈 > 최신중국동향 -
[문화] 중국 드라마 시장의 변화
2018년 5월 18일 베이징대학교 영상드라마연구센터와 저장대학교 국제영상드라마발전연구원은 공동으로 제15회 중국 국제 영화・드라마제 개최와 함께《중국영화보고서(2018》,《중국드라마보고서(2018)》을 발표함 - 보고서에서는 중국 영화와 드라마 시장의 트렌드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함 2017년 중국 드라마의 제작 편수는 줄고 수준은 향상되었음 2017년 중국 국가광전총국( 家 局)은 총 331편의 드라마 방영을 허가했으며,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적은 규모임 - 전체 제작 드라마 수는 465편으로 전년대비 감소했으며, 이 역시 2011년 이후 가장 적은 편 수임 - 웹드라마의 방영 편수는 295편으로 2016년 349편에 비해 54편 감소함 드라마 제작 편수의 감소는 중국 정부의 경제 구조 개혁 프로젝트인 공급측 구조개혁의 결과로 평가됨 2017년 중국 영상 관련 부서들은 드라만 수준 향상을 위해《드라마 번영 발전 지원에 관한 약간 정책의 통지( 于支持 繁 展若干政策的通知)》, 《온라인 시청각 프로그램 창작 방송관리 진일보 강화에 관한 통지( 于 一步加强 目 作播出管理的通知)》, 《신문, 출판, 라디오, 영화・드라마 13차 5개년 규획(新 出版 播影 “十三五” )》등 7건의 각종 정책을 발표함 최근 중국의 드라마 트렌드는 '현실주의' 가 크게 인기를 얻으며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음 - 주요 장르는 반부패극, 역사극, 도시극, 첩보물 등으로 중국 드라마 스토리 수준이 향상됐다고 평가되고 있음 2017년 3월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 '인민의 이름으로(人民的名 )'는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며 영향력 있는 드라마 1위로 선정됨 - '인민의 이름으로'는 중국 공직자들의 반부패 수사를 주도하는 최고인민감찰원의 이야기를 담아 시진핑 정부의 반부패 개혁 의지를 반영함 TV 드라마 이외에도 웹드라마 제작과 영상 컨텐츠 플랫폼 출시로 새로운 드라마 시장의 가능성이 열림 <출처:《中 年度 皮 (2018)》 布, 中 , 2018-05-2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대졸자 도시별 취업만족도
도시별 학부졸업생 취업만족도는 1선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이 높게 나타남 - 취업만족도는 졸업생의 현재 재직 현황인 월소득, 업종의 발전성, 직무 개발, 근무환경, 업무 스트레스 등을 주관적으로 평가함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의 취업만족도는 각각 75.9%, 73.9%, 71.0%, 70.2%로 나타났으며, 항저우, 닝보, 톈진도 70% 이상의 취업만족도를 보임 최근 중국 도시들은 인재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음 - 대졸자의 전국 대비 1선 도시 취업비중은 2013년 28.2%에서 2017년 22.3%로 하락했으며, 재직 3년 이후 대도시 이탈 비중도 점차 증가하고, 대도시의 대졸자 유치 매력도가 약해짐 반면 신 1선 도시에 직장을 잡은 타지역 졸업생 고향 소재 성(省)과 취업지 소재 성이 다른 대졸자. 비중은 2015년 28.2%에서 2017년 35.6%로 7.4%p 증가함 베이징, 상하이, 선전에 취업한 타지역 졸업생은 82.6%, 79.5%, 67.2%로 가장 높음 - 신 1선 도시인 항저우, 톈진의 타지역 졸업생 취업비중은 각각 55.3%, 54.4%로 1선 도시인 광저우(45.3%)보다 높은 수준임 <출처> 1. 2018年就 皮 布 大 生平均起薪4317元, 搜狐 , 2018-06-14 2. 月收入最高行 TOP10出 ! 有 ?, 搜狐 , 2018-06-04 3. 2018年就 皮 :高 高 生走 就 率超本科, 央 , 2018-06-1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7년 중국 대졸자 평균 월수입 4,317위안
2017년 대졸자의 졸업 6개월 후 평균 월수입은 4,317위안임 - 이 가운데, 학부 졸업생은 4,774위안,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은 3,860위안으로 914위안의 차이가 있음 - 2017년 중국 도시주민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3,033임 2017년 학부 졸업생의 졸업 6개월 후 월수입이 가장 많은 업종은 '소프트웨어 개발'이 6,252위안이고, '항공운송 서비스'가 6,145 위안으로 집계됨 인터넷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기업간 연봉경쟁으로 종사자들의 수입이 증가함 2018년 중국의 유망전공(적은 실업자, 높은 취업률・임금・취업만족도, 많은 수요)으로는 소프트웨어 공학, 네트워크 공학, 통신공학 마케팅, 자동화 기술, 사물인터넷 기술 등이 3년 연속 유망전공으로 선정됨 이와 반대로 실업자 수가 많고 임금이 낮으며 취업률이 하락한 학과나 전공으로는 미술학, 음악공연, 법률사무, 언어교육학 등이 꼽힘 <출처> 1. 2018年就 皮 布 大 生平均起薪4317元, 搜狐 , 2018-06-14 2. 月收入最高行 TOP10出 ! 有 ?, 搜狐 , 2018-06-04 3. 2018年就 皮 :高 高 生走 就 率超本科, 央 , 2018-06-1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대졸자 기업 유형별 취업비중
중국의 기업 유형별 대졸자 취업비중 추이는 민영기업은 증가하고, 국유기업은 하락함 - 중국 대졸자의 2017년 민영기업 취업비중은 60%로 2013년 54% 대비 6%p 증가한 반면, 국유기업은 같은 기간 22%에서 18%로 감소했고, 외국계기업도 11%에서 7%로 감소함 대졸자의 졸업 6개월 내 이직률은 33%로, 이 가운데 학부졸업생의 이직률은 23%,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은 42%로 나타남 - 이직률은 최근 5년간 큰 변화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출처> 1. 2018年就 皮 布 大 生平均起薪4317元, 搜狐 , 2018-06-14 2. 月收入最高行 TOP10出 ! 有 ?, 搜狐 , 2018-06-04 3. 2018年就 皮 :高 高 生走 就 率超本科, 央 , 2018-06-1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7년 중국 대졸자 취업률 91.9%
2018년 6월 11일 중국의 고등교육・인력자원 연구기관인 마이코스연구원(Mycos, 可思 究院)은 《중국대학생취업보고(中 大 生就 告)(2018)》를 발표 보고서는 2017년 중국 30개 성의 1,021개 학교, 643개 직업, 327개 업종에 종사하는 학부졸업생 15.6만명, 직업전문학교 졸업생 15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2017년 중국의 학부졸업생 졸업 6개월 내 취업률은 91.6%로 2015년 이후 소폭 하락함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92.1%로 2015년 91.2% 대비 0.9%p 상승함 -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최근 10년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2017년 처음으로 학부졸업생의 취업률을 추월함 2017 대졸자의 졸업 6개월 후 희망진로 비중은 안정적인 직장 재직이 77.1%로 가장 많고, 창업 2.9%, 대학원・학부 진학 10.8%, 구직 3.4%로 나타남 희망진로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재직, 창업, 구직 희망자는 다소 감소하였고, 진학 희망자의 비중은 2015년 10.1%에서 2017년 10.8%로 증가함 <출처> 1. 2018年就 皮 布 大 生平均起薪4317元, 搜狐 , 2018-06-14 2. 月收入最高行 TOP10出 ! 有 ?, 搜狐 , 2018-06-04 3. 2018年就 皮 :高 高 生走 就 率超本科, 央 , 2018-06-1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란시도시군 교통 네트워크
란시도시군은 종합 교통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해 대내외 교통망 개선과 교통허브 강화를 목표로 함 칭짱( 藏)노선을 확대하고, 룽하이( 海)-란저우신구 철로를 적극 활용, 란저우 중촨(中川)공항-장예( 掖) 철로 건설 계획 - 중국의 동서부를 잇고, 중국과 중앙아시아지역의 교통 통로 역할 수행 중촨공항과 차오자바오(曹家堡)공항의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 국제항공노선을 확대하여 항공 허브 기능 강화 - 주변 지방공항 발전을 이끌고 국내외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하늘 실크로드” 구축 란저우, 시닝의 전국적 종합교통허브 건설을 중심으로 란저우국제항비즈니스구, 시닝 차오자바오 종합 교통 허브 건설 가속화 철로, 도로, 항공, 파이프 등 운송방식의 유기적 연계성 강화 - 종합보세구, 개발구, 물류단지 등 지역 주요 산업단지 연계 <출처: 家 展和改革委 (2018), 《 州 西 城市群 展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란시도시군 산업 발전 계획
란시도시군은 녹색고효율, 청정저탄소를 목표로 전통산업 업그레이드, 녹색 신흥산업 육성, 산업의 밀집 발전과 순환 발전 촉진을 추진 주요산업인 석유화확, 비철금속의 산업응집력을 강화해 상품의 품질, 고부가가치, 시장경쟁력 제고 란시도시군의 신흥산업은 리튬, 수성소재 등의 산업 클러스트 육성과 풍력, 태양력을 활용한 신에너지 및 관련 장비 제조 기지를 적극 발전시킬 계획임 - 이 밖에도 바이오 산업, IT 기술, 항공우주 산업 촉진과 현대서비스업, 혁신능력 제고 등의 계획이 있음 <출처: 家 展和改革委 (2018), 《 州 西 城市群 展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란시도시군 인구 유치와 공간 기능 강화
■ 인구 유치 란시도시군의 지속적인 인구유치를 위해 장기적으로 호구제도와 사회보장제도 개선이 필요함 - 주요 산업의 취업・창업, 도시 신규 취업 수용 능력을 강화하고 도시와 농촌의 기초공공서비스 균형화 등의 조치가 이뤄져야 함 - 지속적인 인구 유치를 위해서 전문 인재, 기술 인재의 유치와 정착을 유도하고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환경 마련 - 농민공의 귀향 창업・취업, 생태지역 인구의 도시 이주 취업 유도 란저우와 시닝은 교통혼잡, 대기오염, 도시 기능 밀집 등 “대도시병”을 앓고 있음 -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심도시, 중소도시, 위성도시 간 상호 연계 강화하고, - 우수한 교육, 의료 등의 서비스를 중소도시로 확대해 인구 수용능력을 제고할 것임 ■ 공간 기능 강화 란시도시군은 자원환경과 국토공간개발 계획에 따라 주체기능구 전략을 실시해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임 도시군의 중점개발구에는 산업과 도시를 융합하고 순환경제, 저탄소경제발전, 도시공간 확대, 생태공간 보호, 산업과 인구응집능력 강화를 적극 추진할 예정임 토지자원의 개발구역과 보호구역을 엄격히 통제・관리 - 농작지, 초원, 토양의 오염을 관리감독하여 휴작・목축 금지제도 실행을 검토 중임 ■ “하나의 벨트, 두 개의 권역, 여러 연결점” 란저우, 시닝, 하이둥, 딩시를 중심으로 조성된 란시도시발전벨트는 도시건설, 자원개발, 교통망을 통일하고, 도시간 산업 분업체계 및 관중평원, 중동부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함 두 개의 권역은 란저우-바이인도시권과 시닝-하이둥도시권임 란저우-바이인도시권은 △란저우 중심지의 기능 향상, △란저우신구 발전수준 제고, △란바이과학기술혁신개혁실험구 건설 가속화, △바이인 자원고갈형 도시 전환 발전 추진, △석유화공・비철금속 등 전통 우위산업 업그레이드 추진, △도시군 일체화 가속화 등의 계획을 추진함 시닝-하이둥도시권은 △시닝의 종합능력 향상 가속화, △하이둥과 둬바(多巴)의 도시기능 개선, △현급 도시 경제발전 강화, △산업승계 이전 시범구 공동 건설, △신에너지・신소재・바이오・장비제조・IT 등 산업 중점 발전, △도시 수 증가 등의 목표를 삼음 딩시, 린샤, 하이베이, 하이난, 황난 등의 도시를 연결점으로 지정하여 △도시간 효율적인 교통망 연결, △농축산물 가공・신에너지・비즈니스 물류・문화・여행 등 산업 발전, △하이난의 칭장고원 배후지 종합서비스 기능 강화, △딩시・린샤・하이베이・황난의 주변 빈곤지역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임 <출처: 家 展和改革委 (2018), 《 州 西 城市群 展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