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의 특허권 침해와 대응 조치
2016년 특허권 침해를 경험한 특허권자 비중은 10.7%로 2015년 18.1% 대비 7.4%p 감소함 특허권자 유형별 특허권 침해 경험은 기업이 13.4%로 가장 많았고, 개인 8.2%, 대학 7.5%, 연구기관 7.1%로 집계됨 특허권 침해가 발생했을 시 대응 조치는 '권리 침해 중지 서한 발송'이 30.3%로 가장 많았으며, '행정처리 청구', '소송'이 각각 13.3%, 15.5%임 - 행정처리 청구와 소송 모두 진행한 비중은 14.2%로 집계됨 특허권 침해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비중도 26.7%로 나타남 <출처: 《2017年中 利 告》, 家知 局, 2018-04-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필요
2016년 중국 특허권자의 88.2%가 현행 지식재산권 보호 수준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답함 지식재산권 보호의 점진적 강화가 필요하다고 평가한 특허권자 비중은 63.7%임 - 점진적 강화가 필요하다는 평가는 2015년 대비 5.1%p 감소했으나, 대폭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2015년 18.3%에서 2016년 24.5%로 6.2%p 증가했음 현재 보호 수준이 적당하다고 답한 특허권자는 7.9%, 수준 약화 필요는 3.9%로 나타남 특허권 보호가 강화될 경우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보호가 강화되면, 연구개발이 증가 할 것'이라고 답한 특허권자의 비중은 52.9%로 나타남 특허보유 기업의 22%는 특허권 보호 강화와 연구개발은 영향이 없다고 답했음 <출처: 《2017年中 利 告》, 家知 局, 2018-04-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국제 특허 출원 현황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발표한 2017년 PCT 국제특허 출원 건수는 243,500건으로 전년대비 4.5% 증가하였으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2017년 국가별 PCT 국제 출원 신청 건수는 미국이 56,624건으로 가장 많고,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48,882건으로 2위에 랭크됨 《중국특허조사보고(中 利 告)》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특허보유 기업 중 5.4%가 PCT 국제 특허 출원을 신청함 - 기업 규모별 PCT 신청은 대기업 15.8%, 중견기업 7.2%, 중소기업 4.4%, 영세기업 4.0%로 나타남 PCT 신청 시 지정국가 선택에 있어서 미국이 69.7%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 32.4%, 독일 25.8%, 영국 20.9% 순으로 많음 <출처> 1. 《2017年中 利 告》, 家知 局, 2018-04-03 2. WIPO(2018), PCT Yearly Review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의학 의료기관 운영 현황
중국의 전통 의학인 중의(中 )는 음양오행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의학으로 최근에는 현대 의학과 융합, 협진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음 2017년 중국의 중의학 의료기관 수는 54,243개로 전년대비 4,716개 증가함 - 그 중 중의학 병원은 4,566개, 외래 진찰실은 2,418개, 진료소는 47,214개임 - 중의학 의료기관의 병상 수는 113.6만 개임 중의약사 수는 66.4만 명으로 그 중 중의사는 52.7만 명, 중약사는 12만 명으로 집계됨 중의학 의료기관 진료 횟수는 10.2억 회로 전체 중국 의료서비스 진료 횟수의 15.9% 비중을 차지함 <출처:《2017年我 生健康事 展 公 》, 中 人民共和 家 生健康委 , 2018-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외래진료 횟수 및 의료비
2017년 중국의 외래진료 횟수는 총 81.8억 회로 전년대비 2.5억 회(3.2%) 증가했으며, 중국인의 1인당 평균 외래진료 횟수는 5.9회로 나타남 진료기관은 병원이 34.4억 회(42.1%), 기층 의료 위행기관 44.3억 회(54.2%), 기타 의료기관 3.1억 회(3.8%)임 - 병원 진료 횟수 가운데 공립병원 29.5억 회(85.8%), 민영병원 4.9억 회(14.2%)로 공립병원 진료 횟수가 많음 2017년 중국의 입원 환자 수는 24,436만 명으로 전년대비 1,708만 명 증가함 중국 병원 의사의 1일 진료 횟수는 7.1회로 공립병원은 7.6회, 민영병원은 5.3회로 나타남 2017년 중국 의료기관별 평균 의료비를 살펴보면, 병원의 회 당 진료비는 257위안, 1인당 입원비는 8,890.7위안, 1일 입원비는 958.8위안으로 집계됨 - 병원 중에서도 종합병원에 속하는 3급 병원의 의료비가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남 <출처:《2017年我 生健康事 展 公 》, 中 人民共和 家 生健康委 , 2018-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보건의료인 규모
2017년 중국의 보건의료인 수는 총 1,174.9만 명으로 전년대비 57.6만 명(5.2%) 증가함 - 보건의료인은 위생기술사 898.8만 명, 농촌 의사 및 위생원 96.9만 명, 기타 기술자 45.1만 명, 근로기능사 83.2만 명 등을 포함함 중국의 면허의사는 282.9만 명, 간호사는 380.4만 명, 약사 45.3만 명임 보건의료인의 학력 비중은 학부 이상 34.0%, 전문대학 39.1%, 전문학교 25.1%, 고졸 이하 1.8%로 나타남 중국의 인구 천 명당 면허(보조) 의사 수는 2.44명, 천 명당 간호사수는 2.74명, 만 명당 일반 개업의사 수는 1.82명임 <출처:《2017年我 生健康事 展 公 》, 中 人民共和 家 生健康委 , 2018-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보건의료기관 분류 및 규모
2018년 6월 12일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 家 生健康委 )는 《중국위생건강사업발전통계공보(我 生健康事 展 公 )》를 발표함 중국의 주민 기대수명은 2016년 76.5세에서 2017년 76.6세로 증가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 당 19.9명에서 19.6명으로, 영아사망률도 7.5%에서 6.8%로 감소함 2017년 중국의 보건의료기관은 총 986,649개로 전년대비 3,255개 증가함 - 그 중 병원은 31,056개, 기층의료위생기관 933,024개, 전문 공공 위생기관 19,896개임 중국의 병원 수는 공립병원 12,297개, 민영병원 18,759개이며, 민영병원은 1, 2, 3급 병원으로 분류함 - 등급별 병원 수는 3급 병원 2,340개, 2급 병원 8,422개, 1급 병원 10,050개, 미등급 병원 10,244개로 집계됨 - 그 중 병상 수가 800개 이상인 병원은 1,751개, 500~799개 병원 1,798개, 100~499개 병원은 4,223개임 전문 공공 위생기관의 질병 예방 통제센터는 성급 31개, 시(市)급 412개, 현( )급 2,773개가 설치되어 있음 2017년 중국의 병상 수는 794만 개로 병원이 612만 개(77.1%), 기층 의료 위생기관 152.9만 개(19.3%)로 집계됨 <출처:《2017年我 生健康事 展 公 》, 中 人民共和 家 生健康委 , 2018-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중고차 전자상거래화
중국의 중고차 전자상거래 이용자 수는 2017년 1,000만 명을 넘으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중고차의 전자상거래화는 이미 활발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의류, 전자제품, 도서 등과 달리 특수성을 띠고 있음 - 자동차 거래의 온라인화는 정보의 투명성, 신속성, 효율성에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 중국의 전자상거래를 통한 중고차 거래량은 2013년 23.1만 대에서 2017년 155.1만 대로 크게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827.7만 대로 전망됨 - 중국 전체 중고차 거래 중 전자상거래 거래 비중은 2017년 12.5%로 2013년 대비 9.8%p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2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의 전통적인 중고차 판매 또는 구입 방식은 차량에 대한 정보를 4S점(판매・부품공급・AS・정보수집 서비스), 중고차 시장, 주변 지인 등을 통해 진행되어옴 중고차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형성으로 소비자와 차주는 온라인으로 차량의 상세한 정보를 얻고, 차량 선택에 도와줄뿐만 아니라 판매자에 대한 평가를 참고하여 중고차를 구입 혹은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 중국의 중고차 전자상거래 유형은 서비스 대상에 따라 B2B, C2B, C2C, B2C 모델로 구분할 수 있음 - 대표기업은 유신파이( 信拍), 처즈바오( 置 ), 치처제(汽 街), 과즈중고차(瓜子二手 ), 다써우처(大搜 ), 런런처(人人 ) 등이 있음 출처:《2018年中 二手 子商 行 究 告》, 艾瑞咨 , 2018-07-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인의 중고차 소비 특징
2017년 중국의 자동차 소비자 중 33.4%는 중고차 구매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 구매의향이 없다고 답한 소비자는 46.4%, 모르겠다는 20.2%로 나타남 중국 소비자의 중고차 구매 시 고려 요인은 중고차 플랫폼의 품질 보장이 30.3%로 가장 많음 - 플랫폼 품질 보장 다음으로는 차량 정보 진실성, 가격 합리성, 플랫폼 신뢰도, A/S 서비스 순으로 나타남 출처:《2018年中 二手 子商 行 究 告》, 艾瑞咨 , 2018-07-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중고차 거래 규모
2017년 중국의 자동차 보유 대수는 2.17억 대로, 전년대비 11.7%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중국의 자동차 보유량은 세계 두 번째로 많아 중고차 소비 잠재력이 높으며, 최근 중고차 시장에도 다양한 차량이 공급되고 있음 2017년 중국의 중고차 거래량은 1,240.1만 대로 전년대비 19.3% 증가함 - 2011년 682만 대이던 중고차 거래량은 6년 만에 2배 가까운 증가폭을 보임 출처:《2018年中 二手 子商 行 究 告》, 艾瑞咨 , 2018-07-22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