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고속철망 확장 계획 '팔종팔횡'
'팔종팔횡' 계획은 2016년 《중장기철로망규획》을 통해 제시되었으며, 고속철망 기본계획인 '사종사횡'을 확장한 것임 <출처: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2016), 《中 期 路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고속철망 구축 기본 계획 '사종사횡'
중국 고속철망의 기본 계획인 '사종사횡'은 4개의 세로, 4개의 가로를 뜻하며, 시속 200㎞ 이상의 고속철 노선으로 중국의 주요 경제・인구 밀집지역을 연결하는 운송체계임 ■ 4개의 세로노선 '사종' 징후(京 )노선: 2011년 6월 30일 개통된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 구간으로 총길이는 1,318㎞임. 뻥뿌(蚌埠)~허페이(合肥), 난징~항저우(杭州) 노선을 포함하여 베이징 수도권과 창장삼각주 동부의 연해경제지역을 관통함 징강(京港)노선: 2012년 12월 26일 부분 개통한 베이징~우한(武 )~광저우( 州)~선전(深 )을 지나 화북지역과 화남을 연계하는 노선으로 총 길이는 2,440㎞임 - 2018년 9월 23일 선전과 홍콩 구간이 개통됨 징하(京哈)노선: 베이징~선양(沈 )~하얼빈(哈 )(다롄(大 )) 여객전용은 진저우( 州)~잉커우( 口)를 포함하여 동북지역을 연결함 - 현재 하얼빈~다롄구간은 개통되었으나, 베이징~선양구간은 2020년 개통 예정임 항푸선(杭福深)노선: 상하이~항저우~닝보( 波)~푸저우(福州)~선전 구간은 1,464㎞로 창장삼각주, 주장삼각주, 동남연해지역을 연결함 ■ 4개의 가로노선 '사횡' 쉬란(徐 )노선: 쉬저우(徐州)~정저우( 州)~란저우( 州)을 지나 서북과 화동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2017년 7월 9일 총 길이 1,580㎞가 전면 개통되었음 후쿤( 昆)노선: 상하이~항저우~난창(南昌)~창사( 沙)~구이양( )~쿤밍(昆明)노선으로 서남과 화중, 화동지역을 연결함 - 2016년 12월 28일 개통한 후쿤노선은 중국의 동남부를 가로지르는 가장 긴 노선으로, 운행 속도도 가장 빠르며, 가장 많은 지역을 관통함 칭타이( 太)노선: 2018년 말 개통 예정인 칭다오( )~스자좡(石家庄)~타이위안(太原)노선은 770㎞로 화북과 화동을 연결해, 현재 11시간 40분인 소요시간이 6시간 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임 후한룽( 蓉)노선: 상하이~난징(南京)~우한~충칭(重 )~청두(成都) 노선은 총 길이 1,985㎞로 서남과 화동지역을 연결할 계획임 - 2018년 공사를 시작해 2023년 전체 개통 예정임 <출처> 1.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2004, 2008, 2016), 《中 期 路 》 2. 바이두백과(https://baike.baidu.com/) 검색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고속철도 발전 계획
중국은 2008년 8월 1일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시속 350㎞의 고속철도 징진(베이징-톈진)구간을 최초로 개통함 중국은 《중장기철로망규획(中 期 路 )》과 《철로 11・5 발전규획( 路“十三五” 展 )》, 《철로 12・5 발전규획》을 통해 고속철도의 전면적인 건설을 추진함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04년 1월 발표한《중장기철로망규획(中 期 路 )》에서 철로망 확대, 질적향상, 운송능력 확충, 장비수준 제고 등의 계획을 밝힘 - 2020년까지 중국의 철도 주행거리를 10만㎞로 연장하고, 여객이 집중되는 주요 간선의 분선, 기술장비 수준의 선진화 등을 계획함 2008년 10월 《중장기철로망규획》을 재조정하여 2020년까지 철도 주행거리 12만㎞ 연장, 여객전용노선 1.6만㎞ 건설 등과 함께 '사종사횡(四 四 )'을 기본 주축으로한 고속철망 계획을 발표했음 - 2016년 7월 또 한 차례의 재조정을 통해 고속철로 3만㎞, '사종사횡'을 확장한 '팔종팔횡(八 八 )' 계획을 구축함 2017년 기준 중국의 철로운영 총 길이는 12.7만㎞이며, 이 가운데 고속철로의 길이는 2.5만㎞임 - 이는 세계 고속철로 길이의 66.3%를 차지하는 수준임 - 2017년 9월까지 중국의 고속철도 이용 횟수는 70억 회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의 철로 건설에 대한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3.9조 위안으로 총 2.94만㎞의 철로를 연장했으며, 이 중 1.57만㎞가 고속철로임 <출처> 1.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2004, 2008, 2016), 《中 期 路 》 2. 中 人民共和 家 展和改革委 (2017), 《 路“十三五” 展 》 3. 我 高 里程占世界 量66.3% “四 四 ”高 基本形成, 新 社, 2018-02-1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 주요 산업
하이난성의 산업 부가가치는 1차 산업이 993.25억 위안이고, 2차 산업인 공업과 건축업은 각각 528.28억 위안, 470.01억 위안임 3차 산업의 부가가치 규모는 2,503.35억 위안이고, 그 중 도소매업과 부동산업이 각각 496.72억 위안, 434.90억 위안으로 나타남 - 이 밖에도 금융업, 숙박・요식업, 교통운송, 창고・우정업의 부가가치가 200억 위안 이상으로 집계됨 하이난성의 12대 중점산업은 △관광산업, △열대특산 고효율농업, △인터넷업, △의료・헬스산업, △현대 금융서비스업, △MICE 산업, △현대물류업, △해양산업(오일산업 포함), △의약산업, △저탄소 제조업, △부동산업, △교육・문화・체육산업임 12대 중점산업 중 부가가치 규모는 해양산업이 1,401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열대특산 고효율농업 725.19억 위안, 부동산업 434.90억 위안, 관광산업 347.74억 위안 순으로 나타남 <출처: 《海南 年 (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 산업비중
2017년 하이난성의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 비중은 21.6 : 22.3 : 56.1로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높고, 1차 산업과 2차 산업은 비슷한 수준임 - 2017년 중국의 산업 비중은 7.9 : 40.5 : 51.6임 - 하이난성은 중국 평균에 비해 1차 산업의 비중이 높고, 2차 산업 비중은 절반 수준으로 나타남 하이난성의 3차 산업이 1978년 24.6%에서 2017년 56.1%로 전국 평균보다 다소 높음 반면 하이난성의 2차 산업은 20%대임 <출처: 《海南 年 (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의 경제 규모
하이난성의 지역총생산(GRDP)은 4,462.5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7% 증가했으며, 1인당 GRDP는 48,430위안임 2017년 중국 31개 성/시 지역총생산 순위는 광둥성과 장쑤성이 각각 89,879.2억 위안, 85,900.9억 위안으로 가장 높으며, 하이난성은 시짱, 칭하이, 닝샤에 이어 네 번째로 경제 규모가 작은 지역임 <출처> 1. 《海南 年 (2018)》 2.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 자유무역실험구 지정
하이난성(海南省)은 중국의 최남단에 위지하고 있는 섬으로, 육지면적과 인구 수가 가장 적은 성급(省 ) 행정구역으로 4개의 지급시와 5개의 현급시, 4개의 현, 6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음 - 하이난성의 육지 면적은 3.54만 ㎢이고, 해역 면적은 약 200만 ㎢임 하이난은 1988년 4월 13일 광둥성 하이난구에서 하이난성으로 독립하여 중국의 22번째 성이 됐고, 하이난경제특구로 지정됨 2018년 4월 14일 중국 정부는 하이난섬 전체를 자유무역실험구로 건설하고, 중국 최초의 자유무역항 건설 계획을 포함한 《하이난 전면적 심화 개혁개방 지지에 관한 지도 의견( 于支持海南全面深化改革 放的指 意 )》을 발표했음 - 이어 2018년 6월 3일 중국(하이난)자유무역실험구의 중점 선도 지역 역할을 할 하이커우장둥신구(海口江 新 ) 건설을 결정함 2018년 10월 16일 중국국무원은 《중국(하이난)자유무역실험구총제방안(中 (海南)自由 易 方案)》을 발표 - 주요내용은 시장 대폭 개방, 무역구조 업그레이드, 금융개방 등의 개방형 경제체제 구축과 국제 물류서비스, 첨단 여행 서비스, 의료, MICE 등 현대 서비스업의 혁신 발전 등을 제시함 <출처> 1. 院(2018), 《中 (海南)自由 易 方案》 2. 바이두백과(https://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 행정구역별 현황
하이난의 행정구역은 4개의 지급시와 5개의 현급시, 4개의 현, 6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음 도시면적은 하이커우시가 562.40㎢로 가장 크고, 완닝시, 단저우시, 싼야시 순으로 큼 - 상주인구 역시 하이커우시가 227.21만 명으로 가장 많음 2017년 하이난 행정구역별 GRDP는 하이커우시 13,9051,779만 위안, 단저우지구 5,331,887만 위안, 싼야시 5,298,048만 위안 순으로 나타남 <출처> 1. 《海南 年 (2018)》 2. 海南省 局(2018), 《2017年海南省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 방문객 규모 및 주요 방문국
하이난성의 방문객 수는 2010년 2,587.3만 명에서 2017년 6,745만 명으로 약 2.6배 증가함 - 그 중, 중국인 방문객은 6,633.1만 명, 외국인은 111.9만 명임 - 2017년 하이난의 전체 방문객 중 외국인 비중은 1.7%, 중국인 비중은 98.3%임 2017년 하이난에 방문한 외국인 중 홍콩・마카오 출신 방문객은 16.6만 명, 타이완 방문객 16.7만 명, 기타 78.7만 명으로 집계됨 하이난 방문객의 주요 출신국은 러시아가 가장 많음 2017년 하이난에 방문한 외국인 중 러시아인이 284.02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 91,580명, 말레이시아인 67,490명, 인도네시아인 40,469명, 싱가포르인 36,982명 순으로 나타남 <출처> 1. 《海南 年 (2018)》 2. 海南省 局(2018), 《2017年海南省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하이난의 대외경제 규모
하이난성의 수출입규모는 2016년 751.32억 위안에서 2017년 702.7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6.5% 감소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임 - 그 중, 수출액은 285.6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10.4% 증가했으나, 수입액은 406.71억 위안으로 33.4% 감소했음 국가별로 살펴보면, 대홍콩 수출 규모는 29.66억 위안으로 235.1% 증가했으며, 대일본 수출은 14.16억 위안으로 39.1% 감소했고, 미국 수출은 17.36억 위안으로 3.2% 증가, 대아세안 수출은 122.89억 위안으로 361.1% 증가했음 하이난의 주요 수출 상품은 전자기기 상품이 22.56억 위안으로 5.6% 증가했으나, 하이테크상품의 수출은 5.31억 위안으로 59.5% 감소했음 - 농산품 수출은 35.72억 위안으로 3.8% 증가했고, 가공원유는 126.86억 위안 수출하여 전년대비 1,173.2%의 증가율을 보임 2017년 하이난의 실질이용외자 규모는 230.6만 달러로 전년대비 4.1% 증가함 <출처> 1. 《海南 年 (2018)》 2. 海南省 局(2018), 《2017年海南省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