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해외 전자상거래 기업의 지역 및 설립
2018년 중국 해외 수출 전자상거래 기업의 지역별 분포는 광둥이 55.9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광둥 다음으로는 저장 12.84%, 푸젠 11.15%, 장쑤 4.78% 순으로 동부 연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 동부 연해 지역은 높은 경제 발전 수준뿐만 아니라 물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전자상거래 산업의 우위를 점하고 있음 중국 해외 전자상거래 기업의 설립시기는 2017~2018년이 44.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4~2016년은 31.84%로 최근 5년간 설립된 비중이 76.78%에 달함 <출처: 易 (2019), 《中 跨境出口 商 展白皮 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시장
2019년 1월 11일 중국의 빅데이터 기업 이관(易 , Analysys)은 《중국 해외 수출 전자상거래 발전보고서(中 跨境出口 商 展白皮 ) 2018년》를 발표해 중국 해외 전자상거래 산업의 규모, 특징, 추세를 분석함 인터넷산업 성장과 함께 전자상거래는 중국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빠르게 발전했음 - 전자상거래의 발전은 중국 생활방식과 소비문화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킴 2017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거래 규모는 24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18.81% 증가했음 - 2013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10.4조 위안으로 5년 새에 2.3배 증가했으며, 2016년까지 전년대비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임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시장 역시 높은 성장세를 보임 - 2017년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규모는 7.6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20.63% 증가했음 해외 전자상거래는 일반 전자상거래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엄격한 법률법규의 적용을 받고 있음 - 시장 분야의 구분이 뚜렷하고,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주를 이루고 있음 <출처: 易 (2019), 《中 跨境出口 商 展白皮 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학습・이동 시간 현황
중국인의 1일 평균 학습 시간은 27분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도시주민 29분, 농촌주민 24분임 - 연령별로는 15~19세의 평균 학습 시간이 8시간 2분으로 가장 길고, 다음으로는 20~24세가 1시간 38분으로 조사됨 - 중국인의 학습 참여율은 7.2%임 중국인의 1일 평균 이동 시간은 38분으로, 도시주민은 44분, 농촌주민은 30분으로 도시주민의 평균 이동 시간이 농촌주민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남 근무를 위한 평균 이동 시간은 66분, 학습을 위한 평균 이동 시간은 53분이며, 15~19세의 평균 이동 시간은 62분임 2018년 중국인의 1일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 2시간 42분으로 도시 주민은 3시간 23분, 농촌주민은 1시간 38분으로 나타남 -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이용한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1시간 53분이며, 평일은 1시간 48분, 공휴일은 2시간 4분으로 조사됨 - 연령별 인터넷 사용 시간은 20~24세의 사용 시간이 3시간 50분으로 가장 긺 출처: 家 局(2019), 《全 利用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여가시간 현황
2018년 중국인의 1일 평균 여가 시간은 3시간 56분이며, 운동, 음악・라디오 감상, TV 시청, 독서, 오락, 사교를 포함하고 있음 - 그중 남성은 4시간 13분, 여성은 3시간 40분이고, 도시주민은 4시간 19분, 농촌주민은 3시간 33분으로 조사됨 중국인의 1일 평균 운동 시간은 31분이며, 운동하는 사람의 비중은 30.9%로 도시주민 38.7%, 농촌주민 18.7%임 - 연령별 운동 시간은 75~84세가 64분으로 가장 길고, 25~34세가 14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남 중국인의 1일 평균 음악・라디오 감상 시간은 6분이며, TV 시청 시간은 1시간 40분임 - TV 시청 시간이 가장 긴 연령층은 75~84세로 평균 3시간 16분으로 조사됐고, 15~24세는 42분으로 가장 짧음 하루에 독서를 하는 중국인 비중은 10.1%로 도시주민 13.4%, 농촌주민 5%로 평균 독서 시간은 9분으로 나타남 1일 평균 오락 시간은 1시간 5분으로, 남성 1시간 13분, 여성 58분, 평일 58분 공휴일 1시간 23분임 - 사교 시간은 평균 24분으로 조사됨 출처: 家 局(2019), 《全 利用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임금・비임금 노동 시간 현황
■ 임금 노동 2018년 중국인의 임금노동은 직장에서의 근무시간과 가정 생산 경영활동을 포함하고, 1일 평균 임금 노동시간은 4시간 24분으로 나타났음 - 그중 남성은 5시간 15분, 여성은 3시간 35분으로 조사됐음 - 임금노동 활동 참여율은 59%로 남성은 67.4%, 여성은 51%임 중국인의 근무 활동 참여율은 38.4%이며, 남성 46%, 여성 31.3%, 도시 주민 43.2%, 농촌 주민 31%, 평일 44%, 공휴일 24.5%임 근무 활동 참여자의 1일 평균 근무시간은 7시간 41분으로 남성 7시간 52분, 여성 7시간 24분, 도시 주민 7시간 37분, 농촌 주민 7시간 48분으로 나타남 - 연령별 평균 근무 시간은 25~29세 남성이 8시간 6분으로 가장 긺 2018년 중국인의 가정 생산 경영활동 참여율은 23.1%이며, 도시 주민 11.6%, 농촌 주민 41.1%로 도시와 농촌의 참여율 차이가 큼 - 평균 활동 시간은 6시간 14분으로, 남성 6시간 40분, 여성 5시간 47분으로 성별 활동시간 차이가 53분임 - 연령별 평균 활동 시간은 35~39세 남성이 7시간 26분으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됨 ■ 비임금 노동 비임금 노동 활동으로는 가사노동, 자녀 돌보기, 자녀 등하교 및 학습 지도, 가족 구성원(성인) 돌보기, 쇼핑, 간호, 공익 등이 있음 - 비임금 노동 활동의 성별 참여율은 남성 55.3%, 여성은 84.2%임 중국인의 1일 평균 가사노동 시간은 1시간 26분으로 남성은 45분, 여성은 2시간 6분으로 조사됨 자녀 돌보기 활동자의 평균 활동 시간은 3시간 8분으로 남성은 2시간 17분 여성은 3시간 31분임 - 중국인의 1일 평균 가족 구성원(성인) 돌봄 활동은 8분, 쇼핑 17분, 간호 4분으로 나타남 출처: 家 局(2019), 《全 利用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1일 생활 시간 조사
2019년 1월 25일 중국 국가통계국은《전국시간이용조사공보(全 利用 公 )》발표를 통해 중국인의 1일 생활 시간을 살펴봄 - 2018년 국가통계국은 제2차 전국시간이용조사를 실시해 11개 성・시의 15세 이상 48,580명(도시 29,557명, 농촌 19,023명 / 남성 23,577명, 여성 25,00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음 2018년 중국인의 1일 활동 중 평균 필수 생활시간은 11시간 53분으로 하루의 49.5% 비중을 차지함 - 평균 임금 노동시간은 4시간 24분(18.3%), 비임금 노동시간 2시간 42분(11.3%), 여가시간 3시간 56분(16.4%), 학습시간 27분(1.9%), 이동시간 38분(2.7%)을 소요함 필수 생활시간은 수면・휴식, 개인 위생, 식사 및 간식 활동을 포함하고, 평일 평균 필수 생활시간은 11시간 45분, 공휴일은 12시간 12분으로 조사됨 2018년 중국인의 1일 평균 수면・휴식 시간은 9시간 19분으로 평일은 9시간 13분, 공휴일은 9시간 34분으로 나타남 중국인 1일 평균 개인 위생 시간은 50분이고, 연령별 소요 시간은 20~24세 여성이 58분으로 가장 긺 - 식사 및 간식시간은 1시간 44분임 출처: 家 局(2019), 《全 利用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온라인 소형 가전 시장 현황
중국의 소형가전으로는 공기청정기, 정수기, 주방용 가전기기, 청소기, 로봇청소기, 휴대전화 등이 있음 그중 공기청정기의 판매는 지난 몇 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나 2018년엔 판매량과 판매액 모두 각각 14.5%, 22.4% 감소했음 - 판매 감소 원인으로는 공기 질 개선도 있지만, 초반 극심했던 미세먼지에 충동구매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기능을 중심으로 한 이성적 소비로 패턴이 변화함 공기청정기는 외부 미세먼지와는 별개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제품으로 포름알데히드, 먼지, 꽃가루, 박테리아 등을 전문으로 정화하는 제품이 출시되어 여전히 가능성 있는 시장으로 판단됨 -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니즈와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 잠재력이 있음 주방 가전기기 중 식기세척기 온라인 시장의 증가는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주방 가전 중 인기 있는 품목으로 고급화 추세가 뚜렷함 - 3,000위안 이상의 제품이 전체 판매액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00위안 이상 제품의 판매액 비중도 14% 이상을 차지함 2018년 중국의 온라인 청소기 판매량은 1,428만 대, 판매액은 10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각각 20.2%, 35.5% 증가했음 - 그중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로봇청소기의 판매량은 516만대로 전년대비 52.9% 증가했으며, 판매액은 75억 위안으로 67.2% 증가했음 또한 핸디 청소기의 판매액 비중은 71.7%, 판매량 비중은 51.8%로 청소기 시장의 최근 트렌드를 볼 수 있음 <출처: 工 和信息化部 迪 究院(2019), 《2018年家 分析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온라인 대형 가전 시장 현황
2018년 중국의 온라인 평면TV 판매액은 58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8.12% 증가했고, 판매량은 2,311만 대로 18.9% 증가함 최근 디스플레이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TV 수요가 줄어들면서 제조사들의 가격전쟁이 시작됨 - 또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대형 TV와 스마트 기능으로 집중되면서 자연스럽게 산업 업그레이드되고 있음 2018년 중국의 온라인 에어컨 시장은 2017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온라인시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대형가전으로 총 2,505만 대, 829억 위안의 판매기록을 남김 중국 에어컨 시장 가격대 비중은 2,000~4,999위안이 73.7%로 집중되어 있음 - 특히 2,000~2,499위안 가격대의 에어컨이 전체 판매액의 20.3%를 차지하고 있음 2018년 중국 온라인 냉장고 시장의 특징은 중국 브랜드의 강세로 삼성과 LG가 브랜드 상위 10위에서 밀려남 - 중국 주요 냉장고 브랜드는 하이얼(海 ), 메이디(美的), 롱성(容 ), TCL, 캉지아(康佳) 등이 있음 중국의 온라인 세탁기 시장은 8kg 이상 제품의 판매액 비중이 76.5%, 가격대는 2,999위안 이하가 81.6%로 나타남 <출처: 工 和信息化部 迪 究院(2019), 《2018年家 分析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온라인 가전 시장 특징
중국인들의 소비수준 향상으로 가전 제품의 고급화, 다양화로 TV를 제외한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의 가격이 전체적으로 인상되었음 2018년 온라인으로 판매한 3,000위안 이상의 가전제품 비중은 전체 판매액의 48.1%에 달함 - 이는 2017년 38.2%보다 약 10%p 증가한 수치임 중국의 2018년 주요 전자플랫폼 판매액 비중은 징둥(京 ) 60%, 티몰(Tmall, 天猫) 28%, 쑤닝이거우( 易 ) 11%, 기타 1%로 나타남 최근 지우링허우(90년대생)와 링링허우(00년대생)의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전제품 온라인 구매에 있어서는 빠링허우(80년대생)가 가장 큰 소비력을 보임 온라인 가전 시장에서 리우링허우(60년대생)의 구매 비중이 2017년 3%에서 2018년 6%로 증가하여 주목할 만함 - 링링허우의 가전 소비는 휴대전화와 디지털 제품에 집중되어 있음 <출처: 工 和信息化部 迪 究院(2019), 《2018年家 分析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온라인 가전 시장 규모
중국 공업정보화부(工 和信息化部)의 리서치 기관인 싸이디연구원( 迪 究院, CCID)은 2019년 2월 25일 《2018년 가전 온라인 쇼핑 분석 보고(2018年家 分析 告)》를 발표함 - 《보고》에서는 2018년 중국의 온라인을 통한 가전제품 B2C 거래시장을 분석함 - 가전제품은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정수기, 주방 후드, 식기세척기, 공기청정기, 청소기, 휴대전화, 태블릿 등을 포함 2018년 중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8조 위안이며, 그중 온라인시장은 9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23.9% 증가율을 기록했음 중국의 B2C 온라인 가전 시장 규모는 5,79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7.5% 증가했음 그중 4대 전자기기의 온라인 거래액은 2,085위안으로 19.4% 증가함 - 평면TV 586억 위안, 에어컨 829억 위안, 냉장고 360억 위안, 세탁기 310억 위안임 소형 가전제품인 공기청정기, 주방기기, 정수기 등의 온라인 시장 규모는 1,06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9.5% 증가했으며, 휴대전화와 태블릿은 2,620억 위안으로 9.2% 증가했음 <출처: 工 和信息化部 迪 究院(2019), 《2018年家 分析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