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시장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경쟁력 분석: 시장비교우위지수를 중심으로
-------- 목차 ------------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중국의 수입시장 현황 IV. 한국과 일본의 시장비교우위 지수 V. 결론 중국의 대외수입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 결과 한국의 대중국 수출도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중국시자엥서 한국제품의 비교우위는 오히려 하락했다. 일본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크다. 시장비교우위(MCA) 지수를 산출해본 결과 한국은 8월 현재 작년에 비해 지수가 상승한 것보다 하락한 품목이 많았다. 일본은 지수가 상승한 품목이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중국의 수입시장 확대가 오히려 한국의 대중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국제품이 다른 나라나 중국제품으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 현상인지 장기적 현상의 시발점인지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중국시장 확대에 따른 소위 중국효과(China effect)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전략도 아울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총 1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 대만 교역 및 투자 현황
I. 대만 경제 개황 II. 한 대만 교역 및 투자 현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對中投資は台灣企業に学べ [Economic Review Vol.7 No.3 論文]
------------------目 次 ---------------------------- I.台湾企業の対中投資の実態 1.対中投資の推移 2.対中投資の実際の規模 3.台湾の対外投資における対中投資 4.上場企業の対中投資 II.在中国台湾企業のプレゼンス 1.地域分布:2大地域に集中する企業立地 2.産業分布:伝統産業と電子電機に集中 III.台湾企業の対中戦略と中国での経営実態 1.投資目的:コスト削減と市場獲得 2.経営と現地生産のパターン 3.中国子会社と台湾本社の役割分担 4.中国での発展を目指して 5.台湾企業の対中投資の業績 IV.対中投資に及ぼす政策の影響 1.経済交流を促進する中国の政策 2.制限から規制緩和へ変化する台湾の政策 3.台湾の産業空洞化とその対策 V.対中投資における日台企業の協力関係 1.対中投資の日台アライアンス 2.日台中の新しいビジネスモデル VI.台湾企業の対中投資の将来展望 *원제명 : 対中投資は台湾企業に学べ -台湾企業の対中投資の実態と成功要因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문화콘텐츠산업 현황(2003.07)
------------------------목차-------------------- 1. 동북아 문화 산업 현황 2. 중국 문화산업 1) 중국의 통상 및 시장환경 2) 중국 문화 산업 규모 3) 중국 문화콘텐츠 시장 매력도 4) 중국 진출 사례 3. 일본 문화 산업 1) 일본의 시장 환경 2) 일본 문화산업 시장 전망 3) 일본 문화콘텐츠 시장 매력도 4) 일본 진출 및 공동 제작 사례 4. 대만 문화산업 1)대만 시장 현황 2) 게임산업 현황 3) 국내 온라인 게임의 현지 활동 현황 중국(대만포함), 일본, 북한 등 동북아의 문화콘텐츠산업 현황 및 진출사례, 통계 자료입니다. 문의: 정책개발팀 정미경 과장(전화:2166-2071 e-mail:cmk@kocca.or.kr)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국기업의 중국 서부지역 투자현황
----------------목차------------------- 1. 전반적 추세 2. 지역별 투자형태 3.산업별 투자형태 4. 건당 투자금액 2003년 6월까지의 자료를 바탕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자금조달과 현지 금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내 외자기업의 성장과 중국진출 한국기업 현황 1. 중국의 대외개방 역사: 개요 2. 외자기업의 경제적 위치 3. 국가별 대중국투자 추이 비교 4.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황 제3장 중국 현지금융의 제도적 환경 1. 중국 금융제도의 현황: 개관 2. 중국의 은행산업 3. 중국의 주식시장 제4장 중국 현지금융의 관행 및 절차 1. 현지 은행차입의 종류, 관행 및 절차 2. 현지 직접금융의 요건 및 절차 제5장 현지금융 및 자금조달 구조 설문조사 1. 조사방법 및 분석대상기업 개요 2. 설문조사결과 분석 3. 현지금융 향후 전망 및 재무전략에 대한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설문조사 개요 및 내용 영문초록 총 120 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India and China: What Does India Have to do?
**The Fourth Korea-India Forum(2003.10.29) --------------- ABSTRACT --------------------------- What is Foreign Direct Investment? Why is FDI preferred? Cost-Benefit Analysis for FDI FDI Inflows to Major Economies in FDI Inflows to Major Economies in 2002 FDI Inflows to Asian Economies in 2002 FDI Inflows to Asian Economies in 2002 Selected FDI Indicators in China and Selected FDI Indicators in China and India Inward FDI Potential in China, India and Inward FDI Potential in China, India and Korea Determinants of Inward FDI in China and India Evaluation of the FDI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FDI Policy Development Strategy, Internalization, Timing, Overseas Networks Development Strategy, Internalization,Timing, Overseas Networks Business Environment Rankings in China and India Quality of Business Regulations in China, India and Quality of Business Regulations in China, India and Korea Prospects for Key Variables in China and India Futures of Inward FDI in China and India Examples of Good Reform Examples of Good Reform Practices What is India Supposed to Do? Inflows of FDI from Selected Countries and Sectoral Distribution in India (1991-2002) Inflows of FDI from Selected Countries and Sectoral Distribution in India (1991-2002) Korean FDI in India Korean FDI in India Korean FDI in China and Korean FDI in China and India Automobile demand in India Automobile companies in India (2002) Automobile Production Capacity ( Automobile Production Capacity (2002) Automobile Market Share in India ( Automobile Market Share in India (2002) India India's Strategic Edge for HMI s Strategic Edge for HMI Chennai Chennai's Strategic Edge for s Strategic Edge for HMI Total 30 page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ASEAN FTA의 영향 및 과제
2001년말 중국 및 ASEAN(동남아국가연합) 지도자들은 향후 10년내 「ASEAN-중국자유무역지대」(CAFTA)를 수립키로 발표했다. 2003년 10월 7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는 2010년까지 CAFTA를 수립할 방침을 재확인하였다. CAFTA는 지역내 소비자 18억명, GDP 2조 달러, 무역액 1.2조 달러에 달하는 자유무역지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세안과의 자유무역지대 수립은 중국의 지역통합전략의 첫걸음으로써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목차------------------------- 1. 중국과 아세안과의 관계 2. 상호간 무역에 미치는 요소 3. 산업에 미치는 영향 4. FTA 체결의 장애요소 총 11쪽 본 자료는 최근 중국 國務院發展硏究中心에서 발표한 것을 입수하여 정리한 것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S&P, 중국 50대 기업 선정
Stanard & Poor's 는 2003년 10월 ' China Top 50 Coporatates Coming of Age ' 발표 - 분석대상 상위 50대 기업은 중국 기업가운데 가장 경쟁력이 있고 국제화된 기업으로, 수익부분의 이 용 가능한 최근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그 다음 고려 대상이 자산 규모임 - 중국의 상위 50대 기업의 부채비율이 28.6%, EBITDA가 9.6배 수준 등 전반적인 재무상황 아주 양호 - 다만, 이들 기업의 수익구조가 취약하여 상품 가격 변동 등 외부적 변화에 노출 - 한편, 중국 기업 전반적으로 투명성이 낮고, 재무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것이 취약점임. 때문에 중 국기업과의 거래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國保險市場について—外國保險會社の中國進出を考える— [國際經濟金融論考 2003年第1號]
はじめに 中国のWTO 加盟に伴って保険市場の対外開放が進み、外国保険会社が相次いで進出を許 可され、国際的に中国保険市場の関心が高まっている。しかし商業保険の歴史が浅いため、 中国保険市場に関する研究は意外に少ない。以下では、外国保険会社の中国進出に関する 話題を中心に、中国保険市場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い。 中国保険市場の全体像 中国全体の保険料収入推移をみると、1992 年の354 億元から2001 年には2,109 億元と、 10 年間で約6 倍も拡大し、毎年二桁成長を遂げてきた(図1)。2002 年上期の保険料収入 (速報値)は1,608 億元(うち生命保険料収入は1,187 億元と約3/4 を占める)と公表され、 2002 年通期では3,000 億元の大台を越える勢いである。 こうした市場拡大の背景には、特に生命保険の分野で、有配当(Participating)保険や、 受取保険金が運用実績次第で変動する投資関連商品(Investment Linked)といった非伝統 的2な保険商品の需要が最近大きく伸びていることが影響している。現在では生命保険料収 入の過半が投資関連商品のものであると言われている。 大きなマーケットシェアを持つ保険会社は、生保で6 割以上のシェアを誇る“中国人寿 保険公司”、損保(非生保)では75%のシェアを有する“中国人民保険公司”である。両社 はともに、1988 年まで市場を独占してきた国有保険保険会社(the People's Insurance 1 本稿は、外国為替貿易研究会国際金融第1100 号(2003.2.15 号)に掲載されたものである。 2 中国では、生命保険の商品区分として、「伝統商品」と「非伝統商品」の二つに大別されている。前者は 主に無配当の養老保険や終身保険を指し、後者は有配当保険や運用状況次第で配 * 원제명 : 中国保険市場について —外国保険会社の中国進出を考える— **International Economic and Financial Review ; 国際経済金融論考 ***Institute for International Monetary Affairs (財)国際通貨研究所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