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의 해외투자 대상국
2017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대상 지역 분포는 유럽과 아프리카의 투자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아시아는 중국 해외직접투자의 가장 주요한 투자 지역임 2017년 중국의 대륙별 해외투자 규모(비중)는 아시아 1,10.4억 달러(69.5%), 유럽 184.6억 달러(11.7%), 라틴아메리카 140.8억 달러(8.9%), 북아메리카 65.0억 달러(4.1%), 오세아니아 51.1억 달러(3.2%), 아프리카 41.1억 달러(2.6%) 순으로 나타남 중국의 국가별 해외투자 규모는 홍콩이 911.5억 달러로 가장 많고, 버진아일랜드, 스위스, 미국이 각각 193억 달러, 75.1억 달러, 64.2억 달러 순으로 나타남 -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 기업의 미국 직접투자가 62.2% 급감했음 2017년 중국 기업은 일대일로 국가 약 3,000개 기업, 17개 산업 대분류에 투자했으며, 투자 규모는 201.7억 달러로 전년대비 31.5% 증가함 - 이는 중국 전체 해외투자의 12.5%에 달하는 비중임 중국의 주요 일대일로 투자 국가로는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러시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 파키스탄, 아랍 에미리트 등이 있음 2017년 기준, 중국의 일대일로 국가 누적 투자 규모는 1,544억 달러로 집계됨 <출처: 中 人民共和 商 部(2019), 《中 外投 展 告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지역별 해외투자 현황
2017년 중국 지방기업의 해외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짐 중국의 지역별 해외투자는 각 지역의 지방기업 2만 5,239곳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체 해외직접투자 기업의 98.9% 비중을 차지함 - 중앙기업 및 기관의 해외투자는 290곳으로 1.1% 비중임 권역별 해외투자 비중은 동부지역이 74.5%를 차지하고 있으나, 서부지역의 증가율이 주목됨 중국 서부지역의 해외투자 규모는 124.7억 달러로 전년대비 14.5% 증가했으며, 전체 투자 규모의 14.5%의 비중을 차지함 - 반면 동부와 중부지역, 동북3성의 해외투자는 전년대비 각각 48.9%, 24.7%, 41.2% 감소함 해외투자 지역은 경제 수준이 높은 지역인 광둥, 저장, 장쑤, 상하이, 베이징, 산둥, 푸젠, 랴오닝, 후난, 톈진 순으로 상위 10개 지역의 투자 비중이 중국 해외투자 규모의 79%를 차지함 그중 광둥의 해외투자 기업은 5,600곳 이상으로 22.1%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많고, 저장 11.9%, 장쑤 10.2%로 나타남 <출처: 中 人民共和 商 部(2019), 《中 外投 展 告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산업별 해외투자
2017년 중국의 산업 분류별 해외투자는 1차 산업 25.1억 달러, 2차 산업 295.1억 달러, 3차 산업 1,262.7억 달러로 3차 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79.8%에 달함 - 3차 산업의 투자 비중은 전년대비 8.1%p 증가했고, 2차 산업은 3.6%p 감소했음 2017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18개 산업 대분류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투자 규모가 100억 달러 이상인 산업은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제조업, 도소매업, 금융업으로 총 4개임 IT・소프트웨어・지식기술서비스업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44.3억 달러로 선진국들의 M&A 관리 감독 및 제한이 엄격해져 전년대비 76.3% 감소했음 2017년 중국의 제조업에 대한 해외투자 규모는 295.1억 달러로 전년대비 1.6% 증가했으며, 투자 규모 비중은 18.6%로 3.8%p 증가함 - 주요 제조업 투자 업종으로는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자동차, 컴퓨터・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의약, 철로・선박・항공우주 및 기타 운송설비 등이 있음 <출처: 中 人民共和 商 部(2019), 《中 外投 展 告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해외직접투자 규모
중국상무부(商 部)는 2018년 《중국해외투자발전보고(中 外投 展 告) 2018》를 발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4년간 연평균 35.8%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2017년 1,582.9억 달러로 전년대비 19.3% 감소함 2017년 8월, 중국국무원은 《해외투자 방향 선도 및 규범화에 관한 지도의견( 于 一步引 和 范境外投 方向的指 意 )》을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상무부, 인민은행, 외교부에 전달함 - 주요 내용은 중국 기업의 해외투자에 대한 심사 기준 강화로 인한 부동산, 호텔, 영화관, 오락 및 체육 분야의 투자 제한임 중국 해외투자 규모는 전 세계 해외투자의 11.1% 비중을 차지하고, 세계 3위 규모임 - 1위는 미국(3,422.7억 달러), 2위는 일본(1,604.5억 달러)임 중국의 해외투자 규모 세계 순위는 2007년 17위에서 2009년 5위로 급상승 하였고, 2015년과 2016년에는 세계 2위에 랭크됐으나 2017년 3위를 기록함 <출처: 中 人民共和 商 部(2019), 《中 外投 展 告2018》>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여성 주택 구매 비중 증가
중국 여성의 주택 구매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 최근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경제력 있는 여성이 증가함 여성의 주택 구매 추세는 1선 도시와 2선 도시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창사, 청두, 충칭, 선전 등의 도시에서는 여성 주택 구매자 비중이 50% 이상을 보임 - 여성 주택 구매자 비중은 창사가 56.7%로 가장 높고, 선전, 청두, 충칭 순으로 나타남 결혼 시 주택 구매 의사에 관한 조사에서 남성 40%, 여성 60%가 구매 의사가 있다고 답했음 - 결혼 시 여성의 뚜렷한 주택 구매 의사는 실제 구매로 이어짐 주택 구매 비용에서도 대출 없이 주택을 사는 여성 비중은 24%, 남성은 20%로 조사됐으며, 최대 이자율 대출 이용 비중도 여성은 42%, 남성은 41%로 조사됨 <출처: 房 布《2018城市居住 告》:重 人最土豪, 目 , 2019-03-1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1선・2선 도시의 주택 시장 비교
1선 도시는 높은 주택 가격으로 주택 구매 연령층이 30~39세에 집중되어 있음 - 반면, 주택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2선 도시의 경우 주요 구매층은 25~34세로 1선 도시와 5년의 차이가 남 평균 구매 주택 면적은 60~90㎡로 도시 간 차이가 없음 1선 도시는 기혼자의 구매력이 강함 - 주택 매입자의 78%가 기혼이며, 평균 구매면적은 75㎡로 미혼의 평균 구매 면적인 67㎡보다 8㎡ 넓음 그러나 2선 도시에서는 반대의 경향을 보임 - 2선 도시의 주택 구매자 비중은 미혼이 61.5%이고, 평균 구매 면적은 82㎡로 기혼자보다 2㎡ 넓음 이는 1선 도시 거주자는 결혼 후 주택을 구입하고, 2선 도시는 주택 구매 후 결혼을 하는 것으로 풀이됨 2018년 중국의 주택 임대 거래량은 2017년 대비 1선 도시는 감소하였고, 난징, 청두, 충칭 등 2선 도시는 신규 인구 유입으로 거래량이 증가함 <출처: 房 布《2018城市居住 告》:重 人最土豪, 目 , 2019-03-1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도시별 주택 시장 특징
베이징의 주택 거래 주기는 2017년 14개월에서 2018년 23개월로 9개 도시 가운데 가장 긺 주택 면적이 가장 좁은 도시는 상하이로 주택 구매자의 40%가 60㎡ 이하의 주택을 구입했으며, 180㎡ 이상의 대형 평수 구매 비중은 0.7%로 가장 낮음 도시별 주택 임차방식은 상하이가 연(年)세(1년치 월세 선납) 방식 계약이 75%로 가장 많았으며, 베이징은 분기별 월세 선납이 86.2%로 상하이의 주택 임대료 부담이 가장 큼 - 선전은 월세 계약이 94.6%로 가장 많았으며, 타 도시에 비해 임차인의 유동성이 큼 - 조사 결과 선전의 평균 부동산 임대 주기는 9개월로 나타남 《보고》조사 결과 2018년 중국의 남성 66%, 여성 70%가 쉐어하우스를 희망한다고 했으나, 실제 쉐어하우스 거주 비중은 50% 미만으로 조사됨 - 충칭의 쉐어하우스 주거 비중이 53.6%로 가장 높게 조사됐으며, 쉐어하우스 주거 이유로는 거주비 절감이 가장 큼 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은 베이징과 선전이 20% 이상이며, 난징, 상하이, 우한 순으로 나타남 9개 도시 중 주택 현금 매입이 가장 많은 도시는 충칭으로 30% 주택 매입자가 대출 없이 주택을 구매하였음 청두는 타지인의 부동산 매입이 가장 많고, 난징의 평균 주택 구매 연령은 30세로 가장 젊음 <출처: 房 布《2018城市居住 告》:重 人最土豪, 目 , 2019-03-1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2018년 도시 주거 보고》 발표
2019년 1월 24일 중국 부동산 매물 정보 사이트 베이커자오팡( 房)은 《2018년 도시 주거 보고(城市居住 告)》 발표를 통해 베이징, 상하이, 선전, 난징, 우한, 창사, 충칭, 청두, 허페이 9개 도시의 주택 거래 특징을 분석함 거주지역 결정은 직장과의 거리가 가장 우선 고려 요인으로 작용하고, 연령대에 따라 고려 사항이 상이함 - 사회 초년생인 지우우허우(1995년 이후 출생자)는 주거비를 가장 고려하고, 빠링허우(1980년대생)은 치안을 중요하게 생각함 보고서에서 2017년 대비 2018년의 베이징과 상하이의 중고 주택(二手房) 매매량은 다소 증가했으나, 선전의 거래량은 감소함 - 2018년 선전지역의 중고 주택과 임대 시장 거래량은 각각 10%, 15% 하락함 2018년 베이징의 중고 주택 매매량은 상하이의 두 배 수준임 <출처: 房 布《2018城市居住 告》:重 人最土豪, 目 , 2019-03-1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주요 도시의 평균 임금
중국 국가통계국이 집계한 2017년 중국의 주요 도시별 평균 임금은 베이징이 134,994위안으로 가장 높고, 상하이, 라싸, 난징, 선전이 10만 위안 이상으로 나타남 - 2017년 중국의 평균 임금은 74,318위안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직장인의 재테크 현황
중국 직장인의 월급 중 재테크 비중은 20% 이하는 51.3%, 20~40%는 32.5%, 40~60%는 10.9%로 나타나 재테크 금액이 크지 않음 재테크 방법으로는 은행 24.3%, 인터넷 재무 플랫폼 47.4%, 기타(증권, 기금, 보험, 신탁 등) 28.3%로 조사됨 중국 직장인은 아직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적고, 재테크 계획과 금융 지식이 부족함 <출처: 2019年 人工 告:工作10年,月薪 万者不足三成, 21世 道, 2019-04-2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