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중국 직장인의 급여 만족도
월급 1만 위안 이상 직장인의 근무 기간 비중은 10년 이상은 22.44%, 5~10년 16.85%, 3~5년 13.73%로 나타남 - 고연봉은 단순히 근무 기간과의 연관보다 근무 지역, 근무 업종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 월급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직장인 응답자의 66.2%가 현재 월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74.6%가 월급을 이유로 이직할 의향이 있다고 답함 - 본인의 월급이 적당하다고 답한 비중은 29.7%이고, 기대보다 많다고 응답한 비중은 4%로 나타남 <출처: 2019年 人工 告:工作10年,月薪 万者不足三成, 21世 道, 2019-04-23>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지역별 고소득자 비중
2019년 4월 23일 중국 최대 IT 기업 텐센트의 금융 서비스 리차이퉁(理 通), 금융과학기술싱크탱크(金融科技智 ), 텐센트 연구소인 치어즈쿠(企 智 )는 《2019년 국민임금보고( 人工 告)》를 발표하여 중국인의 임금과 재테크 현황을 살펴봄 2018년 중국의 1만 위안 이상의 월급을 받는 고소득자가 많은 도시는 상하이, 베이징, 선전 순으로 나타남 - 상하이의 월수입 1만 위안 이상 직장인 비중은 35.09%, 베이징은 35.07%로 0.02%p 차이가 나고, 선전, 난징, 항저우, 광저우는 각각 26.91%, 19.37%, 18.60%, 14.74%임 신(新) 1선 도시로 분류되는 난징과 항저우의 고소득자 비중이 1선 도시인 광저우보다 높음 상하이, 베이징, 선전, 광저우, 항저우의 월급 5,000~8,000위안의 소득자 비중은 각각 28.59%, 24.32%, 29.57%, 29%, 33.68%로 조사됨 - 난징은 월급 3,000~5,000위안의 직장인 비중이 28.38%임 중국의 월급이 가장 많은 업종은 인터넷업이고, 다음으로는 부동산업, 금융업 순임 <출처: 2019年 人工 告:工作10年,月薪 万者不足三成, 21世 道, 2019-04-2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삼각지역 기술 협력 현황
창삼각지역은 빠른 교통인프라 발전과 혁신자원의 효율적 이동, 국가급 창업 인큐베이팅 및 창업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그중 과학기술형 창업이 주목됨 또한 해외 투자 연구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과학 기술 프로젝트 연동, 자원 공유, 인재 정책 등의 지역 간 혁신창업 협력이 지속해서 강화되고 있음 중국 발명 특허 신청량을 통해 창삼각지역 내 성(省)간 협력을 살펴보면, 2010년 357건이었던 창삼각지역 협력 발명 특허 신청 건수는 2017년 1,671건으로 7년 사이 약 5배 증가함 기술 협력에 참여한 도시 수는 2010년 31개에서 2017년 37개로 증가했고, 그중 상하이-닝보, 상하이-항저우, 항저우-닝보가 주요 기술협력 도시로 공간적 삼각지대를 이룸 창삼각지역의 국가급 하이테크 단지와 경제기술개발구는 2010년 46개에서 2017년 97개로 늘었고, 산업 단지의 혁신 추진과 산업 밀집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업생태가 개선되고,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함 지역별 산업 특징으로는 상하이는 바이오의약산업의 성장이 가장 빠르고, 장쑤는 신소재 및 스마트장비 제조업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저장은 통신서비스업, 안후이는 장비제조와 신에너지 등 공업 분야가 발전하고 있음 창삼각지역의 주요 기술이전 도시는 상하이, 쑤저우, 난퉁임 - 상하이는 기술 유출형 도시, 쑤저우는 기술 균형형 도시, 난퉁은 기술 유입형 도시로 분류됨 <출 처> 1. 家 展改革委(2016), 《 江三角洲城市群 展 》 2. 三角 同 新 指年 8.67%!《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信息快 , 2019-05-16 3. 一文 !《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新民 , 2019-05-16 4. 바이두백과 홈페이지, https://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삼각지역 R&D 협력 네트워크
창삼각지역은 상하이를 중심으로 난징, 항저우, 허페이 4대 도시간 인재 이동과 협력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음 - 인재 유동은 상하이의 유동성이 가장 강하고, 상하이-난징 간의 인재 유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협력 네트워크는 상하이-난징, 상하이-항저우를 주로 하고, 상하이-허페이, 난징-항저우를 보조 네트워크로 연결함 창삼각지역의 R&D 투자 비율은 2.71%로 상하이는 3.93%, 장쑤 2.63%, 저장 2.45%, 안후이 2.05%로 나타남 창삼각지역의 혁신 주도 주체는 정부로 지방정부 재정의 4.33%를 과학기술 연구에 투자하고 있음 - 전국 평균인 2.56%보다 높은 수준임 “창삼각지역 R&D 자원 공유 플랫폼”은 지역 내 628개 기업 및 기관의 대형기기 설비 20,407대가 등록되어 있음 - 지역 내 기기 공유를 통해 높은 수준의 R&D 협력을 끌어냄 <출 처> 1. 家 展改革委(2016), 《 江三角洲城市群 展 》 2. 三角 同 新 指年 8.67%!《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信息快 , 2019-05-16 3. 一文 !《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新民 , 2019-05-16 4. 바이두백과 홈페이지, https://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삼각지역 협동 혁신 지수
2019년 5월 16일 상하이과학학연구소(上海市科 究所)는 《창삼각 일체화 지역 협동 혁신 지수 보고(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2019년)》를 발표 - 2010~2017년 창삼각지역 41개 도시의 자원 밀집, R&D 협력, 기술 확보, 산업 발전, 환경 조성 분야의 협동 혁신 현황을 분석함 창삼각지역의 협동 혁신지수는 2010년 100.00점을 기준으로 2017년 178.91점을 기록했고, 연평균 8.67% 증가했음 창삼각지역의 분야별 일체화는 자원 밀집의 통합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 - 분야별 일체화 속도는 2013년까지 기술 확보와 자원 밀집이 빨랐고, 2014년 이후는 산업 발전과 환경 조성의 통합이 빠르게 진행됨 <출 처> 1. 家 展改革委(2016), 《 江三角洲城市群 展 》 2. 三角 同 新 指年 8.67%!《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信息快 , 2019-05-16 3. 一文 !《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新民 , 2019-05-16 4. 바이두백과 홈페이지, https://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장삼각주 지역 발전 정책
창장( 江)은 양쯔강이라도고 불리며 총 길이 6,300㎞로 중국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임 - 창장삼각주는 창장의 하류 지역으로 21.17만㎢로 수로를 통한 물류, 농업과 수공업의 발전으로 중국 근현대에 이미 도시군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중국 경제발전에 선두지역 역할을 함 2010년 5월 중국국무원은 창장삼각주를 상하이(上海), 장쑤(江 ), 저장(浙江)으로 규정한 지역 발전 전략인《창강삼각주지역규획( 江三角洲地 域 )》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창장삼각주를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도시군으로의 육성을 목표로 제시함 2014년에는《황금수로를 활용한 창장경제벨트 발전추진을 위한 지도 의견( 院 于依托 金水道推 江 展的指 意 )》, 2016년 《창장경제벨트발전규획강요( 江 展 要)》를 발표해 창장삼각주지역의 일체화를 추진함 또한 2016년 5월 11일 국무원상무회의를 통해 《창장삼각주도시군발전규획( 江三角洲城市群 展 )》을 발표하며 상하이를 중심으로 난징도시군(南京都市圈), 항저우도시군(杭州都市圈), 허페이도시군(合肥都市圈), 쑤시창도시군( 常都市圈: 쑤저우-우시-창저우), 닝보도시군( 波都市圈) 등의 발전과 개방 확대를 추진함 - 《규획》에 포함된 26개 도시는 상하이, 장쑤성의 9개 도시, 저장성 8개 도시, 안후이 8개 도시임 2019년 1월 상하이시는 《정부업무보고(政府工作 告)》를 통해 창장삼각주지역의 지역 통합 발전을 위한 '창삼각일체화발전시범구( 三角一 化 展示范 )'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출 처> 1. 家 展改革委(2016), 《 江三角洲城市群 展 》 2. 三角 同 新 指年 8.67%!《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信息快 , 2019-05-16 3. 一文 !《2019 三角一 化 域 同 新指 告》 布, 新民 , 2019-05-16 4. 바이두백과 홈페이지, https://baike.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팟캐스트 사용자 특징
2018년 중국의 팟캐스트 사용자 수는 3.01억 명으로 나타났으며, 신 1선 도시의 사용률이 44.5%로 가장 높게 나타남 중국의 최대 팟캐스트 플랫폼인 히말라야(喜 拉雅)의 점유율은 62.8%로 수익 모델을 확대하고 있음 팟캐스트 사용자 특징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소비력이 강한 20~39세의 사용률이 가장 높음 - 지역별 사용자 규모는 2선 도시 이상의 도시가 큼 <출처> 1. 2019中 展 究 告 布 用 7.25 , AsiaOTT, 2019-05-27 2. 《2019中 展 究 告》 布 2018年中 行 呈 12大特点及 , 人民 , 2019-05-28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숏 비디오・라이브 방송 사용자 수
2018년 숏 비디오 플랫폼 사용자 규모는 6.48억 명으로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78.2%를 차지함 중국의 대형 숏 비디오 플랫폼은 틱톡(TikTok, 音), 콰이서우(快手)가 있음 - 틱톡은 15초의 짧은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편집해 자신만의 영상을 만들어 SNS로 공유하고 즐기는 APP임 - 국내 이용자 수는 320만 명임 2018년 중국의 라이브 방송 플랫폼 사용자 수는 3.97억 명으로 전년대비 7.7% 감소했고, 사용률은 47.9%로 6.8%p 감소하며 전체적인 하락세를 보임 중국의 스마트TV 보급률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2018년 36% 수준임 <출처> 1. 2019中 展 究 告 布 用 7.25 , AsiaOTT, 2019-05-27 2. 《2019中 展 究 告》 布 2018年中 行 呈 12大特点及 , 人民 , 2019-05-28 3 '광고 뺀 15초 동영상' 틱톡…해외서 유튜브 제쳤다, 한국경제, 2019-05-2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동영상 플랫폼 사용자・시장 규모
2018년 중국의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사용자 수는 7.25억 명으로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87.5%가 사용 중임 - 사용률은 2017년 88.7%에서 2018년 87.5%로 감소함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사용 수단은 스마트폰이 7.25억 명으로 사용률 99.7%를 차지하고, 데스크탑 3.61억 명(49.8%), 노트북 2.75억 명(37.9%), 태블릿 PC 2.35억 명(32.4%) 순으로 나타남 동영상 플랫폼은 크게 종합 동영상, 라이브 방송, 숏 비디오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18년 숏 비디오 시장 규모가 급성장함 최근 중국 종합 동영상 플랫폼의 수준 높은 독점 콘텐츠와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으로 구독 회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중국의 3대 종합 동영상 플랫폼은 아이치이( 奇 , iQIYI), 텐센트비디오( ), 유쿠( 酷, Youku)로 시장 점유율 80.2% 수준임 2018년 아이치이의 구독 회원 수는 8,740만 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2% 증가했고, 그중 유료회원 비중은 98.5%임 - 텐센트비디오의 회원 수는 8,900만 명에 달하고 58% 증가함 - 유쿠의 일평균 유료회원 증가율은 200%에 달함 중국 종합 동영상 플랫폼의 주요 수익 모델은 광고 수입, 콘텐츠 유료화, 판권분배가 있음 - 동영상 플랫폼은 초기 광고 수입이 7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콘텐츠 유료화 비중이 점차 높아지면서 2018년 34.5%로 2012년의 8배 증가함 <출처> 1. 2019中 展 究 告 布 用 7.25 , AsiaOTT, 2019-05-27 2. 《2019中 展 究 告》 布 2018年中 行 呈 12大特点及 , 人民 , 2019-05-28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인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2019년 5월 27일 중국인터넷영상음악프로그램서비스협회(中 目服 , CIAVC)는 《중국 인터넷 영상・음악 발전 연구 보고(中 展 究 告) 2019년 》을 발표하여 영상・음악 산업의 발전 현황과 특징 및 추세를 분석함 2018년 12월 한 달간 중국인의 스마트폰 일평균 사용 시간은 5.69시간(341.2분)으로 2017년 12월 대비 62.9분 증가함 - 숏 비디오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크게 늘어남 유형별 사용 시간 비중은 숏 비디오가 33.1%로 가장 높고, 웨이신 등 인스턴트 메시지 18.6%, 뉴스 9.7%, 쇼핑 5.1%, 게임 4.7%, 웨이보 등 SNS 4.1% 순으로 나타남 <출처> 1. 2019中 展 究 告 布 用 7.25 , AsiaOTT, 2019-05-27 2. 《2019中 展 究 告》 布 2018年中 行 呈 12大特点及 , 人民 , 2019-05-2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