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가오카오 응시자 수 및 합격율
2019년 가오카오는 6월 7~9일 치러졌으며 응시자 수는 1,031만 명으로 집계됨 2018년 중국의 대학 합격률은 73%로 가오카오 응시자 수는 975만 명, 합격자는 715만 명임 - 한 자녀 출산 정책으로 학생 한 명당 한 가정, 많게는 여러 가정이 기대를 걸고 있어 입시제도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짐 1996년 이후 가오카오 응시자와 합격자 수가 크게 늘어 합격률은 약 30%에서 70%까지 높아짐 최근 가오카오 시험 내용이 점차 지식에서 능력을 살펴보는 유형의 시험으로 바뀌고 있음 중국의 지역 불균형적 경제발전으로 지역별 대학의 수준과 평판이 큰 차이를 보임 - 이러한 지역별 대학 수준 차이가 대입제도 변화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됨 또한 사회경제의 발전에 따라 인재에 대한 수요와 육성이 점차 다원화되고 있어 획일화된 입시 제도가 사회 변화를 충족시키기 어려움 <출처: 民生, 高考 些年, 新 , 2019-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가오카오 발전 과정
중국의 '일반대학 입학 전국 통일 시험(普通高等 校招生全 一考 )' 즉 가오카오(高考)는 1952년 처음 실시되었고 문화대혁명 이후 1977년 부활한 대학 입학을 위한 시험임 - 가오카오의 발전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특징을 살펴봄 ■ 1단계(1977~1993년) 1966년 문화대혁명으로 대학 신입생 모집이 중단된 후 1977년 10월 중국 인민일보는 《대학생 모집 중대 개혁(高等 校招生 行重大改革)》을 1면에 기재하며 가오카오의 부활을 알렸음 당시 대학 재학은 가정의 부담이 적었고, 졸업이 보장되며 합격률이 매우 낮았음 - 대학 졸업의 메리트로 많은 전문대학이 생겨남 ■ 2단계(1994~2013년) 대학의 자비 부담이 시작되었고, 신입생 규모가 크게 확대되어, 대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이 크게 늘어 대학 졸업의 희소성이 낮아짐 이로 인해 대학 졸업자에 대한 보상이 줄고, 취업률이 1980년대에 비해 크게 낮아짐 ■ 3단계(2014년~현재) 중국은 30년의 대학 교육 발전을 거쳐 규모와 수준 모두 큰 향상을 이루며, 중국 사회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침 - 최근 가오카오 시험제도 개선 논의에 많은 사회적 관심이 모아짐 <출처: 民生, 高考 些年, 新 , 2019-06-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BAT 사용 시간 비중
현재 BAT의 APP 다운로드 수는 텐센트 > 알리바바 > 바이두 순으로 나타남 - BAT의 APP 전체 다운로드 수는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하락하고 있어 향후 3사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2018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BAT의 APP 월 사용 시간 비중의 특징은 알리바바의 사용 시간 비중은 전자상거래, 메신저, 영상, 기타, 시스템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고, 바이두는 영상과 시스템, 텐센트는 메신저 APP에 집중되어 있음 BAT의 유형별 APP 신규 다운로드 수 비중을 살펴보면, 바이두는 영상과 시스템이 각각 41.3%, 32.2%로 높고,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 49.3%, 텐센트는 영상 23.4%, 시스템 22.8%, 메신저 16.4%, 게임 14.7%로 집계됨 2019년 5월 바이두 계열 APP 사용 시간 비중은 39.4%, 알리바바 47.7%, 텐센트 53.6%로 텐센트의 사용 비중이 가장 높음 - BAT의 2018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APP 사용 시간 비중 추이는 바이두는 25.4%, 알리바바 29.9%, 텐센트 19.6% 증가함 <출처: Mob 究院(2019), 《BAT 据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BAT 사업별 영업이익
BAT의 2018년 영업이익은 바이두 3,126.9억 위안, 알리바바 3,468.4억 위안, 텐센트 1,022.8억 위안으로 알리바바의 영업이익이 가장 많음 - BAT의 전년대비 영업이익 증가율은 바이두 31.5%, 알리바바 38.6%, 텐센트 20.6%로 나타남 BAT의 2018년 순이익은 바이두 774.7억 위안, 알리바바 934.1억 위안, 텐센트 275.7억 위안임 바이두의 사업 분야별 영업이익은 기타 이익 819.1억 위안, 광고 이익 203.7억 위안으로 2014년 1.1%였던 광고 이익 비중이 2018년 19.9%로 증가했음 알리바바의 영업이익은 2014년 전자상거래 사업 분야가 678.2억 위안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나, 2018년은 전자상거래 3,234억 위안, 클라우드 컴퓨팅 247억 위안, 디지털 미디어 및 오락 240.8억 위안 등으로 이익 창출 사업을 다양화함 2018년 텐센트의 영업이익은 게임 관련 부가서비스 사업이 1,766.5억 위안, 광고 580.8억 위안, 기타 779.7억 위안으로 기타, 광고 이익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출처: Mob 究院(2019), 《BAT 据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이용자 수 TOP 10 APP
2019년 6월 중국에서 순수 이용자 수(MAU MAU(Monthly Active Users):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 )가 가장 많은 APP는 텐센트의 위챗이 10.6억 명으로 집계됨 - 이 밖에도 QQ, 비디오 플랫폼 아이치이(iQIY), 타오바오, 숏 비디오 플랫폼 틱톡(TikTok, 音), 앱스토어 잉용바오( 用 ) 등이 있음 이용자 수 TOP 10 APP 가운데 텐센트 계열 5개, 알리바바 계열 2개, 바이두 계열 1개로 총 8개에 달함 <출처: Mob 究院(2019), 《BAT 据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3대 IT기업 BAT 개요
2019년 6월 19일 중국의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기술 기업인 MobTech의 Mob연구원은《BAT데이터통찰보고( 据洞察 告)》를 발표함 BAT는 중국의 3대 IT기업인 바이두(Baidu, 百度),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텐센트(Tencent, )를 지칭하는 용어임 바이두는 2000년 1월 설립되었으며 구글과 같은 검색포털 기업으로 2002년 중국에서의 검색 사용자 수가 구글을 뛰어넘음 - 2005년 8월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2002~2009년 바이두는 21개의 상품 라인을 만들고, 검색엔진 분야에서 거대기업으로 성장했음 - 최근 바이두는 AI를 핵심 기술로 개발하고 있으며 AI 관련 특허 수가 텐센트의 2배, 알리바바의 3배에 달함 알리바바는 1999년 설립되었으며 미국의 아마존과 같은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2003년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淘 )와 전자 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Alipay, 支付 )를 설립했음 - 2007년 홍콩증시에 상장했으나, 주가 폭락, 타오바오 위조 상품 판매 사건, 상장폐지 등 어려움이 있었음 - 2013년 이후 알리바바는 물류, 인터넷 금융, 문화, O2O, 해외사업 등을 시작하며 사업 분야를 확장함 텐센트는 1998년 컴퓨터 시스템 회사로 시작하여 1999년 메신저 프로그램인 QQ를 출시하고 게임 등 이와 관련된 산업을 키워나감 - 2004년 홍콩증시에 상장했으며, 뉴스 플랫폼, 미디어 및 광고 서비스를 시작함 - 2011년 위챗(WeChat, 微信)을 출시하며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의 시대가 열림 <출처: Mob 究院(2019), 《BAT 据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신선 식품 및 마트 배달 시장
2018년 중국의 신선 식품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1,847.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1.2% 증가함 최근 중국인의 신선 식품 품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유통기한이 짧고 쉽게 상하는 식품의 배송 수요가 증가해 배송 시간, 배송 서비스 품질 등의 소비자 요구가 높아짐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으로 신선 식품을 제공하는 방식이 다양화됨 - 소비자들의 신선 식품 소비 방식은 단순 온라인 구매에서 신선 식품 시장, 마트, 편의점, 음식점 등으로 공급처가 다양해짐 - 따라서 즉시물류 기업의 배송 영역의 가능성과 주문량이 증가함 2013년까지 대부분 소비자의 마트 소비는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졌고, 마트는 단순한 소비 장소가 아닌 오락과 사교 활동의 장소로 이용되었음 - 그러나 인터넷기업의 지역 생활 서비스 제공으로 마트 배달이 큰 인기를 얻으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름 2018년 중국의 마트 배송 O2O 시장 규모는 507.9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52.5%의 증가했으며 2020년 규모는 1,404억 위안으로 예상됨 <출처: 艾瑞(2019), 「中 物流行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배달 O2O 시장
2015년 중국의 배달 O2O 시장이 급성장하며, 즉시물류 기업이 호황을 맞이했음 - 음식 배달의 특성상 잦은 주문으로 빠르게 주문량이 증가했음 음식 배달 시장의 잠재력은 국민 1인당 가처분소득의 증가와 '게으름 경제'로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고, 점차 주문자의 관심이 가격에서 시간과 음식의 품질로 옮겨가며 배송 효율이 고객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해 질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배달 O2O 시장이 음식 배달에만 국한된다면 향후 정체기가 올 것이라는 시각이 있음 중국 배달 O2O 시장의 거래 규모는 2013년 34.3억 위안에서 2018년 4,530.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42.6%의 성장률을 보임 택배업의 폭발적인 발전에서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는 매우 중요한 경쟁 요소임 - 그러나 택배 배송인력의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함 - 또한 노동인구의 감소로 잠재적인 종사자 수도 감소해 택배업의 인력 부족은 배송효율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음 최근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로 택배 상품이 집화되어 배송지에서 고객에게 배달되지 못하고 쌓여가는 경우가 발생했으며, 택배 회사들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즉시물류 인원 보충을 제시함 - 즉시물류 배달원이 여유시간을 활용해 배송지에 있는 택배 상품을 고객에서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하는 방법을 도입 2018년 중국의 택배 서비스 건수는 507.1억 건으로 전년대비 26.6%를 기록했으며,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임 <출처: 艾瑞(2019), 「中 物流行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즉시물류 산업 현황
2018년 중국의 즉시물류 주문 건수는 134.4억 건으로 전년대비 45.2% 증가했음 - 2013년 9.5억 건에서 5년 사이 14배 이상 증가했고, 2020년 주문 건수는 243.7억 건이 될 것으로 전망함 즉시물류의 서비스 분야 비중은 음식 77.5%, 비음식 22.5%임 즉시물류 주문 건수 증가율은 2015년 136.5%를 기록했고 점차 둔화하고 있어 물류 기업은 사업 다변화를 모색 중임 2018년 중국의 즉시물류 산업 규모는 981.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9.4% 증가함 <출처: 艾瑞(2019), 「中 物流行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즉시물류의 범위 및 산업 구조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아이리서치(IResearch, 艾瑞)는 2019년 7월 17일 《중국즉시물류업연구보고(中 物流行 究 告)》를 발표함 중국의 즉시물류는 상품이 창고와 중계 단계를 거치지 않고 2시간 이대로 직접 배달되는 유통 서비스로 데이터를 활용하고 실시간 수요를 분석해 배송 서비스를 제공함 - 즉시물류는 O2O 배달업의 발전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최근 2년간 배달시장 성장이 둔화하여 음식 배달 외의 새로운 서비스 분야를 개척하고 있음 본 보고서에서의 즉시물류는 주문 후 상품 도착시간 2시간 이내의 동일 지역 최종 거점 간의 배송으로 주요 배송 수요는 음식 배달, 마트 배달, 신선 식품, 물품 배달(퀵 서비스)을 포함함 2019년 3월 국무원의 정부공작보고에서는 물류업의 인터넷화, 스마트화의 지속적인 발전 추진을 언급함 2018년 중국의 실물상품 온라인 판매액은 7조 19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조 5,392억 위안 증가함 - 이는 중국 온라인 시장의 호황을 이룸과 동시에 배송 기업의 성장과 경쟁 심화로 이어짐 일부 택배회사는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에 인력을 보충하는 한편 음식 및 마트 상품 배달, 신선 식품, 생화 배달 등 새로운 시장을 확대해 즉시물류의 수요가 증가함 중국의 즉시물류 산업 구조는 배달・소매・신선 식품 O2O 플랫폼, 택배회사, 결제 시스템, 전자상거래 플랫폼, 식음료 브랜드, 즉시물류 기업, 기술 지원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출처: 艾瑞(2019), 「中 物流行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