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의 야간 관광 및 생활
야간 경제는 관광에서도 나타남 - 중국인 관광객 중 92.4%가 야간 관광을 해본 적 있다고 답했고, 80, 90년대 생인 젊은 층이 야간관광 소비의 주력 세대임 야간 소비에서 35.7%는 야경을 즐겼고, 25~28%는 공연을 관람하고 맛집, 야시장 등에 소비를 한 것으로 나타남 알리페이로 살펴본 야간 대중교통 이용이 가장 활발한 도시는 시안, 상하이, 항저우, 우한, 광저우, 베이징으로 나타남 베이징시는 지하철 운영 시간을 연장했으며, 3년 내 “야간 생활권”을 형성할 계획임 - 또한 야간 운영하는 식당과 상점에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함 <출처> 1. 中 城市“夜 ” , 新 , 2019-08-14 2. : “夜 ” 光更好 暖百姓夜生活, 新 , 2019-08-07 3. 支付 :8.8大促期 下刷 支付人次 新高 21世 道, 2019-08-12 4. 阿里巴巴 布夜 告,武 夜 消 全 排第二, 江日 , 2019-07-2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야간 문화 소비
중국의 문화 소비에 있어서도 밤 시간대는 매우 중요함 중국의 공연과 스포츠를 가장 많이 관람하는 시간은 19~21시임 - 드라마를 가장 많이 시청하는 시간은 21~23시 - 90년대 생의 콘텐츠 열람이 가장 많은 시간은 20~23시임 중국의 종합 티켓 예매 사이트인 다마이왕(大 )가 발표한 각종 공연, 경기 등이 문화생활이 가장 활발한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톈진, 청두, 항저우임 또한 중국의 영화 예매 APP 타오퍄오퍄오(淘票票)가 집계한 영화 관람이 가장 많은 도시는 광저우, 상하이, 선전, 베이징, 항저우임 중국 도시의 시간대별 야간 노점상 운영은 22~23시는 시안, 베이징, 청두가 가장 활발하고, 23~24시는 둥잉( ), 선전, 포산, 24시 이후는 산터우(汕 ), 난닝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야간 경제는 야간 생활을 즐기는 것 외에도 수면의 질을 높여주는 수면 베개, 향초, 안대 등의 수면 산업도 빠르게 발전함 - 선진국 중심이던 수면 산업에서 중국은 매년 천억 위안 이상의 규모로 시장이 커지고 있음 - 알리바바, 애플,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이 수면 분야 사업에 뛰어들었고, 수면 모니터링, 백색소음 등 수면에 도움이 되는 APP이 수백개 출시되어 있음 <출처> 1. 中 城市“夜 ” , 新 , 2019-08-14 2. : “夜 ” 光更好 暖百姓夜生活, 新 , 2019-08-07 3. 支付 :8.8大促期 下刷 支付人次 新高 21世 道, 2019-08-12 4. 阿里巴巴 布夜 告,武 夜 消 全 排第二, 江日 , 2019-07-2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야간 소비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타오바오(淘 )의 결제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21~22시임 - 야간 소비는 전체 하루 소비 비중의 36% 이상을 차지함 타오바오의 야간 주문이 가장 활발한 상위 10개 도시는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선전, 충칭, 청두, 항저우, 둥잉, 쑤저우, 우한임 야간 택배 수요가 가장 많은 상위 3개 도시는 선전, 우한(武 ), 창사임 저녁 9시 이후 2선 도시의 배달 소비 증가가 가장 빠름 - 가장 늦은시간까지 배달 주문이 많은 도시는 선전, 샤먼(厦 ), 포산(佛山)임 야간 상점 소비는 '남강북약(南强北弱)' 추세를 보임 - 중국 전역의 야간 소비가 가장 활발한 10개 도시 중 9개가 남부 도시이며, 1개의 북부 도시는 베이징임 중국의 24시간 편의점 수는 현재 10.6만 개로 1.3만 명 당 점포 한곳 수준임 - 일본은 2,248만 명 당 점포 한 곳으로 밀도 계산에 따르면 중국은 약 70만개의 편의점이 더 생길 잠재력이 있음 <출처> 1. 中 城市“夜 ” , 新 , 2019-08-14 2. : “夜 ” 光更好 暖百姓夜生活, 新 , 2019-08-07 3. 支付 :8.8大促期 下刷 支付人次 新高 21世 道, 2019-08-12 4. 阿里巴巴 布夜 告,武 夜 消 全 排第二, 江日 , 2019-07-2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야간 경제 육성 정책
야간 경제(夜 )는 최근 중국의 화제어로 톈진, 상하이, 베이징 등에서 떠오르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야간 경제 발전을 육성하고 있음 - 또한 야간 경제는 새로운 비즈니스 활력이 되고 있음 야간 경제는 1970년대 영국에서 시작된 경제학 용어로, 통상적으로 저녁 6시에서 다음날 새벽 6시까지 발생하는 경제 문화 활동을 의미함 - 쇼핑, 외식, 여행, 교육, 오락, 휴식 등을 포함함 중국의 야간 경제는 1990년대 초 외식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최근 경제사회의 빠른 발전으로 대중의 야간 생활이 활발해지고 야간 소비의 수요가 증가함 2018년 중국의 야간 음식 소비 거래액은 전년대비 47% 증가했으며, 낮 시간대 음식 소비 거래액 증가율보다 2%p 높음 중국 톈진(天津), 상하이(上海), 지난( 南), 베이징(北京) 등의 도시에서는 야간 경제 발전 추진을 위한 정책을 발표함 - 2018년 11월 6일 톈진시정부《야간 경제 발전 추진 가속에 관한 실시의견( 于加快推 夜 展的 施意 )》 - 2019년 4월 15일 상하이 상무위원회 등 9개 부서《상하이 야간 경제 발전 추진에 관한 지도의견( 于上海推 夜 展的指 意 )》 - 2019년 6월 19일 산둥성 지난시 정부《야간경제 발전 추진에 관한 실시의견( 于推 夜 展的 施意 )》 - 2019년 7월 9일 베이징 상무부《야간 경제 번영 소비 성장 촉진에 관한 조치( 于 一步繁 夜 促 消 增 的措施)》 2019년 7월 31일에서 8월 8일까지 9일간 간편 결제 시스템 알리페이(Alipay, 支付 )와 중국 배달 플랫폼 어러마( 了 )의 거래량을 분석해 도시 야간 경제 지수 순위를 발표함 <출처> 1. 中 城市“夜 ” , 新 , 2019-08-14 2. : “夜 ” 光更好 暖百姓夜生活, 新 , 2019-08-07 3. 支付 :8.8大促期 下刷 支付人次 新高 21世 道, 2019-08-12 4. 阿里巴巴 布夜 告,武 夜 消 全 排第二, 江日 , 2019-07-24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Z세대의 소비 및 APP 사용
Z세대는 중국 소비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음 - 중국에서는 '직장인은 빈곤을 감추고, 대학생은 부를 감춘다'라는 말이 있음 조사 결과 Z세대의 월 가처분소득은 3,501위안으로 높은 편이며, 월세에 대한 부담이 없음 35%의 Z세대 대학생은 다양한 수입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Z세대 대학생의 수입으로는 교외 아르바이트가 67%로 가장 많고, 부모님의 용돈 54%, 근로 장학금 40%, 장학금 34% 등으로 집계됨 Z세대의 주요 소비 품목은 화장품, 액세서리, 의류, 컴퓨터 등임 Z세대는 모바일세대로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그들의 취향과 선호를 뚜렷하게 볼 수 있음 Z세대의 APP 사용을 살펴보면, 보정 카메라와 SNS APP의 사용 비중이 가장 많고, 자동차와 키즈 분야에 관심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남 <출처: Mob 究院(2019), 《Z世代大 生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Z세대의 사회 진출
Z세대의 사회 진출이 시작되었고, Z세대의 31%가 구직 APP을 사용하고 있음 - 구직 APP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령은 25~34세로 주로 사용하는 구직 APP은 마이마이( )임 중국의 업종별 고용시장 경기는 인터넷과 금융업이 가장 임금 면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음 - 그러나 이미 포화상태로 일자리 수요가 감소함 - 사회적 진출 기회 감소로 Z세대의 취업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음 최근 Z세대는 대학 졸업 후 갭이어(Gap Year) 기간을 갖거나 창업 등 다양한 선택을 하고 있음 Z세대는 갭이어 기간 동안 여행, 해외 연수, 환경 보호, 의료 활동 등 자기 계발을 하며 자신이 원하는 삶의 가치를 찾는 시간을 가짐 Z세대는 경제적인 부담이 적어 창업하기 좋은 환경을 갖춤 - 또한 자신들의 기호와 취미를 직업으로 연결하여 창업을 통해 자아를 실현함 - 주요 창업 업종은 해외 직구, O2O, 미디어를 활용한 새로운 인터넷업이며, 여성의 창업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출처: Mob 究院(2019), 《Z世代大 生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Z세대의 여행 선호
중국의 Z세대는 국제화 시대를 살며 적극적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세대로 다양한 해외여행을 경험하고 싶어함 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해외 여행국은 1위 태국, 2위 일본, 3위 한국으로 가까운 국가가 상위에 랭크됨 - 이 외에도 미국, 싱가포르, 프랑스, 러시아, 영국, 말레이시아, 이탈리아 순으로 멀지만, 볼거리가 많은 유럽과 미국의 관광지를 선호함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의 Z세대 대학생 관광 선호 유형은 도시별 특징이 있음 - 역사가 깊은 베이징에서는 박물관, 현대적인 상하이에서는 미술관, 광저우는 테마파크에 관심이 가장 많음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은 Z세대의 여행지 숙소는 대체로 300위안 이하를 선택하고 에어비앤비 APP 사용이 가장 많음 - 또한 선택 기준으로는 가성비가 좋고, 현지 특색있는 숙소를 가장 선호함 <출처: Mob 究院(2019), 《Z世代大 生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Z세대의 특징과 인구 규모
중국의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기술 기업인 MobTech의 Mob연구원은 2019년 9월 11일 《Z세대 대학생 도감(Z世代大 生 )》을 발표하여 최근 새로운 세대로 주목받고 있는 Z세대의 특징을 분석함 Z세대는 1996~2010년 출생자로 X, Y세대와는 달리 스마트폰을 가지고 놀며 성장했으며, 대다수가 외동 자녀로 경제 수준이 높아진 중국에서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고, 세계를 무대로 성장함 Z세대를 표현하는 단어로는 오타쿠(宅), 상실( ), 불계(佛)가 있음 - 오타쿠는 집에서 게임, 만화, 인터넷을 즐기며 여유와 휴식을 취하고 경쟁 압박이 큰 Z세대는 온라인에서 진짜 자신의 표현함 - 상실은 사회 기회가 줄어 피로감과 무기력함을 느껴 사회에 반항하지 않고, 에너지와 열정을 상실한 문화가 생겨남 - 불계는 상실 문화의 파생으로 사회의 빠른 속도와 스트레스에 반응하지 않고, 직장 및 생활에서의 감정 소모를 원하지 않는 모습임 반면 X세대는 1965~1980년 출생자로 노동을 영광으로 여기고, 충성과 애국심이 강하며 데스크톱 사용 세대임 Y세대는 1981~1995년 출생자로 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고 인터넷과 모바일, 태블릿PC와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함 - Y세대를 일컫는 말로는 비주류, 멀티족, 성난 젊은이( 怒 年) 등이 있음 중국의 세대별 인구 규모는 X세대 3.7억 명, Y세대 3.4억 명, Z세대 2.6억 명으로 전체 인구 중 비중은 각각 26.8%, 24.2%, 18.5%를 차지함 Z세대는 아직은 학생이 많지만 점차 사회에 진출하게 될 것임 - 현재 Z세대 사회초년생들은 소득이 높지 않지만, 거대한 소비잠재력을 가짐 <출처: Mob 究院(2019), 《Z世代大 生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다싱국제공항 입주 항공사 및 목표
2019년 겨울까지 다싱국제항공에 입주할 항공사는 15개로 중국 항공사 7개, 해외 항공사 8개임 - 입주 예정 중국 항공사: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에어차이나, 중국연합항공, 허베이항공, 수도항공, 준야오항공 - 입주 예정 해외 항공사: 영국항공, 폴란드항공, 핀에어, 말레이시아항공, 모로코항공, 로열브루나이항공, iFly 에어라인, 히말라야항공 국내 항공사로는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이 인천-다싱(베이징) 노선 취항을 준비 중임 다싱국제공항은 2019년 겨울, 2020년 봄 운항 시즌에 국내선 101편, 국제선 15편, 총 116편의 항로를 취항할 예정임 - 국내 97개, 국제 15개를 포함해 총 112개 지역으로의 운항을 계획 중임 다싱국제공항은 2022년까지 동남아, 남아시아 등 지역의 항로 운항과 유럽, 북미, 동북아시아, 중동 등을 주요 국제 허브항로를 개항해 4,500만 명의 여객을 유치할 계획임 - 2025년까지 여객 7,2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함 향후 베이징 다싱국제공항과 서우두국제공항의 연간 여객 물동량은 2억 5,000만 명을 돌파할 것이고, 베이징은 두 공항을 축으로 항공 허브 도시로의 도약을 추진함 다싱국제공항은 또한 베이징과 슝안지구 건설에 일조할 것이고,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지역의 동반성장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계획임 <출처> 1. “北京大 机 乘机攻略, 心的全在 里”, 新 , 2019-09-25 2. 北京市人民政府(2017),「北京城市 (2016年 2035年)」 3. “'中 다싱공항 개장' 맞서는 인천국제공항의 비전”, 경인일보, 2019-10-0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한 도시, 두 공항” 균형 발전 방안
중국민용항공국(中 民用航空局)은 2018년 12월 28일 《베이징다싱국제공항운항 및 “한 도시, 두 공항” 항공편 시간 자원 배치방안(北京大 机 投 及“一市 ”航班 刻 源配置方案)》과 《베이징 “한 도시, 두 공항” 운항 기간 자원 협조 방안(北京“一市 ” 投 期 源 方案)》을 발표함 중국민용항공국의 두 개의 방안은 베이징 다싱국제공항과 서우두국제공항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으로 두 공항의 물동량을 분산하여 공항 처리능력 향상을 목표로 함 2019년 다싱과 서우두국제공항의 예상 여객 수는 350만 명, 9,305만 명에서 2025년 각각 7,200만 명, 8,200만 명으로 분산할 계획임 베이징 시정부는 2017년 발표한 「베이징도시총체계획(北京城市 )(2016~2035년)」에서 베이징수도국제공항임공경제구와 베이징신공항임공경제구의 건설 추진 내용을 포함함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임공경제구는 베이징의 수도국제공항 기능을 개선하고, 세계적인 항공 허브 건설을 목표로 함 다싱국제공항 인근지역에 베이징신공항임공경제구를 건설하여 과학기술 연구개발, 해외 전자상거래, 금융 서비스 등 첨단 서비스업을 순차적으로 발전한다는 계획임 - 또한 항공물류, 과학기술 혁신, 서비스보장을 3대 기능으로하는 국제화, 첨단화, 서비스화된 임공경제구 조성을 계획함 <출처> 1. “北京大 机 乘机攻略, 心的全在 里”, 新 , 2019-09-25 2. 北京市人民政府(2017),「北京城市 (2016年 2035年)」 3. 中 民用航空局(2018a), 《北京大 机 投 及“一市 ”航班 刻 源配置方案》 4. 中 民用航空局(2018b), 《北京“一市 ” 投 期 源 方案》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