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다싱국제공항 기능
다싱국제공항은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했으며, 봉황을 형상화했음 - 터미널은 중앙에 있고, 다섯 갈래로 나누어져 있는 게이트 동은 가장 먼 게이트까지의 거리가 600m로 소요 시간은 8분 이내로 설계됨 터미널에는 400여 대의 자동 체크인 기기와 자동 수화물 위탁 기기가 설치되어 있어 자동화율이 80%에 달함 - 보안 검색 기기는 시간당 260명 처리 능력으로 기존 180명에서 40% 효율성을 제고함 또한 안면인식으로 항공권 발권과 탑승이 가능해 종이 없는 탑승시스템을 구축함 다싱국제공항은 첨단시스템을 활용해 항공편 최소환승시간(MCT:Minimum Connection Time)을 국내→국내 45분, 국제→국제 45분 등으로 크게 단축함 <출처: “北京大 机 乘机攻略, 心的全在 里”, 新 , 2019-09-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다싱국제공항 위치
2019년 9월 25일 베이징 다싱국제공항(北京大 机 , PKX)이 정식 개항함 - 2014년 12월 착공을 시작으로 약 5년 만에 완공되었으며, 공사비용은 800억 위안이 투입됨 터미널 면적은 140㎢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활주로 4개, 게이트 82개가 완공되었으며, 여객 7,200만 명, 화물물동량 200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춤 - 다싱국제공항은 활주로를 7개까지 늘리고 여객 1억 명 수용을 목표로 추가적인 확장을 해나갈 계획임 다싱국제공항은 베이징시 다싱구와 허베이성 랑팡시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北京首都 机 )과는 67㎞, 톈안먼 광장 46㎞, 경제특구 신도시 슝안신구(雄安新 )와는 약 50㎞ 떨어져 있음 다싱국제공항은 고속도로, 도시철도 등의 교통 인프라로 톈진, 바오딩, 랑팡을 1시간 내로 갈 수 있는 교통권을 형성함 위치상으로 베이징 시내에서 남쪽에 위치한 다싱국제공항은 베이징 시내로의 교통을 위해 시속 160㎞의 도시철도 다싱공항선을 개통해 10호선 차오차오(草 )역과 연결함 - 다싱공항역에서 차오차오역까지는 19분이 소요되며, 일반석 편도 요금은 35위안임 - 다싱공항선은 2021년 리저비즈니스센터( 商 )역까지 연장될 계획임 <출처: “北京大 机 乘机攻略, 心的全在 里”, 新 , 2019-09-2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게임 시장의 확대
최근 모바일 게임 플랫폼의 빠른 발전으로 웹 게임 규모는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음 - 웹 게임의 주 사용자는 30대로 전체 사용자의 52% 비중을 차지함 지역별 웹 게임 사용자 분포는 저장성이 가장 많고, 광둥, 장쑤, 산둥, 장시 순임 - 성별 웹 게임 사용자는 남성이 88%, 여성 12%임 세계 최대 온라인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Steam)의 2013년 등록된 중국어 지원 게임은 79개였으나, 2018년 1,657개로 20배 가까이 증가함 중국의 PC 게임과 모바일 게임 플랫폼의 대형화에 비해, 싱글플레이어 게임 시장 규모는 점차 줄어들었으나, 독특하고 참신한 플레이로 중소형 개발사들이 주목하고 있는 분야임 중국 IT 기업 텐센트(Tencent)가 운영하는 게임 유통 플랫폼 위게임(WeGame)과 스팀의 PC 싱글플레이어 게임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판매된 중국산 싱글플레이어 게임은 180여개로 전년대비 180% 증가함 2018년 다운로드 건수가 가장 많은 중국산 싱글플레이어 게임은 ConchShip Games의 The Scroll of Taiwu(太吾 卷, 태오회권)로 어드벤처 롤플레잉 게임임 - 다운로드 건수는 100만 건 이상으로, 6,800만 위안 이상의 수입을 기록함 <출처: 2018年中 游 “成 ”, 新 , 2019-09-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의 모바일 ・ PC 게임 시장
2018년 중국산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매출 10억 위안 이상의 중국산 모바일 게임은 34개로 집계됨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은 세계 모바일 게임 산업의 30.8%를 차지하며 높은 세계 점유율을 차지함 안드로이드와 애플 App Store를 분석한 결과 2018년 판매 상위 100위 게임 유형은 롤플레잉으로 가장 인기가 많음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FPS게임의 시장 규모는 93억 위안 이상이며, 여성 사용자 증가, 2D, 해외 진출 등이 모바일 게임 시장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음 중국의 최대 메신저 App인 웨이신의 미니 게임 중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의 월수입은 5,000만 위안임 - 월 수입 천만 위안 이상인 미니 게임은 10개, 광고 수입 천만 위안이상인 미니 게임은 11개에 달함 중국의 PC 게임은 인터넷 발전과 함께 2015년까지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성장했으나, 모바일 산업의 발전으로 성장률이 둔화함 2018년 중국의 PC 게임 규모는 619.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5% 감소함 <출처: 2018年中 游 “成 ”, 新 , 2019-09-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산 게임의 해외 진출
2018년 중국 게임회사의 게임 R&D 수입은 1,643.9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7.6% 증가함 - 게임 R&D 수입은 중국 전체 R&D 수입의 76.7% 비중을 차지함 중국 게임의 해외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 2018년 중국 웹게임 상품의 해외시장 판매 수입은 95.9억 달러를 넘었고, 전년대비 15.8% 증가함 2018년 중국 게임 시장의 여성 사용자는 2.9억 명으로 전년대비 11.5% 증가했고, 여성 사용자의 소비 규모는 490.4억 위안임 - 모바일 게임에서 여성 비중은 36.6%로 전년대비 13.8% 증가함 2018년 중국 게임 라이브방송 사용자는 3억 명으로 전년대비 38.5% 증가함 - 게임 라이브방송 시장 규모는 74.4억 위안으로 107.2%의 증가율로 급성장함 <출처: 2018年中 游 “成 ”, 新 , 2019-09-0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게임 산업 규모
2019년 9월 30일 중국 관영 언론 신화망(新 )은 “데이터로 읽는 2018년 중국 게임산업 “성적표”( 2018年中 游 “成 ”)” 인포그래픽을 발표함 2018년 중국의 게임 사용자는 6.26억 명이고, 산업 규모는 2,144.4억 위안으로 세계 게임 시장의 23.6%를 차지하고 점점 확대되고 있음 중국의 게임 산업은 크게 모바일, PC, 웹으로 분류됨 - 중국 모바일 게임 사용자는 6.05억 명이며, 규모는 1,339.6억 위안, - PC 게임 사용자는 1.5억 명, 규모는 619.6억 위안, - 웹 게임 사용자는 2.23억 명, 규모는 126.5억 위안으로 집계됨 중국의 게임 시장 비중은 모바일 62.5%, PC 28.9%, 웹 5.9%임 <출처: 2018年中 游 “成 ”, 新 , 2019-09-0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인천-중국 자매・우호도시
인천과 중국의 자매・우호관계 체결은 총 40건으로 자매도시 7개, 우호도시 33개임 - 행정구역별 체결 현황은 인천광역시 11건, 중구 11건, 서구 5건, 동구와 남동구 각각 3건 등으로 집계됨 시기별 자매・우호관계 체결은 2004년이 6건으로 가장 많음 인천은 산둥성과 16건의 자매・우호관계를 체결했고, 인천광역시는 산둥성과 산둥성의 옌타이시, 칭다오시와 우호관계를 맺음 - 또한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는 한중FTA 단일 시범 협력 지역으로 지정되어 인천시 중구와 웨이하이시 경제기술개발구와 우호관계를 체결하기도 함 이밖에도 랴오닝성과 9건, 저장성과 톈진시 각각 3건, 지린성과 2건의 자매・우호관계를 체결함 <출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홈페이지, https://www.gaok.or.kr/>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권역별 한중 자매・우호관계
중국 31개 성의 권역을 <표 1>과 같이 화북, 동북, 화동, 화중, 화남, 서남, 서북으로 분류하여 시기별 체결 특징을 살펴봄 권역별 한중 자매・우호관계 체결 건수는 산둥성을 포함한 화동이 252건으로 가장 많고, 동북 150건, 화남 72건, 화북 67건, 화중 44건, 서남 36건, 서북 22건 순으로 집계됨 한중 자매・우호관계 체결을 5년 단위로 나누어 권역별 변화를 살펴봄 - 한중 수교 초기인 1992~2001년은 화북과 동북, 화동 권역의 체결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음 그러나 2007년 이후 화남, 화중, 서남, 서북 권역의 체결 비중이 증가했음 - 특히 서부거점 지역인 쓰촨성과 충칭, 중원(中原) 거점도시인 허난성과 후베이성을 중심으로 한중 지방정부 간 교류가 증가함 - 중국은 개혁해방 이후 지역 불균형발전으로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00년대 들어 서부대개발, 중부굴기 등의 지역 발전 전략을 제시함 <표 2>를 보면 한국과 중국 지방정부 간 자매・우호관계 체결이 중국 동북부지역인 화북, 동북, 화동에서 점차 중서부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을 볼 수 있음 <출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홈페이지, https://www.gaok.or.kr/>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지역별 한중 자매・우호관계
한국은 중국의 31개 성급행정구, 193개 지급행정구, 155개 현급( )행정구와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함 - 중국의 행정구역은 성급행정구, 지급행정구, 현급행정구, 향급( )행정구 총 4개의 행정구조로 이루어짐 중국 지역별 한국과의 자매・우호관계 체결은 산둥성이 119건으로 가장 많음 - 산둥성과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한 광역자치단체는 경상남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인천광역시, 전라북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순서로 총 8개임 한국과 가장 많이 자매・우호관계를 체결한 중국의 지급행정구(현급 포함)는 지린성의 옌볜조선족자치주로 29건이며, 랴오닝성의 선양시 26건, 산둥성의 웨이하이시 23건, 칭다오시 20건, 옌타이시 17건 순으로 집계됨 한중 자매・우호관계 체결 건수의 분포를 살펴보면, <그림 3>과 같이 환발해지역에 집중돼있는 것을 볼 수 있음 <출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홈페이지, https://www.gaok.or.kr/>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한국의 자매・우호도시 체결 현황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는 외국의 지방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이나 우호교류 관계를 맺고, 인적・문화적・경제적・스포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교류를 하고 있음 자매결연은 한 지방자치단체가 외국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상호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긴밀한 협력을 약속하고 행정・경제・문화・인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친선과 공동발전을 도모해 나가기 위해 교류협력의 약속을 맺는 것으로 해당 자치단체의 지방의회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우호교류는 지방의회의 의결을 필요로 하지 않음 한중 지방자치단체 간 자매・우호관계 체결 현황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의 국제 교류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함 2018년 한국 지방자치단체는 외국 82개국 1,249개 도시와 총 1,659건의 자매・우호도시를 체결하고, 국제 교류를 추진함 - 그중 자매결연은 54개국 661개 도시, 우호관계는 75개국 730개 도시와 체결함 한국과 중국 지방자치단체의 국제 교류는 1992년 전라남도 목포시의 중국 장쑤성 롄윈강시와의 자매도시 결연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총 643건의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함 - 자매도시 219건, 우호도시 424건임 한중 지방자치단체의 자매・우호관계 체결은 1995년 27건으로 한중 수교 3년 만에 빠르게 증가했고 2005년 45건으로 최다 체결을 기록함 - 2016년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자매・우호관계 체결은 2017년 6건, 2017년 7건으로 크게 감소함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는 중국과 113건의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했으며, 기초자치단체는 530건 체결함 경기도는 중국과 가장 많은 74건의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했으며, 그중 산둥성이 23건임 서울특별시는 중국의 71개 도시와 자매・우호 관계를 맺고 있음 - 서울시 광역자치단체는 1993년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시와 자매결연은 체결하고, 이후 7개 성급(省 )행정구와 우호 관계를 맺음 - 서울시의 기초자치단체는 베이징시의 17개 지급(地 )행정구와 자매・우호 관계를 맺으며 수도 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음 이밖에도 전라남도 61건, 충청남도 54건, 경상북도 53건, 강원도와 경상남도 48건 순으로 중국과 자매・우호 관계를 체결함 <출처> 1. 전국시도지사협의회(2015),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 매뉴얼” 2.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홈페이지, https://www.gaok.or.kr/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