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현황
우리나라의 신종 코로나 첫 확진자는 1월 20일 우한에서 인천으로 입국한 중국인 여성으로 1월 19일 중국 남방항공을 이용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과정에서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하여 격리 및 검사를 진행한 결과 확진 판정됨. 이후 확진자는 지속해서 늘어 2월 10일 9시 기준 27명으로 집계됨. - 27명 중 3명은 완치 후 퇴원하여, 격리 치료중인 환자는 24명임. - 의사환자 2,749명 중 1,940명은 검사결과 음성으로 확인되었고, 809명은 검사가 진행 중임. 우리나라 신종 코로나 확진자 중 중국을 방문한 1차 감염자는 13명이고, 2차 감염자 8명, 3차 감염자는 6명임. ▣ 인천 신종 코로나 감염 현황 인천시의 신종 코로나 확진자는 1월 19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중국인으로 인천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18일 만인 2월 6일 퇴원하여, 2월 10일 기준 확진자는 0명임. 인천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행동수칙 안내, 상황판, 인천시 선별진료소 현황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알림. - 2020년 2월 10일 기준 인천의 확진자는 0명, 접촉자 38명, 자가격리 36명 인천의 선별진료소는 10개 군・구의 보건소와 21개 의료기관이 있음. 인천은 19번 확진자의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방문 사실이 확인되어, 2월 6~7일 임시 휴점하며, 방역 작업을 시행했음. <출처>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ncov.mohw.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https://www.incheon.go.kr/)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국가별 대응
▣ 우리나라의 신종 코로나 대응 조치 우리 정부는 2020년 1월 30일, 31일 두 차례에 걸쳐 우한에 체류하는 교민 701명을 전세기를 통해 귀국시켰으며, 2월 12일 3차 전세기를 투입해 남은 교민을 국내로 이송할 계획 또한, 2020년 2월 2일 신종 코로나 대응 회의를 개최하여 대응상황과 조기 계획을 발표함. - ① 중국 위험지역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 후베이성 입국 외국인 입국 금지 - ② 중국으로부터 입국절차 강화 및 입국 최소화 △중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내외국인 대상 '특별입국절차' 신설 △중국발 입국자 전용 입국장 개설 △중국에서 한국 입국 비자 발급 제한 - ③ 중국 여행경보, 지역에 따라 철수 권고 △관광 목적의 중국 방문 금지 검토 △중국 대상으로 한 항공, 선박 축소 △제주도 무사증 입국제도 일시중단 - ④ 지역사회 전파 차단 방안 위한 방역 체계 개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월 10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 입국 제한 지역 확대는 아직 검토 중이며, 추이를 지켜보며 판단할 것이라고 밝힘. ▣ 해외 신종 코로나 감염 현황 2020년 2월 10일 9시 기준 신종 코로나의 국내・외 확진자는 총 4만 532명으로 발생 국가는 28개국임. 중국 외 확진자 발생 국가 중 싱가포르가 40명으로 가장 많고, 태국 32명, 한국은 27명, 홍콩과 일본 각각 26명, 타이완 18명, 말레이시아 17명, 호주 15명, 독일 14명, 미국 12명 순으로 집계됨. 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신종 코로나 집단 감염으로 2월 10일 15시 기준 130명이 감염 확진됨. ▣ 해외 신종 코로나 대응 조치 2020년 2월 9일 기준 총 127개 국가가 신종 코로나로 인한 입국 관리 제한 조치를 시행 타이완은 중국인의 입국 전면 금지와 중국 체류 외국인의 입국 금지에 이어 홍콩과 마카오 주민의 입국도 금지함. 2월 10일 기준 중국인의 입국을 전면 금지한 국가는 호주, 북한, 미국, 타이완, 베트남, 인도네시아, 몽골 등이 있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14일 이내 중국을 체류하거나 경유 한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하고 있으며, 중국인 입국자에 대한 체온 검사 등 검역을 강화하고, 중국인 대상 건강상태 질문서 작성을 요구함. <출처>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ncov.mohw.go.kr/) 중국국가이민관리국 홈페이지(https://www.nia.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현황
중국 내 신종 코로나 감염은 1월 29일 시짱자치구에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31개 성・시 전역에서 질병 감염이 확인됨. 2월 10일 12시 기준, 중국 내 확진자 수는 4만 235명으로 전일대비 3,037명 증가함. 지역별 확진자 수는 우한을 포함한 후베이성이 2만 9,631명으로 가장 많음. - 그중, 신종 코로나의 발원지인 우한의 확진자 수는 1만 6,902명, 사망자는 871명으로 치사율은 4.03%임. 후베이성 외 확진자 수가 많은 지역은 광둥 1,151명, 저장 1,092명, 허난 1,073명, 후난 879명, 안후이 830명 순임. 신종 코로나의 우한 확진자 수 비중은 1월 20일 88.7%에서 2월 9일 42%로 감소하였으며, 후베이성 비중은 같은 기간 92.8%에서 73.6%로 감소하여 전국 확산이 진행 중 <출처> 텐센트 신종코로나 감염 실시간 안내 홈페이지(https://news.qq.com/zt2020/page/feiyan.htm#news)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과정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원인 불명의 폐렴 환자 27명이 발생하여 조사 중이라고 발표 2020년 1월 9일 우한 위생건강위원회( 生健康委 )는 원인 불명의 폐렴의 원인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신종 코로나')로 확인했다는 발표했고, 첫 사망자가 발생함.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우한시 화난( 南) 해산물시장에서 발원한 것이 확인되었고, 시장 내 야생동물 판매점의 박쥐가 발병 원인으로 지목됨. 박쥐는 지난 2002년 발생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발병 매개였음. 1월 14일 태국에서 해외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6일 일본, 20일 한국, 21일 미국 등 세계 각국으로 감염이 확산 1월 30일 WHO는 3차 긴급위원회를 소집하여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함. - WHO의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사례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4년 소아마비 바이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 2016년 지카 바이러스 등이 있음. 중국 정부는 1월 23일 우한시를 봉쇄하여, 기차, 항공기, 대중교통 운행을 전면 중단하고, 자가용 운행도 금지함. 우한에 이어 2월 1일 저장성의 원저우( 州)를 시작으로 베이징(北京), 랴오닝( ), 항저우(杭州), 랴오닝( ), 난징(南京), 닝보( 波), 하얼빈(哈 ), 푸저우 (福州), 쉬저우(徐州), 허페이(合肥), 난창(南昌), 스자좡(石家庄), 산둥(山 ), 광둥( ), 주마뎬( 店) 등 도시에 봉쇄식 조치가 이뤄짐. 당초 중국의 춘절 연휴기간은 1월 24~30일까지였으나,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연휴를 2월 9일까지 연장했음. - 춘절 연휴 종료로 2월 10일부터 대규모 이동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며, 감염 확산 가능성이 커짐.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건강 관리 트렌드
최근 중국인의 건강관리 트렌드로 건강검진 패키지, 예방접종, 치아 건강관리가 주목을 받고 있음. 업무 스트레스가 많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대도시 직장인들은 건강검진 패키지에 큰 관심을 보임. 건강검진 패키지 주요 대상은 도시 직장인에서 그 부모세대로 확대되고 있음. - 자식이 부모님을 위한 효도선물로도 많은 인기를 끌고 있고, 중노년층 고객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짐. 각종 예방접종에 관한 관심도 늘고 있음 - 특히 젊은 여성들의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이 베이징, 홍콩, 상하이에서 크게 늘고 있으며, 주로 사립병원이나 해외 의료기관에서 예약 접종을 받음.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은 흔히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만 12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음. 최근 중국인은 치아 건강관리에도 관심이 크게 늘고 있음. - 주로 충치 치료, 교정, 임플란트 등의 치과 치료에 집중되어 있으며, 음파 전동 칫솔과 구강 세정기, 미백 상품 판매도 꾸준히 증가 - 치아 건강은 의료 서비스 수준 향상으로 다양한 치료법과 관리 서비스가 생겨남. 중국의 미용・성형 서비스 판매액 상위 10개 분야는 히알루론산, 모발이식・눈썹 문신, 보톡스, 주름 제거, 잡티 제거, 물광주사, 지방흡입, 클렌징, 제모, 흉터 제거 순으로 많음. - 히알루론산 50.5%, 모발이식・눈썹 문신 16%, 보톡스 14.1%로 상위 3개 항목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함. 중국인이 선호하는 건강 브랜드 중 의료기기 기업 yuwell과 중국 전통 제약회사 동인당이 선호브랜드 1, 2위에 랭크 <출처> 易 (2020). 「2019年中 大健康消 展白皮 」 艾瑞咨 (2020), 「2019中 健康消 金融市 展 分析」 Baidu(https://www.baidu.com/)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건강용품 소비 현황
2019년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건강용품 거래액은 452.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6.4% 증가함. 온라인을 통한 건강용품 구매자의 나이는 80%가 26~45세에 집중되어 있고, 66.1%가 기혼자이며, 90.3%가 고・중소득자에 속함. 가정용 건강용품으로 가장 많이 검색된 상품은 혈압계로 연간 검색량은 200만 건임. 2019년 중국의 건강의료기기 거래액 순위는 혈당측정기, 산소발생기, 혈압계, 휠체어, 건강기기(안마기, 족욕기 등) 순 2019년 피로회복제 구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베이징, 광둥, 상하이, 충칭, 장쑤 순이고, 건강용품 중 피로회복제 구입 비중이 높은 지역은 톈진, 충칭, 후베이, 허난, 푸젠 순으로 나타남. 가정용 건강의료기기의 주 소비층은 26~45세로 나타났으나, 지우링허우(90년대 생)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가정 내에서 건강의료기기의 관리자 역할을 함. - 가정용 건강의료기기는 자동 감지, 고화질 디스플레이 화면 등의 기능 추가로 점차 스마트화되고 있음. <출처> 易 (2020). 「2019年中 大健康消 展白皮 」 艾瑞咨 (2020), 「2019中 健康消 金融市 展 分析」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의료미용・치아 건강・헬스장 시장 규모
최근 중국인의 건강관리는 치료 목적 외에도 미용, 체형관리, 심리치료 등에도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 성형, 산후조리, 피트니스, 심리상담의 관심이 늘고 있음. - 80년대 생부터 95년생까지 소비세력은 분기별로 건강 관련 비용을 내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으며, 필요성과 만족도가 높음. ▣ 의료미용 시장 2019년 중국의 의료미용 시장 규모는 1,566억 위안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25% 증가 2019년 2분기 의료성형 APP 이용자 수는 1,289.8만 명으로 2018년 1분기 434.3만 명에 비해 세 배 증가함. ▣ 치아 건강 시장 2018년 중국 의료기관의 치과 응급진료 횟수는 약 1.55억 회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7.7%, 2013년 대비 45.5% 증가했음. - 치과 전문 병원의 진료 횟수는 3,949.9만 회로 전년 대비 10.1%, 2013년 대비 63% 증가했고, 치과 검진 횟수는 137.2만 회로 4.2% 증가했음. 응급진료, 일반진료, 검진 횟수 모두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인의 치아 건강 인식도 강해짐. ▣ 헬스장 시장 2019년 중국의 헬스장 시장 규모는 607억 위안으로 예상되며 4년 연속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임. 시장 규모와 함께 헬스장 회원권 소지자 수는 2019년 1,897만 명으로 예상되며 2018년 대비 8.9% 증가함. - 중국 10대 도시의 헬스 회원 비중은 약 1%로 타 아시아 국가 대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여전히 발전 가능성이 큼. 한국 7.3%, 뉴질랜드 13.6%, 호주 15.3%, 일본 3.3% 중국의 웰빙시장은 2013년부터 인터넷기업과 함께 의료・웰빙 소비 금융시장을 개척하며, 다양한 APP를 통한 건강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 - 이후 시장을 폭발적인 성장세를 맞이했으나, 의료・웰빙 소비 금융 중개 기관의 각종 사기 사건 폭로, 대출 상환 문제가 제기되며 경영이 어려운 기업들이 퇴출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며 활성기에 접어듦. <출처> 易 (2020). 「2019年中 大健康消 展白皮 」 艾瑞咨 (2020), 「2019中 健康消 金融市 展 分析」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의료기관과 개인 의료비용 지출 현황
중국 정부는 자국민의 건강을 위해 의료수준과 의료 소비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 - 2016년 10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건강 중국 2030” 규획 강요(“健康中 2030” 要)」를 발표하여 비영리성 민영 병원과 공립병원의 동등한 대우를 추진하는 등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2018년 중국의 의료위생기관 수와 병원 수는 각각 99.7만 개, 3.3만 개로 2012년 대비 5%, 42.3% 증가 중국의 개인 위생비용 지출은 2018년 16,662.9억 위안이며, 1인당 개인 위생비용은 1,194.5위안으로 2012년 대비 각각 72.6%, 67.5% 증가 - 개인 위생비용 지출은 도시주민의 의료위생서비스 이용 시 자부담하는 비용으로 각종 의료 보험 비용을 포함 중국인의 건강 관련 소비는 증가세에 있고, 이와 관련된 금융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음. 중국 의료수준의 발전과 중국인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년 진료 횟수와 1인당 진료 횟수가 증가함. 2018년 중국의 진료 횟수는 총 83.1억 회이고, 1인당 진료 횟수는 6회로 집계됨. - 진료 횟수의 증가에 따라 의료소송도 증가 추세 <출처> 易 (2020). 「2019年中 大健康消 展白皮 」 艾瑞咨 (2020), 「2019中 健康消 金融市 展 分析」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9년 중국 수출입 통계
2019년 중국의 화물 수출입 총액은 315,50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4% 증가 - 수출 규모는 172,342억 위안으로 5% 증가, 수입 규모는 143,162억 위안으로 1.6%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29,180억 위안으로 집계됨. 수출 방식은 일반 무역(99,546억 위안)이 가공 무역(50,729억 위안)보다 많고, 전자기기의 수출이 100,63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함. 2019년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데이터 자동화 처리 설비(11,415억 위안)이 가장 크고, 의류(10,447억 위안), 스마트폰 및 관련기기(8,611억 위안), 방직류(8,283억 위안) 순임. - 주요 수입 품목은 집적회로(21,079억 위안), 원유(16,627억 위안), 철광석(6,995억 위안), 플라스틱(3,670억 위안), 자동차(3,332억 위안) 순 중국의 수출입 대상국은 EU, ASEAN, 미국, 일본, 홍콩, 한국, 타이완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對한국 수출 규모는 7,648억 위안, 수입 규모는 11,960억 위안 <출처: 중국국가통계국(2020). 「中 人民共和 2019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9년 중국 산업 규모
▣ 2019년 중국 공업 2019년 중국의 공업 부가가치 규모는 31조 7,109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7% 증가했음. - 기업 유형별 증가율은 국유기업 4.8%, 주식회사 6.8%, 해외기업 2%, 민영기업 7.7%임. - 업종별 증가율은 채광업 5%, 제조업 6%, 전력, 가스, 용수 생산・공급업 7%임. 중국 공업 상품별 생산량은 휴대전화가 170,101만 대로 가장 많고, 철강 120,477만 톤, 조강( 材) 99,634만 톤 순으로 나타남. 중국의 2019년 규모 이상 공업 기업이윤은 61,99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3% 감소 건축업 부가가치는 70,90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6% 증가했음. ▣ 2019년 중국 서비스업 2019년 중국 서비스업 부가가치는 53조 4,233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6.9% 증가 업종별 부가가치는 도소매업 95,846억 위안(5.7%), 금융업 77,077억 위안(7.2%), 부동산업 69,631억 위안(3.0%), 교통운송, 창고 및 우정업 42,802억 위안(7.1%),임대・비즈니스업 32,933억 위안(8.7%),IT・SW업 32,690억 위안(18.7%), 숙박 및 요식업 18,040억 위안(6.3%) 순으로 집계됨. 중국의 화물운송량은 471억 톤이며, 전국 항구의 화물물동량은 140억 톤으로 전년대비 5.7% 증가했음. - 그중 해외 물동량은 43억 톤, 항구 컨테이너 물동량은 26,107만 TEU 중국의 차량 보유량은 26,150만대로 전년대비 2,122만 대 증가했으며, 그중 개인 차량 보유량은 22,635만 대에 달함. 2019년 중국의 택배 서비스는 635.2억 건으로 택배업 수입은 7,498억 위안임. <출처: 중국국가통계국(2020). 「中 人民共和 2019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