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ia Economic Monitor
The Asia Economic Monitor (AEM) is a quarterly review of East Asia's growth and restructuring,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 reforms, and social developments. It covers the 10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member countries plu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Republic of Korea. Regional Overview Economic Performance in 2003 3 Financial Restructuring and Prudential Indicators 10 Economic Outlook, Risks, and Policy Issues 16 Boxes (1) Are Capital Flows Starting to Return to the Crisis Countries? 6 (2) Progress in Voluntary Corporate Workouts 11 (3) Supervisory and Regulatory Reforms 14 Country Chapters Brunei Darussalam 31 Cambodia 34 China, People's Republic of 38 Indonesia 46 Korea, Republic of 54 Lao PDR 61 Malaysia 65 Myanmar 71 Philippines 74 Singapore 81 Thailand 87 Viet Nam 95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직업능력훈련사업
2002년 전세계 경기는 상승과 하락의 반복을 보였으며 이라크 전쟁 발발로 2003년에도 세계 경제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로 미국, 유럽과 일본의 경기 또한 낙관할 수 없다. 중국 경제의 경우 발전은 내수시장을 원동력으로 하고 있고, 2002년에도 중국 경제는 연초 전망치 7%를 크게 상회하여 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세계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2003년에도 순조로운 정권 교체로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및 개혁 개방정책이 계속되며 경제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업문제와 소득불균형 사회보장제도 미비 등의 문제가 산재해 있고, 중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들은 단기간 내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중국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지난 2호부터 5회에 걸쳐 중국의 실업문제, 노사관계, 사회보장제도, 노동정책과 노동법, 직업훈련 및 직업검정을 주제로 관련 전문가들의 기고를 싣는다. 이번 호에는 그 마지막 회로중국 노동보장과학연구원의 왕쮼팡 처장의 '중국의 직업능력훈련사업'에 대한 글을 소개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중국경제의 전망
2004년 중국경제의 전망 총 2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중국정세와 한중관계
2004년 중국정세와 한중관계 총 26쪽 중 13~16페이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상해시 자가용 승용차 시장동향과 향후 소비전망
<상해시 자가용 승용차 시장동향과 향후 소비전망> 바로가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서부지역의 진출유망 산업과 우리의 진출전략
발주기관 : 주중 한국대사관 연구기간 : 2003. 8. ~ 2003. 12 주요내용 : 중국 서부지역에 투자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에 대한 진출전략 제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2004년 1월부터 증치세 환급률 평균 12%로 인하
중국 정부는 지난 10월 13일 '현재의 증치세(增値稅) 환급제도의 개혁에 대한 결정'(關于改革現行出口退稅機制的決定)을 통해 2004년 1월부터 증치세 환급률 제도를 개혁하기로 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가 직면한 5가지 도전
지난 2003년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1년 동안 중국 시장의 50%나 거머쥐게 되었으며 휴대폰 제조의 핵심 기술 개발에도 성공했다. TCL, 버드(Bird), 아모이(Amoi) 등의 중국 휴대폰 메이커들이 외국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외국 브랜드의 거센 반격으로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2004년에 다음과 같은 5가지 도전에 직면할 전망이다. 1) 고급시장 진입의 문제 도포드 (Dopod)가 지난해 도포드 686으로 성공을 거둔 이래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고가 제품 시장에 눈독을 들여왔다. 앞으로 휴대폰 시장의 주류는 고급 제품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 이외에도 마진폭이 크다는 매력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급 휴대폰 시장이 중국 업체들의 생명을 구하는 지푸라기가 될 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직까지 중국 제조업체들은 베이스밴드나 라디오 주파수 칩세트 같은 핵심 기술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고 있다 . TCL, 버드, 레전드(Legend) 같은 기업들은 핵심 기술 개발에 일부 진전을 보고 있지만 아직 대부분의 기업들은 OEM 생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2) 재고관리 문제 관련 통계에 의하면 중국에는 현재 36개의 휴대폰 제조업체가 있다. 연간 생산능력은 2억 5,000만대로 전세계 휴대폰 생산능력의 50% 정도이다. 그러나 중국 국내의 휴대폰 수요는 2003년에 6천만대에 그쳤다. 수출 물량까지 합해도 전체 수요는 약 2억대 정도였다. 따라서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적어도 5천만대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3) 수출의 제약 중국 제조업체들로서는 수출이 경쟁압력과 재고를 줄이는 지름길인 셈이다 . 그러나 현재 중국 업체들이 생산한 휴대폰은 대부분 국내에서 팔리고 있다. TCL, 버드, 커지안(Kejian) 등의 업체가 적극적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있지만 이들의 수출 물량은 아직 미미하다. 통계수치에 의하면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867,400대를 수출했다. 생산능력의 증대를 고려할 때도 해외시장개척이 중국 제조업체들이 성장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4) 유통단계에서 오는 압력 중국의 제조업체들이 내수 시장의 50%를 차지하게 된데에는 전통적인 휴대폰 유통업체들이 큰 공헌을 해 왔다. 그러나 소도시 등에서 휴대폰 이용자들이 늘어나면서 마케팅 양식이 완전히 바뀔 수밖에 없게 되었다. 지난해 11월 말 고미 상하이(GoMe Shanghai)의 “초저가” 휴대폰 홍보 캠페인은 모든 휴대폰 제조업체들로부터 비난을 샀다. 모토롤라(Motorola), 소니-에릭슨(Sony-Ericsson)을 비롯하여 TCL까지 상품의 공급을 중단하라고 위협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수닝 상하이(Suniing Shanghai)도 국내에서 만든 휴대폰을 아주 낮은 가격에 4만대나 판매했다. 휴대폰 제조업체들로서는 유통업체들이 휴대폰 가격을 내리는 것에 대해 달리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 수년전과는 달리 2003년의 휴대폰 가격은 제조업체가 아니라 고미, 수닝, 디샵(Dshop), 종유 텔레콤(Zhong Yu Telecom)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5) 신용 위기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2003년에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을지라도 다소 떨어지는 품질이나 AS 등 중국산 휴대폰이 가진 단점은 무시할 수 없다. 중국의 품질관리검사청 (General Administration of Quality Supervision, Inspection and Quarantine)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중국산 휴대폰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65.78로 가장 낮게 나왔다. 동 조사에서 하이센스(Hisense) 제품은 72.02, 아모이는 70.64, TCL은 67.46, 버드는 65.73, 팬더(Panda)는 73.72의 만족도를 기록했다. 그러나 소비자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앞으로 중국 휴대폰업체들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는 품질이 될 것이다. 출처 : SinoCast CHina IT Watch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고급 세단 시장 가열
중국의 초기 민간 승용차 시장의 경쟁은 경제적인 가정용 승용차 분야에 집중되었다 . 예를 들면 Shanghai-VW의 Santana와 Shanghai-GM의 Buick Sail 등이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강력한 경제성장과 국민 소득 증가로 고가 승용차 수요가 늘기 시작하고 있다. 고급차 수요 증가와 함께 외국 자동차메이커들은 여전히 가해지는 과중한 수입관세와 쿼터 제한을 피하기 위해 현지 생산시설을 설치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고급차 수요 증가에 따라 기존에 외국업체들이 지배하던 SUV 분야에 새로운 업체들이 진입하고 있다. Beijing Auto-DCX SUV 합작회사인 Beijing Jeep사는 이 분야가 2003년 25% 성장하여 2002년의 9만5000대에서 12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고급 SUV 분야의 경쟁 심화 현상은 고급 세단 분야에서 나타난다. Audi는 합작회사 First Auto Works (FAW)-VW를 중국에 설립하여 현지 생산을 초기에 시작함으로써 경쟁 없이 시장을 지배해 왔다. Audi의 고급 승용차 분야는 Audi A6 모델이 시장을 주도했으며, 2003년 판매량이 2배 늘어난 6만2000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2003년 1〜9월 중 Audi A6의 판매는 50%(3만8720대) 증가했다. 2005년까지 중국내 판매를 7만대에서 8만대 수준으로 늘릴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 모델 Audi A4가 2003년 4월에 그리고 Audi A8이 2003년 7월에 발표되었다. Audi는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앞으로 3년 동안 6억51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2003년 BMW는 Brilliance China와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3시리즈와 5시리즈 모델 생산을 시작하였다. 이 회사는 안정적 수준으로 2003년 2000대에서 2500대, 그리고 2004년에 9000대의 초기 판매 목표를 설정했다. BMW는 장기적으로 고급차 시장에서 Audi의 지위를 쟁취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 업체인 Mercedes-Benz 역시 증가하는 현지 수요 충족을 위해 현지 생산을 시작하였다. 미국과 독일의 거대 메이커인 DaimlerChrysler (DCX)는 현지 파트너인 Beijing Auto와 2003년초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여기에는 Mercedes-Benz 세단의 현지 생산이 포함된다. 계약에 의해 두 회사의 Beijing Jeep 사는 2005년까지 벤츠 C-클래스 및 E-클래스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설비를 재조정해야 한다. 이 합작회사는 2012년까지 25,000대의 고급 세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망과 의미 BMW와 Mercedes-Benz가 현지 생산에 진입함에 따라 고급 세단 시장에 경쟁이 시작되었다. 고급차 생산업체들은 중국의 소비력 증가로 인한 판매량 증가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 시설에 더욱 투자할 예정이다. Audi는 초기에 현지 생산을 시작하였으므로 앞으로 수년 동안은 BMW와 Mercedes-Benz를 제치고 시장 주도권을 유지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BMW가 Audi와 1위 자리를 다투는 주요 경쟁자가 될 전망이다. 출처 : WMRC Daily Analysi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시안지역, 건축자재시장 급성장
2002년 시안의 건설시장 규모는 51억 평방미터, 1,497개 프로젝트로 전년대비 13% 증가한 129억위안에 달했다. 이는 원래 제철 중심지인 중국 북서지역에 투자가 살아나면서 이 지역에도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시안지역에는 견실한 건축자재 업체만 60개가 넘는다. 이들이 취급하는 주요 제품으로는 시멘트, 비금속 광물, 도기제품, 방수제품, 알루미늄 자재 등이 있다. 2002년 시안지역에서 판매된 건축자재 규모는 40억위안에 달했으며, 인테리어 장식 사업에서만도 60억 위안을 기록하였다. ▲ 고급 건축자재 수요 증가 시안지역의 건축자재 시장이 비교적 급성장을 이룬데 반해 , 중국의 건축자재산업은 시멘트, 알루미늄, 페인트 등과 같은 제품의 종류가 매우 국한되어 있어 뒤쳐져 있는 형편이다.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지역은 광둥 (Guangdong)지역이며, 일부 제품은 해외 브랜드이다. 한편 중국인들의 수입수준 향상과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인테리어 및 주택개조 부문에도 우수한 품질 및 다양한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에 시안지역에서도 건축의 용도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최근 이곳에는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건축자재 슈퍼마켓과 기존의 일반 건축자재 매장이 있다 . 한편 건축자재시장은 제품 구매와 더불어 도매 및 소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건축자재 슈퍼마켓은 지역 유통업체나 공장과 제휴하여 일부 브랜드 제품에 대한 판매 대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 반면 전통적인 건축자재 매장은 주로 저가 제품을 도매로 판매하고 있다. ▲ 홍콩시장을 겨냥한 제휴전략 홍콩업체들은 건축자재 슈퍼마켓 운영업체와 직접 제휴하여 판매 , 보관, 물류,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업체들은 자체 상품과 브랜드를 직접 홍보할 수 없기 때문에 , 중국의 유통업체들과의 제휴전략을 통해 그들의 브랜드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제품을 판매하거나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자신들의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호텔 , 고급 오피스 빌딩, 클럽회관과 같은 고급자재를 사용하는 건축시장에 홍콩업체들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 부문 건축업자들이나 관리 대행업체는 특별히 인테리어 부문을 담당할 부서나 지부를 창설하는 경우가 많으며, 홍콩업체들은 우선 이러한 부서와 협력을 구축한 후 실제적인 사업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시안은 중국 남서지역의 무역 , 관광, 교통의 중심지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2002년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도에 비해 13.3% 성장한 823억위안에 달했다. 또한 최근 수년간 이 지역의 가전제품시장도 번창하였으며 , 중국의 각종 경제지표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2002년 시안지역의 가전제품의 소매 매출은 409억위안을 기록한 바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