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년 중국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자료
2004. 1. 7(수) 개최된 "2004년 세계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연사로 참가한 KOTRA 해외 8개 지역본부장 발표자료(파워포인트)를 게재합니다. -----목차----- 중국지역 진출 전략 (中國地域 進出 戰略) 시장동향분석 1. 경제현안 및 전망 2. 시장특성 및 여건 진출확대 전략 1. 우리의 진출현황 및 문제점 2. 종합진출 전략 3. KOTRA ACTION PLAN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해외무역관에서 바라본 2004년도 수출전망
I. 海外貿易館에서 본 輸出展望要旨 II. 海外地域本部別輸出展望 1. 北美地域 2. 歐洲地域 3. 아시아ㆍ大洋洲地域 4. 日本地域 5. 中華圈地域 6. 中南美地域 7. CIS 地域 8. 中東地域 9. 아프리카 地域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석유화학시장에서 약진하는 대만 업체
중국 석유화학시장에서 대만의 급성장으로 인해 한국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대만 석유화학기업들은 중국에서의 성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화학업계의 강자로 발돋움하려 하고 있다. 로그인이 필요한 사이트 입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남성 캐주얼 & 패션의류 동향
▲ 생산비용 가중으로 의류가격 인상 중국과 홍콩의 남성 캐주얼 및 패션의류 제조업체들은 갈수록 면과 폴리에스터의 가격이 인상되고 있음에도 계속해서 이러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 이에 따라 2003년 여성 및 남성의류의 가격은 10〜20% 가량 인상되었고, 최근 캐주얼 및 패션 재킷의 가격은 3〜20달러 선이다. Tairi Knitwear의 제품은 주로 T/C, CVC, 테리 소재나 면과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조되며, 가격은 11.40〜11.60달러 선이다. 한편 Poptex Manufacturing의 면 또는 폴리에스터 소재의 재킷은 6〜8달러 선이다. Wei Jie Dress의 캐주얼 잠바의 소재는 면, 린넨, 폴리에스터 또는 코팅, 염색, 분사처리를 한 혼방으로 만들어지며, 가격은 8〜20달러 선이다. 홍콩의 Able Glad 사에서는 면소재 재킷을 10〜20달러, 폴리에스터 제품을 9〜20달러에 판매하고 있으며, Seido Enterprise의 순면 재킷은 5.50〜7달러 선이다. 한편 Fook Hing Garment에서는 순면 폴리에스터 및 210t/230t 나일론 제품을 3.85〜5.10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Best Allied Industrial 사의 순면 우븐(woven), 데님, 코듀로이 제품을 13〜22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한편 Dick Glory의 폴리에스터 재킷은 7.50〜11달러 선이며,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제품은 6〜8.50달러에 판매된다. Asia Apparel & Accessories의 폴리에스터 재킷의 가격은 3〜4.70달러 선이다. ▲ 혼방 제품 일부 업체들은 혼방직물을 재킷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 그 중 Able Glad社가 특히 이 부문에서 유명하다. 최근 사용된 혼방소재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면 혼방제품이었다. 특히 NPC는 부드러운 느낌의 주름이 없는 소재로 남성 재킷에서 코팅처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Able Glad 사가 내놓은 또 다른 혁신적인 제품으로는 향섬유를 이용한 재킷으로, 10번 세탁까지 향이 지속된다. Seido사는 면과 폴리에스터를 50:50 비율 또는 35:65 비율로 섞은 혼방소재나 실리콘과 스판덱스가 섞인 신축성있는 혼방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드러운 텐셀(Tencel)과 같은 고급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Fook Hing 사의 재킷 일부 제품들은 228t/178t 나일론과 기능성 있는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작된다. ▲ 제품 디자인 Able Glad 사는 최근 기하학적인 무늬의 퀼트 소재에 이중 버클, 고리모양의 지퍼가 달린 패션 재킷을 선보였다. Seido사는 프린트 문양에 자수가 놓인 T/C 재킷을 6달러 이하선의 가격으로 출시하였다. Best Allied 사는 세척효과 및 색조를 살려 청재킷에 빈티지 룩(vintage look)을 선보였으며, Fook Hing는 대조적인 2가지 색상의 찢어지는 것을 막도록 가공된 나이론 소재에 지퍼를 안쪽으로 디자인한 제품을 내놓았다. 출처 : Globalsurces.co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홈센터 외국 유통기업의 중국진출 동향과 우리기업의 진출 방안
Ⅰ. 중국의 홈센터 시장 현황 및 전망 /1 1. 주택건설 동향 /1 2. 소득수준 변화에 따른 소비구조 변화 /3 3. 홈센터 시장 발전현황 및 전망 /6 Ⅱ. 홈센터 외국 유통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 /9 1. B&Q (百安居) /9 2. OBI (歐佩得) /11 3. IKEA (宜家) /14 Ⅲ. 우리기업의 진출 방안 /16 <첨부자료> 2002년 중국의 주요 가구, 건자재, 홈센터 전문 체인기업】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따리엔 자동차 부품 시장 유망
- 자동차 수요 확대에 힘입어 - 따리엔(大連) 자동차 부품 시장이 유망하다. 최근 따리엔의 신차 및 중고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부품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우리 업계의 수출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3년말 기준 따리엔의 자가용 승용차는 총 45만대, 이 중 9만대 이상이 2003년 한 해 동안 등록된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리엔시 통계국에 의하면, 2003년 1~11월간 따리엔 중고자동차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41% 증가한 8천여대로, 전년동기대비 54.8% 증가한 RMB 4억위앤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다. 2003년 12월 28일, 大連港集團有限公司와 日本郵船株式會社, 中遠太平洋有限公司가 따리엔 자동차 전용 부두 합작 건설을 위한 서명식을 가진 바 있어, 따리엔은 중국 최초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현대식 자동차 전용 부두로 태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부두 건설 사업은 총 투자액이 6억위앤 규모로, 5만톤급 자동차 전용 선박 정박이 가능한 부두 2개를 건설할 예정이며 30여만㎡로 계획된 자동차 야적장은 2만3천대 동시 야적이 가능하다. 부두가 완공되면 연간 수출입 차량 처리 규모가 60만대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수송량 증가에 따라 투자규모를 점차 확대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중국이 수입하는 자동차 부품 품목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차체 관련 수입 비중이 가장 높다. 수입 대상 국가도 점차 늘어나, 과거 독일산 부품이 90%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미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일본, 우리나라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확대되고 있다 따리엔이 우리나라로부터 주로 수입하는 부품은 샤시, 모터, 기어박스, 베어링, 클러치, 클러치, 변속기 등이며, 개별 부품 단독으로 수입하는 경우는 적고 부품군별로 수입하고 있다. 중국내 대형 자동차 생산업체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고 한국산 자동차의 현지 생산도 확대되면서 우리 부품에 대한 수요도 장기적으로 볼 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현지 진출 우리 기업들도 부품 및 원자재를 현지에서 조달하는 사례가 늘고 이러한 경향은 더욱 짙어질 것으로 보여 확고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할 경우 부품 수출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따리엔은 상대적으로 부품 시장 규모가 작으나, 최근 현지 부품상 및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부품 수입과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우리의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시장 진출에 대한 시각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우리 업계는 장기적으로 현지 투자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철저한 A/S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거래선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정보원 : 大連日報(2003/12/29, 2004/01/10)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스판덱스 공장 준공으로 섬유 수입 줄어들 전망
최근 중국 섬유제조업계는 장쑤성 (Jiangsu) 소재 장인(Jiangyin)시에 2억 2900만 달러 규모의 스판덱스 공장을 완공하여 자급자족 체제를 갖추게 될 전망이다. 홍콩의 선물용품 제조사인 Kiu Hung International Holdings와 중국 최대의 화학 무역회사인 Sinochem International의 합작 기업은 스판덱스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분석가들은 이로 인해 가격 구조가 개선되며 투자가 확대되어 중국의 섬유 산업은 수직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 Kiu Hung International의 Joseph회장은 새로운 공장이 성공적일 경우 본토 내에 여러 개의 섬유공장을 준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ina Chemical Industry Bureau에 따르면 중국은 2002년에 전체 국내 수요 5만2천톤 중 3만9천톤을 수입하였다. 스판덱스의 수요는 앞으로 올해 8만1천 톤, 오는 2008년에는 12만 4천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최대 섬유 생산국인 중국은 전세계 스판덱스 생산량의 1/4를 소비하고 있으며 스판덱스는 대부분 세계 최대 생산국인 한국과 미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Sinochem과 Kiu Hung의 합작 기업은 중국 3위의 스판덱스 생산업체인 Zhejiang Huafeng Spandex의 생산량에 맞먹는 연간 생산량 5천톤의 스판덱스를 생산할 예정이다. 합작기업의 생산량은 앞으로는 시장의 선두업체인 Yantai Spandex Holdings의 생산량과 같은 1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iu Hung은 투자지분의 30%, Sinochem은 25%를, Sangyang Textile은 23%를 보유하고 있다. 출처 : South China Morning Post
홈 > 추천연구보고서 -
China and Asia in the New Age
中國是亞洲的一員,亞洲是中國賴以生存和發展的大陸,而且是中國外交事務的基點。自1949 年後,中華人民共和國的歷屆政府都十分重視與亞洲鄰國的關係,積極推進睦鄰友好的週邊外交政策。目前,中國與亞洲國家的關係已經進入了一個全方位發展的新階段。一方面,中國與絕大多數週邊國家間的陸地邊界問題已妥善解決,並與東盟簽署了「南海各方行為準則宣言」,表明了中國政府以和平合作的方式處理南海主權爭議的立場﹔另一方面,中國與亞洲國家的經濟聯繫日益緊密。中國與亞洲國家和地區的貿易額佔中國外貿總額的一半,從亞洲國家和地區吸引的實際外資投資額佔外資總額的70%以上,與亞洲國家和地區的勞務承包合同額也佔總額的一半以上。我們認為,發展經濟仍是絕大多數國家的首要現實關切,亞洲地區和平力量的增長超過戰爭力量的增長,協調、對話與合作仍是主流。中國不僅是亞洲和平發展的力量,而且,中國的經濟發展壯大,為東亞提供了廣闊的市場,有助於亞洲經濟的整體發展。我們將以東亞10+3 合作及上海合作組織為兩大外交重點,開拓進取地加強區域合作,推動建立符合本地區多樣性特徵的區域合作框架,同時積極塑造新時期良好的中國國際形象。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중국 가전산업 8대 특징 전망
2003년 중국 가전산업은 국내외 환경변화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2003년에 발생한 가전산업의 주요 사건을 살펴보면 △ 반덤핑 피소 △사스발생으로 인한 '녹색가전'개념 확산 △정부의 디지털 TV 정책에 따른 디지털TV의 신속 보급 △IT업체의 가전분야 진출 △민영기업의 대규모 재편 △가전업체들의 자동차 산업 진출 등을 꼽을 수 있다. WTO가입에 따른 시장개방과 시장규모 변화 등으로 2004년에도 가전산업에는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 국유 가전업체의 민영화 추진 최근 2년간 科龍, TCL, 美的, 美菱, 小天鵝 등 가전업체가 잇달아 체제개혁을 추진하였으며 2004년들어 중국내 초대형 가전기업인 長虹, 海爾, 春蘭이 기업체제 개혁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춘절 전후 중국정부가 국유지분 축소를 통한 기업민영화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새로운 가전산업 클러스터 형성 중국 가전산업은 10여년의 발전을 거쳐 현재 광동(科龍, 美的, 格力, 格蘭仕 등), 강소성 연해지역(지멘스, Electrox, 小天鵝, 春蘭, LG 등), 산동 및 교동반도(海爾, 海信, Aucma 등) 등 3대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산업이전의 가속화와 분업구조의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이들 지역의 인건비 증가와 자원조달 기능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이들 3대 지역의 경쟁력이 다소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안휘, 절강 두 지역이 원가 및 자원조달 방면에 있어 비교우위를 확보해가고 있어 향후 제4, 5의 산업클러스터로 부상할 전망이다. 신흥 클러스터 지역은 전통적인 3대 클러스터 지역과 달리 순수한 생산 및 조립가공기지로 브랜드 경쟁력이 낮다는 것이다. 현재 안휘지역에 이미 美的, 日立, 科龍, 實達, 康佳, 지멘스, 榮事達, 美菱, 海爾 등이 세탁기, 냉장고, TV 등 각종 가전제품의 생산기지를 설립하였고 절강의 경우 이미 국내외 유수 브랜드들의 OEM 기지로 부상하였다. 현재 안휘, 절강 두 지역의 가전제품 생산액은 이미 중국 전체의 30%에 육박하고 있다. ▶ 한국 가전업체 약진 두드러질 듯 중국 가전시장 내 주요 다국적기업은 주로 한국, 일본, 유럽 및 미국 등 4대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 한국 가전업체의 발전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가장 늦게 중국시장에 진출한 삼성과 LG를 꼽을 수 있으며 LG의 경우 모니터, 광 메모리, 에어컨, 전자레인지, CDMA 핸드폰 등 제품의 매출액이 이미 중국전체 3위권에 랭크되었고 세탁기, 냉장고, 칼라TV는 이미 10위권 이내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한국 가전업체의 성공요인으로 합리적인 가격과 제품차별화로 분석되고 있으며 일본 가전업체의 시스템 개혁,, 유럽업체의 구조조정과 미국업체의 시장퇴출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04년 중국시장에 대한 투자확대로 인하여 한국업체의 약진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美 가전기업 전면 퇴장 과거 중국 신흥시장 개척에 대폭 박차를 가해 왔던 미국업체들은 불투명한 중국시장 실체 및 경쟁상황, 중국 소비자의 소비심리 및 습관에 대한 이해부족과 합자기업 실패 등으로 중국시장내 퇴장을 서두르고 있다. GE의 경우 수년간 중국 내 비즈니스를 확대하였으나 아직까지 중국시장 내 인지도가 높지 못한 상황으로 동종제품의 경쟁업체가 지속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Maytag의 경우 중국계 榮事達 사와 제휴한 합작기업의 경영부실로 연연 커다란 손실을 입었으며 현재 시장퇴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 대규모 구조조정 적극 추진 2003년 중국 가전산업에서 美菱股份, 小鴨電器, 樂華電子 등 일부 기업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지만 전반적으로 개별업체의 소규모 구조조정에 불과하였으나. 전반적인 가전산업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금년부터 향후 1~2년 간 적극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며 에어컨, 소형가전 및 일부 가전기업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영업확대로 경쟁분야는 핸드폰 산업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업체간 가격경쟁에 따라 시장재편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구조 변화 과정에서 한계이윤의 감소로 경쟁력 없는 업체의 퇴출도 예상된다. ▶ 가전업체 상장주식의 변화 최근 2~3년 간 대다수 가전업 관련 상장업체 실적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非가전업의 주식인수를 통한 가전분야 진출이 눈에 띄고 있다. 格林科爾의 科龍과 美菱 인수 그리고 重汽의 小鴨 인수를 통한 구조조정; 斯威特의 小天鵝 인수가 대표적인 예로 꼽히고 있다. 최근 몇년간 가전업체의 실적하락과 시장경쟁 확대로 일부 상장 가업업체들은 자동차, 핸드폰 등 이윤이 높은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밖에 현재 일부 민간업체가 인수합병 방식으로 성장 가전업체 재편에 참여하고 있으며 가전업체를 인수를 통하여 상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2004년 상장 가전업체의 커다란 변화를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회사가 구조조정 혹은 자산구조 변화 등을 통하여 가전주에서 첨단기술주 혹은 기타 성장성 주으로 바뀔 것으로 보고 있다. ▶ 가전산업과 IT영역 통합 추세 2003년 하반기 IT산업의 주요 업체인 Dell, Gateway, HP, 모토롤라, 聯想 등이 디지털TV 등 소비전자영역에 진출한다고 발표가 전통적인 가전업계에 충격을 가져왔다. 2004년은 각 가전기업과 통신기업, IT기업 간 상호 영역진입 추세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발전의 추세로 볼 때에도 IT기술이 점차 소비 및 오락화 추세를 보이어 PC가 가전제품으로 등장하고 또 컴퓨터와 TV, 음향기기 등의 통합화가속화되면서 향후 컴퓨터, 통신, 가전제품의 컨버전스가 확산될 전망이다. ▶ 다국적기업 개혁 추진 2003년 많은 중국계 유명브랜드 가전업체가 브랜드, VI(Visual Indentity System) 및 제품이미지 변화에 노력하였다. 聯想은 기존의 Legend 브랜드를 Lenovo로 변경했고 夏新電子가 기존의 廈新 브랜드를 夏新으로 바꾸며 전면적인 홍보활동을 진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주력하였다. 2004년 다국적기업의 현지화전략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제고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LG, Electrox 등이 최근 출시한 '아름다운 생활, 마음껏 누리자(美好生活 盡情享受)', '생활은 원래 누리는 것(生活本來是享受)'등 홍보용어가 업계 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료원 : 중국경영보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再투자 어디로 가나? 상하이 1순위
허라이즌 그룹 478개 社 설문조사 지난 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에 생겨난 외국인투자기업은 36,616개 사로 하루 평균 110개 꼴로 늘어났다. 개방의 폭이 확대될수록 새로 들어오는 기업도 있지만 이미 투자한 기업들의 재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재투자에 나서는 기업들은 어느 지역을 선호할까?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허라이즌 그룹(零點硏究集團) 산하의 遠景投資가 지난 해 상하이와 베이징 소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설문에 따르면, 약 70%가 앞으로 3년 이내에 중국내 재투자 계획을 갖고 있고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는 상하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중국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을 포함, 자산규모 5,000만 위앤(약 75억 원) 이상인 478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앞으로 3년내 재투자 의향은?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투자계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이 5,001만 위앤에서 1억 위앤 사이인 기업은 75.4%가 재투자를 고려 중이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 재투자 계획을 밝힌 기업들 중 63.2%는 현재 소재지(상하이 또는 베이징)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비율은 상하이(65.0%)가 베이징(61.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건축업과 유통업, 무역업에서는 현재 소재지에 재투자하겠다는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해 이들 업종은 영업확대 여건이 수월하지 않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자산규모가 커질수록 기업들은 현재 소재지 이외의 타지역 투자를 고려 중인데 5천만 위앤 이상인 기업에서는 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외국인독자기업들도 약 40% 정도가 타지역 투자에 나설 예정이라고 답했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省市 선택; 복수 응답) 타지역 투자계획을 가진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상하이(29.5%)였으며 이어 광저우(27.3%)-베이징(19.3%)-선전(深 18.2%)-저장(浙江省 16.5%)-장쑤(江蘇省11.9%)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권역별 선택; 복수 응답) 재투자 선호지역을 경제 권역별로 보면, 상하이와 저장성, 장쑤성을 포함한 장강삼각주가 50.6%, 광둥성의 주강삼각주가 50.0%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베이징, 티앤진(天津) 등을 포함한 환발해 경제권이 29.5%를 기록했다. 그러나, 서남부와 기타 지역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