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년 중국 자동차 조정단계 진입 전망
중국 자동차산업이 지난 2년간 고속성장 이후 2004년 조정 및 안정적 발전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광저우 혼다(本田), 베이징 현대, 神龍, 一汽大衆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가 발표한 2004년 발전계획에 따르면 올해 큰 규모의 사업확장 계획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一汽大衆, 매출 10% 증가 목표 2003년 一汽大衆의 연간 생산량은 30만대 선을 넘어섰고 판매량도 29.8만대로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一汽大衆의 50만대 생산달성에 10여년이 소요되었으나 2002년 2월 1일 50만대 돌파 이후 금년 1월 7일 100만대 생산을 돌파하여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04년에는 전년대비 10% 증가한 32.8만대의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낮은 목표는 생산확대의 한계에 있다고 밝히고 있다. 一汽大衆 관계자에 따르면 2003년 7월 착공한 제2공장이 올해 말 완공될 예정으로 2005년 들어 생산량이 크게 확대될 것이며 2008년에는 연간 100만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04년에는 신차의 출시보다 기존의 Jetta, Bora 등 주력기종의 옵션을 개선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할 계획이다. ▶ 神龍, 대규모투자로 새 이미지 구축 올 1월6일 神龍(프랑스 PSA와 중국 東風 합자)이 발표한 발전계획에 따르면 약 6억 유러화를 투입하여 생산확대 및 신차출시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향후 3년내 현재의 연간생산량 15만대에서 30만대로 대폭 확대시키는 동시에 6년간의 제품계획도 확정하였다. 중 2004년에는 1가지 신규 모델을 선보이는 한편 매출목표를 지난해의 10만대에서 4만대 늘어난 14만대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2001~2003년간 매년 2배 가량의 성장세와 비교하면 다소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 중소기업, 금년 기대 높아 一汽大衆, 神龍 등 대기업들이 올해 발전에 대하여 비교적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과 대조적으로 많은 중소메이커들은 2004년 빠른 성장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주 베이징 Jeep 는 신차를 선보임과 동시에 2004년 중국내 SUV 의 선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동 사는 2005년 현대화된 새 공장을 완공하여 연간 생산판매량 6만대를 달성하고 2008년 연간 생산판매량 16만대를 계획하고 있다. 鄭州 닛산의 경우 2004년 매출목표를 전년의 1만대 보다 두배 이상 증가한 26,700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베이징 현대도 2003년의 5.5만대에서 2004년은 13만대로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2004년 중국 자동차산업이 여전히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나 경쟁 강화와 시장세분화 등의 요인으로 고속성장과 함께 생산 조정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밖에도 유러화 가치절상 및 강재 가격상승 등 요인으로 2004년 자동차 메이커의 원가부담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원 : 혜총기차상무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노인용품 시장 유망
중국 노인용품 시장 유망 - 서비스, 의료기기, 식료품 등 진출분야 다양 - 중국 노인용품 시장이 유망하다. 중국의 생활 여건이 점차 개선되어 노년층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나 서비스는 현재 매우 제한되어 있어 노인용품 및 양로 서비스 시장 전망이 밝다. 중국의 노인용품에 대한 수요는 현재 RMB 3천억위앤 규모에 달하며, 2005년에는 6천억위앤, 2010년에는 1조위앤 규모에 달할 것으로 全國老齡工作委員會는 전망하고 있다. 이에 반해, 현재 중국의 노인용품 공급은 5백위앤 규모에 불과하여 노인들이 경제력이 있어도 마땅히 소비할 곳이 없는 실정이다. 2003년말 기준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1억3천4백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0%를 넘어섰고 65세 이상 인구는 9천4백만명으로 7% 이상을 차지하여 중국이 이미 노령화사회로 진입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60세 이상 인구는 매년 3.2%의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2050년에 이르면 4억3천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여 공급이 부족한 노인용품 시장 전망은 매우 밝다. 중국 民政部도 노인 복지시설과 양로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고,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따리엔시 民政局에서도 양로 서비스를 대외 개방하고 이를 담당할 의료기구 또는 서비스업체를 모집하기 위해 시정부로부터의 비준을 득하기 위해 노력중이나, 자금 지원 대책 등 문제로 아직 계획이 가시화되지는 못한 상태이다. 따리엔(大連)시 桃源街에는 최근 世達集團과 銀髮集團이 공동 설립한 따리엔 양로 서비스 슈퍼마켓(大連養老服務超市)이 들어섰다. 이 슈퍼마켓은 다양한 식료품, 약품, 노인용품 등을 구비하고 건강 상담까지 겸하고 있어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따리엔시에는 현재 60세 이상 인구가 74만명, 1백세 이상 인구는 230여명에 달하며, 45개의 양로 서비스 기구가 있다. 한편, 노인용품 시장으로 진출이 유망한 품목으로 욕실용 의자, 배변 처리용품, 비데, 변기 손잡이, 혈압계, 혈당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 안마기, 저주파 치료기, 찜질기, 보청기, 복대 및 벨트(무릎, 허리 보호) 등 제품이 있다. 이밖에 체력 유지용 기구, 식료품, 보약 등 분야도 매우 유망하다. 또한, 노년층을 겨냥한 의류도 매우 제한되어 디자인이나 품질면에서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TO 가입 후 중국의 서비스업 개방도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우리 업계의 진출에도 청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제품이 품질면에서 중국산보다 훨씬 앞서고 있어 양로 서비스와 함께 패키지 형태로 공급한다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정보원 : 遼寧日報, 大連市 民政局, 中國企業報, 中國社會報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쟁정토론:제조업공동화 현황과 대응방안
최근 중국에 대한 제조업 해외투자가 늘어나면서 경제단체ㆍ언론 등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제조업 공동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세계경제이슈:경기과열과 저속성장 사이의 중국경제
중국경제는 지난 25년간 연평균 9%대의 높은 성장을 유지해 왔으며, 이러한 고속성장에 힘입어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중국경제에 과열기미가 보인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그동안의 고속성장이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하고 저성장 기조로 전환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또한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중국경제 성장의 둔화가 세계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경제 과열 여부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과 이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무역제도와 최근 변화
WTO 가입 이후 대외개방 확대추세인 무역제도 소개 ㅁ 모든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대외무역권 부여 ㅁ 관세율의 지속적인 인하 ㅁ 수입쿼터 관리 대상품목 축소 ㅁ 자국브랜드 육성 및 수출촉진을 위한 '명품 수출상품' 선정 ㅁ 가공무역 관리제도 ㅁ 수출가공구와 보세구의 차이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홍콩/마카우와 자유무역협정(CEPA) 발효
- 중국은 2004년 1월 1일부터 홍콩 및 마카우와 자유무역협정(CEPA) 발효 - CEPA 체결의 배경은 침체된 홍콩 및 마카우 경제 진작 및 중화권 경제 공동체 설립의 일환으로 분석 - CEPA는 273개 품목의 무관세와 서비스 시장 개방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본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 소개 - CEPA가 홍콩 및 마카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경제예속 현상이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총 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전력난 해소 위해 원자력 발전 적극 추진
최근 경제성장축인 장강 및 주강삼각주의 전력난을 계기로 원자력 발전소 건립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정부는 당초 10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중 전력분야의 계획을 대폭 수정, 2020년까지 원자력 에너지 의존도를 현재 1.2%에서 4%까지 제고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중국내 원전 발전설비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며 이미 프랑스, 미국 등의 설비 공급상의 로비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핵심 전자부품 개발에 18억 달러 지원
10차 5개년(2001〜2005년) 계획 하에 진행중인 개발 프로젝트가 중국의 전자 산업을 후원하면서 세계 전자산업에서 중국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다. VLSI(초대규모 집적회로), 초전도체, 고성능 CPU 칩, 고기능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FPD), 리튬-이온 배터리, 칩 전기 부속 등의 디자인을 포함, 지난해부터 중앙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여러 가지 주요 프로젝트들이 관련 업체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완성되어 대량 생산에 돌입하였다. 10차 5개년 계획은 2005년까지 세계 OEM 활동의 1/3이 중국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앙 정부는 국내 기술개발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들을 계획하고 있다. 총 150억 위안(약 18억 달러)이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할당되었다. 지난해 3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은 TD-SCDMA를 표준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고성능 CPU 칩의 디자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Godson" 시리즈와 "Ark 3" CPU를 만들어냈다. 산학 협동을 통해, 집적 회로 기술의 중심은 0.13μm에서 0.1Aμm로 이동하고 있다. 국내 메이커들은 7μm 두께의 300개층으로 BME MLCC를 개발할 수 있었고, 1GH이상의 파장을 작동하며 1nH에서 100nH까지의 유도계수를 갖는 마이크로파 칩 유도자가 또한 출시되었다. FPD에서도 발전을 이루었다. 14인치 총천연색, 400cd/m²밝기, 명암비율 5000:1, 265 그레이 스케일의 PDP의 생산이 가능해졌다. 중국이 시험제작한 총천연색 OLED(유기EL)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1.28인치 패널에 26만 컬러, 화소 크기 0.12-3-0.36mm이다. 4.82인치 패널에 64 그레이 스케일의 최대 크기의 단색 수동 OLED 디스플레이도 출시되었다. 반면 전기 자동차(EV) 혼성 전기 자동차(HEV)의 개발에 맞추어 연료 전지, 고전력 배터리, 초응축기와 같은 주요 부품에 대한 연구 개발은 2001년에 시작되어 현재 진행중이다. 고성능 리튬 -이온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 중국 업체들은 165mAh/g 가용력의 LiCoxNiyMn1-x-yO2 전극 재료를 개발하고 있다. 이 새로운 재료는 LiCoO²의 1/3 가격이라고 알려져 있다. 중국 공급업체들은 또한 NdFeB 자석의 제조 및 표면 코팅 기술 등 자석 산업에서 장족의 발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NdFeB 산업은 세계 최고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생산 또한 세계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앙 정부의 프로그램 863하에 N51 모델이 시험 생산에 들어갔으며 PrFe12-xVx 자석 50톤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이 설립되었다. 출처 : Globalsources.co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진출기업의 경영환경 및 투자만족도 조사
중국투자 후 국내생산・고용감소 ⇒ “제조업공동화 우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金榮洙)가 63개 중국진출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진출기업의 경영환경 및 투자만족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비용절감, 해외시장개척을 목적으로 진출하였고 중국투자에 만족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의 고용 및 생산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4〜5년내 제조업공동화가 우려되고 있음 □ 중국진출 동기로는 비용절감(43.7%), 해외시장 개척 및 전략적 제휴(33.9%), 인력난(12.5%)순으로나타났으며, 대부문의 업체가 저렴한 인건비, 공장입지 등 양호한 기업환경으로 인해 중국투자에 만족하고 있으나 언어와 문화장벽을 가장 큰 애로로 지적 ㅇ 중국투자기업의 58.8%가 중국투자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렴한 인건비 등을 이유로 49.2%가 중국의 기업환경이 한국보다 좋다고 응답 - 중국 진출에 따른 만족도 : 만족(58.8%), 불만족(20.7%), 보통(20.5%) - 중국의 기업환경이 한국보다 좋은 이유 ・저렴한 인건비(50.9%), 공장입지 지원(20.9%), 안정적 노무관계(14.6%) 등 ㅇ 한편 중국현지의 기업경영에 따른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언어/문화장벽(25.8%), 세금 및 각종 분담금 과중(17.5%) , 비합리적 상관행 및 낮은 생산성(13.3%), 물류/인프라 시설 미비(12.5%) 순으로 조사됨 □ 한편 중국진출후 상당수의 업체가 제조원가 절감효과를 거둔 반면 국내 에서의 고용 및 생산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해외투자 증가로 인해 향후 4〜5년내 제조업공동화가 심각해 질 것으로 우려됨 ㅇ 중국진출 후 국내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조사업체의 대부분인 85.5%의 업체가 제조원가 절감효과가 있다라고 응답하였고, 국내고용이 감소했다는 업체는 60.7%, 생산이 감소했다는 업체는 63.9%로 나타났으며 공장을 축소했다는 업체도 44.3%로 조사됨 - 중국 진출후 국내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 ・제조원가 절감효과 : 있음(85.5%), 없음(14.5%) ・고용변화 : 고용감소(60.7%), 생산변화 : 생산감소(63.9%) ・공장변화 : 공장유지(52.4%), 축소(44.3%) - 제조업공동화에 대한 인식 : 심각해 질 것이다(76.2%) - 제조업공동화 도래시기 : 향후 4〜5년 이내 도래(81.0%) □ 한편 정부의 해외진출기업에 대한 지원책으로는 현지의 정확한 정보제공 및 현지정부와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을 가장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중국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검토 후 진출할 것을 적극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ㅇ 정부의 해외진출기업에 대한 지원책으로는 현지의 정확한 정보제공(37.1%), 현지정부와의 협조채널 구축(32.3%), 경영애로 전담창구 개설(14.5%) 등으로 나타남 ㅇ 향후 중국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검토 후 진출할 것을 권유하겠다고 응답한 업체의 비율이 95.2%로 나타나 무분별한 진출보다는 사전 철저한 조사와 계획을 수립 후 진출해야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됨 □ 한편 중국진출기업의 투자형태는 단독투자가 대부분이며 평균투자금액은 13억원이고 주요 원재료의 구매처는 한국, 중국 순으로 나타난 반면 제품의 주요 판매처로는 중국 및 제3국 시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ㅇ 중국 진출업체의 투자형태 : 단독출자(87.1%), 현지기업합작(6.5%) ㅇ 평균 투자금액 : 13억원 ㅇ 주요 원재료 구매처 : 한국(48.4%), 중국(41.9%), 제3국(9.7%) ㅇ 주요 판매처 : 중국(41.7%), 제3국시장(41.7%), 한국(16.6%) ㅇ 손익분기점 도달기간 : 진출 후 평균 3년 소요 유 첨 : 조사결과 1부.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거세게 다가오는 중국의 TFT-LCD 산업
전자산업 전반에 걸쳐 중국의 성장이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주력산업 중 하나인 LCD 산업에서도 중국의 위협이 가시화되고 있다. *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