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 중국 24개 성시 노동절 연휴 관광 '성적표'
2020년 중국의 노동절은 5월 1일~5일(5일간)로 코로나19 상시방역체제 전환 후 첫 장기연휴로, 24개 성시(省市)는 노동절 연휴 동안의 주요 여행데이터를 발표함. 노동절 연휴기간 중국 내 총 국내 여행객 수는 1억 1,500만 명이며, 475억 6,000만 위안의 국내 관광 수입을 올림. 24개 성시 중 장시, 후난, 광둥 등 3개 성의 관광 수입은 100억 위안을 기록 - 장시가 153억 8,300만 위안으로 1위, 후난이 140억 9,900만 위안으로 뒤를 이었으며 광둥이 103억 6,000만 위안으로 3위를 기록함. 관광객 수는 장시, 구이저우, 후난, 광둥, 허난 산둥, 푸젠, 산시( 西), 간쑤 등 9개 성에서 1,000만 명이 넘음. - 특히, 장시와 구이저우 지역의 관광객 수는 2,000여만 명 이상으로 집계 중국관광연구원(中 旅游 究院)는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개인 차량을 이용한 관광객 비율은 64.1%로 사상 최대치였다고 발표함. - 또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역 간의 여행이 활성화되지 못함에 따라, 자가 여행, 근교 여행, 로컬 레저 여행이 두드러짐. - 코로나19 이후 처음 맞이한 장기연휴 동안 코로나 전파 및 확산사례, 안전사고, 부정적 여론이 없어, 관광시장과 소비심리가 점차 안정적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분석함. <출처: “190多 元消 券促消 回暖” 日 . 2020. 5. 1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1분기 지역별 1인당 소비지출
중국 국가통계국은 2020년 1분기 중국의 지역별 1인당 소비지출을 발표 - 1분기 중국의 1인당 소비지출은 5,082위안으로 31개 성 중 9개 지역이 평균 이상의 기록 - 그중 담배・주류, 거주, 교통통신 소비 비중이 각각 33.6%, 24.4%, 11.9%를 차지하면 상위에 랭크됨. 지역별로는 상하이 주민의 소비지출이 10,410위안으로 가장 많았고, 베이징 10,003위안, 저장 7,891위안, 톈진 1,048 순으로 나타남. 국가통계국은 코로나19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 소비가 타격을 입었지만, 온라인소비와 건강 관련 소비의 빠른 성장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나타나고, 1분기 전국의 온라인소비 횟수는 전년동기대비 21.2% 증가했다고 밝힘. 온라인소비는 자가격리로 어려운 물건 구매를 편리함으로 대신하며 1분기 오프라인 소비가 온라인으로 옮겨갔으며, 눈에 띄게 증가함. - 특히 라이브 방송을 통한 소비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소비 방식으로 떠오름. 중국은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정부가 앞다투어 소비 쿠폰을 발행하고 있음. - 중국의 소비 쿠폰은 저소득층 대상, 특정 업종을 대상으로 한 할인권・공제권, 기업에게 발행하는 각종 세금 감면 등 세 가지로 분류됨. - 일반 시민을 위한 소비 쿠폰은 직접적인 현금 지원금이 아닌 APP을 통한 할인 쿠폰 형식으로 쇼핑, 배달, 식당 등에서 사용할 수 있음. 2020년 5월 중국의 28개 성시, 170개 도시에서 발행한 소비 쿠폰의 누적 금액은 190억 위안임. - 중국의 경제 전문가들은 소비 쿠폰으로 인한 단기적 소비 촉진은 효과가 뚜렷하지만, 장기적인 발행은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 <출처> 1. “北京 分 5月1日正式 施 2万名指 督” 中 新 . 2020. 4. 27. 2. “24省 五一假期旅游“成 ”:3省 收入超百 ” 中新 . 2020. 5. 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청소년 인터넷 이용 현황
CNNIC는 2020년 5월 13일 공청단 중앙 보호 청소년 권익부(共 中央 少年 益部)과 함께 「2019년 전국 미성년자 인터넷 사용현황 연구 보고(2019年全 未成年人互 使用情 究 告)」를 발표 - 보고서는 중국 31개 성시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직업학교 재학생 3만 4,66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환경 등을 조사함. - 본 글에서는 조사대상을 청소년이라 칭함. 2019년 중국의 청소년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1.75억 명으로 보급률은 93.1%에 달함. - 중국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인터넷 보급률은 각각 93.9%, 90.3%로 격차는 2018년 5.4%p에서 3.6%p로 축소함. 중국 청소년의 인터넷에 대한 인식은 세계를 알아가는 창구(67.1%), 학습 보조 도구(66.1%), 휴식・오락 수단(59.3%), 편리한 생활을 위한 도구(53.1%), 친구를 사귀는 통로(36.5%), 자신을 표현하는 공간(18.8%) 순으로 조사됨. 중국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목적은 온라인 교육이 89.6%로 가장 많고, 음악 감상 65.9%, 게임 61%, 메신저 58%, 숏 비디오 시청 46.2%, 정보 검색 44.9%, 동영상 시청 37.5% 순 중국 청소년의 일일 인터넷 이용시간을 평일과 주말로 나누어 살펴보면, 평일에는 30분 이내가 59.5%로 가장 많았으나, 주말은 30분~1시간이 26.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중국 청소년의 기기별 인터넷 이용 비율은 스마트폰이 93.9%로 가장 높고, TV가 그다음을 이어 56.7%로 전년대비 10%p 증가함. -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기기별 이용 비율이 스마트폰, 데스크톱, 노트북, TV 순인 것과 비교해 청소년의 TV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많음. <출처: CNNIC(2020b), 《2019年全 未成年人互 使用情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인터넷 이용 환경과 APP 이용 현황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기기별 인터넷 사용 비율은 모바일이 99.3%로 가장 높았으며, TV 32%, 데스크톱 42.7%, 노트북 35.1%, 태블릿 PC는 29%로 조사됨. - 데스크톱의 이용 비율은 2018년 대비 5.3%p 감소 2019년까지 중국의 APP 사용은 꾸준히 증가했고,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학교 개학이 연기되면서 APP 이용자가 큰 폭으로 증가 - 특히, 온라인 교육, 온라인 정무, 인터넷 결제, 인터넷 동영상, 인터넷 쇼핑, 인스턴트 메신저, 인터넷 음악, 검색엔진 등의 이용자 규모는 2018년 대비 10% 이상 급증 온라인 교육 이용자 규모는 4억 2,300만 명으로 2018년 대비 110.2% 증가하여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46.8%를 차지함. - 인터넷 라이브방송 APP 사용은 41.1%, 온라인 결제는 27.9% 증가함. 같은 기간 모바일 결제 사용자 수는 31.1% 증가 온라인 정무 서비스 가입자 규모는 6억 9,400만 명으로 2018년 대비 76.3% 증가하여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76.8%를 차지함. - 2019년 이후 저장, 광둥, 산둥 등 지방정부에서는 데이터 사업을 추진했으며, 전국 통합온라인 정무서비스 플랫폼 운영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역학 정보 제공, 방역 협조를 구하는 등 활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혁신적인 정부 관리 도구로 자리 잡음. <출처: CNNIC(2020a), 第45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인터넷 이용자 특징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남녀 비율은 51.9 : 48.1로 남성의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남. 학력별로 살펴보면, 초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인터넷 이용자 비율은 17.2%이고, 중졸은 41.1%, 고등학교 졸업 학력자는 22.2%이었으며, 전문대 이상 학력자는 19.5%로 조사됨. 인터넷 이용자의 연령별 비중은 20대 21.5%, 30대 20.8%로 젊은 세대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40대(17.6%)와 50대 이상(16.9%)의 인터넷 이용률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직업별 비중은 학생이 26.9%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가 22.4%, 회사 임직원이 10.9%로 뒤를 이음.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월 소득 비중은 5,000위안 이상 이용자 27.6%, 5,000위안 이하는 72.4%로 조사됨. - 그중 월 소득 구간이 2,001~5,000위안인 인터넷 이용자는 33.4%, 1,000위안 이하는 20.8%로 나타남. <출처: CNNIC(2020a), 第45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보급률
중국 정부는 1997년 중국인터넷정보센터(中 互 信息中心, CNNIC) 설립을 통해 중국 인터넷 관련 각종 정보를 조사・집적하여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활용 CNNIC는 2020년 4월 28일 제45차 「중국 인터넷 발전현황 통계 보고(中 互 展 告)」를 발표함. - 보고서는 인터넷 인프라,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구조, 인터넷 활용 발전, 인터넷 정무 발전, 산업 및 기술 발전, 인터넷 보안 등 6가지 측면과 2019년과 2020년 초 중국의 인터넷 발전현황을 소개함. 2020년 3월 기준, 중국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9억 359만 명으로 2018년 대비 7,508만 명 증가함. - 인터넷 보급률은 2018년 대비 4.9%p 상승한 64.5%에 달함. 중국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8억 9,700만 명으로 2018년 대비 7,992만 명이 증가하였으며,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비율은 99.3%로 2018년 대비 0.7%p 상승함. - 2019년 중국 광섬유 인터넷 및 4G 보급률은 98%를 넘어섰고, 초고속인터넷망 가입자 수는 4억 5,000만 가구가 넘는 등 세계 최대 규모의 인터넷망 구축 2020년 3월 인터넷 쇼핑몰 가입자 규모는 7억 1,000만 명으로 2018년 대비 1억 명 증가하여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78.6%를 점유 - 2019년 온라인 판매액은 10조 6,3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16.5% 증가했으며, 전체 사회 소비 판매총액의 21.5%를 차지함. - 2019년 전자상무법과 동시에 시행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즉, 수입통관 전용 플랫폼을 통한 소매 수출입 상품 총액은 1,862억 1,000만 위안으로 38.3% 증가함. 중국 농촌 인터넷 이용자는 2억 5,500만 명으로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28.2%에 달하며 2018년 대비 3,308만 명 증가함. - 도시 인터넷 이용자는 6억 4,900만 명으로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71.8%를 차지하고, 2018년 대비 4,200만 명 증가 인터넷을 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컴퓨터와 인터넷을 할 줄 모른다는 이유가 51.6%로 가장 많았고, 한자 병음을 모르는 등의 문화적 수준 한계가 19.5%를 차지함. - 또한, 나이가 많거나 적어서 인터넷을 하지 못한다고 14%가 응답했으며, 13.4%는 컴퓨터 등 인터넷 설비가 없다고 답함. <출처: CNNIC(2020a), 第45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싱글 남녀의 음식 인식 조사
2020년 5월 20일 중국 결혼정보업체 전아이망(珍 )이 발표한 「2020년 싱글 조사보고서-음식 남녀편( 身人群 告- 食男女篇)」에 따르면, 싱글 남녀 10명 중 8명은 맛있는 음식 사주는 것으로 호감을 표시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중, 남성이 87.7%로 여성 70.8%보다 더 높게 나타남. - 단순히 음식을 나누는 것뿐만 아니라, 음식을 통해 상대에 관한 관심과 사랑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 싱글 응답자 46.8%가 혼자 식사할 때 외로움을 느끼고,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됨. - 연령별로 살펴보면, 주링허우(90년도 이후 출생자)와 주우허우(95년도 이후 출생자) 싱글 남녀가 혼자서 식당에 갈 때 가장 외로움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함. - 상황별로는 혼자 야식이나 생일 케이크를 먹을 때, 밸런타인데이에 혼자 식사를 하는데 근처 테이블에 커플이 있을 때, 주말에 혼자 집에서 배달 음식을 시켜 먹을 때 주로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함. - 특히, 혼자 뷔페를 가거나 훠궈를 먹을 때 가장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함. 배우자를 선택할 때, 67.7%가 상대방이 요리할 줄 아는지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고 답했고, 응답자 절반 이상이 요리를 잘하면 좋겠지만 못해도 괜찮다고 답함. - 나머지 32.3%는 상대방이 요리할 줄 알아야 한다고 응답하였는데, 그중 바링허우(80년대 생)의 비율이 35%로 가장 높았음. 데이트할 때 선택하는 주요 메뉴로는 현지 음식(52%), 양식(17%), 훠궈(14%), 뷔페(9%), 디저트(8%)가 꼽힘. - 연령대에 따라 음식 선택 취향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링링허우(2000년대 생)는 훠궈, 주우허우는 양식, 주링허우는 디저트, 바우허우(85년도 이후 출생자)는 현지식 메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성별 선호 메뉴는 여성은 훠궈, 남성은 뷔페로 조사됨. 결혼생활 중 식사 준비에 대해서는 57.2%가 능동적으로 준비한다고 답했고, 37.9%는 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답함. - 특히 남성(68.7%)이 여성(47%)보다 식사 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됨. <출처: “珍 告:八成 身男女通 “投 美食” 表 好感” 中 新 . 2020. 5. 2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1~4월 중국 복권 판매량 감소
중국 복권 판매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전년대비 하락하는 추세 2020년 4월 중국 복권 판매액은 233억 8,800만 위안으로 전년도 동월 대비 126억 100만 위안(약 2조 1,500억 원) 감소하여 35% 하락함. - 그중, 복지복권 판매액은 119억 1,100만 위안으로 동월 대비 43억 7,400만 위안이 감소하여 26.9% 하락 - 스포츠토토 판매액은 114억 7,600만 위안으로 82억 2,700만 위안이 줄어 41.8% 감소 2020년 1~4월 복권 누적 판매 총액은 611억 8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811억 9,700만 위안 감소하여 57.1%로 하락함. - 같은 기간 복지복권과 스포츠토토 판매액은 각각 299억 7,800만 위안, 311억 3,0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54.1%, 59.6% 하락함. 1~4월 로또복권의 누적 판매액은 442억 9,4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291억 6,300만 위안 감소하여 39.7%로 하락하였고, 경매식복권 판매액은 80억 500만 위안으로 351억 1,400만 위안 감소하여 81.4%로 감소함. - 즉석복권 판매액은 61억 4,6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27억 7,200만 위안 감소하여 31.1%로 하락하였으며, 인터넷추첨식 복권의 판매액은 26억 5,000만 위안으로 141억 1,300만 위안 감소하여 무려 84.2%로 감소 - 키노복권의 판매액은 1,4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3,600만 위안 감소하여 71.7%로 감소 로또복권, 경매식복권, 즉석복권, 인터넷추첨식 복권, 키노복권의 판매량은 전체 복권매출의 각각 72.4%, 13.1%, 10.1%, 4.3%, 0.1%를 차지함. 1~4월 누적, 중국 모든 지역에서 복권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함. - 단 4월, 시짱(西藏), 신장(新疆), 칭하이( 海) 등 3개 지역에서만 복권 판매액이 동기대비 각각 7,000만 위안, 1,000만 위안, 200만 위안이 증가함. <출처: “1-4月全 共 彩票611.08 元 同比下降57.1%” 中 新 . 2020. 5. 2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젊은 세대 소비 트렌드
중국 대표 국영방송사 CCTV 재경( )과 「중국경제생활대조사(中 生活大 )」 기관과 공동으로 「2019~2020년 중국 청년 소비 보고서(中 年消 告)」를 발표함. - 본 보고서는 전국 31개 성, 154개 도시, 297개 현의 10만 가구를 대상으로 방문 조사를 하여 20~40대의 소비관, 소비 이슈, 소비예측, 소비패턴 등 10개 영역을 분석・소개하고 있음. 2020년 중국 젊은 세대의 주 소비 품목은 교육(32.44%), 주거(31.53%), 건강・위생(26.11%) 순으로 돈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됨. - 특히, 25~35세의 교육과 자기 계발에 대한 수요가 강한 것으로 나타남. 자격시험과 관련된 검색이 증가했음. 특히 운전면허, 표준어, 교사자격증에 관심이 많음. 중국 젊은 세대의 주택에 관한 인식은 '투자'가 아닌 '주거'의 목적으로 '자기만족과 행복'이라는 소비관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35세 이하 젊은 세대의 건강・위생 관념이 점차 강해지고 있고, 소비 비중은 전년대비 5%p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예방접종, 건강검진, 건강보조식품 등의 소비 증가 2020년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사태로 생활의 많은 것이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소비관을 이성적이고 실용적으로 바꿈. - 소비할 때 '생활필수품만 사겠다.'라는 응답이 55.8%로 가장 많았고, 40.2%는 '적게 사고, 좋은 물건을 사겠다.'라고 응답했으며, '구매 결정 시 이전보다 더 신중하겠다.'라고 39.6%가 응답함. - 유명인과 같은 제품 혹은 신상품을 선호했던 것과 달리, 환경보호 제품, 보조금 지원, 할인 상품, 다용도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 또한, 온라인 라이브방송을 통한 구매가 증가함과 동시에 직접 판매자로 나서는 경우도 증가함. - 중국 최대 오픈마켓인 타오바오(淘 )의 라이브방송 진행자 중 40% 이상이 주링허우(90년도 이후 출생자)임. - 주링허우 인플루언서가 홍보 혹은 판매하는 상품이 대중의 선호와 구매로 이어지는 규모는 1인 평균 174만 위안(약 3억 원)/월인 것으로 나타남. 젊은 세대의 평균 행복감은 43.81%로 나타났고, 주우허우(95년도 이후 출생자)의 행복감은 60.13%로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조사됨. - 퇴근 후 가사, 운동, 온라인쇼핑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외활동으로 외식, 야식, 관광지, 야시장 방문 등을 즐김. 중국의 젊은 세대는 풍요로운 부족함 없는 생활을 누린 세대로 물적 풍요보다는 정신적 풍요를 중요시 생각함. 이러한 가치관으로 중국의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음. <출처: “《2019-2020中 年消 告》出 !“住房”入 花 榜前三名” 央 . 2020. 5. 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경제 키워드
중국 인민일보는 2020년 5월 22일 전국인민대표대회(全 人民代表大 )에서 발표한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2020년 중국 경제를 전망할 키워드 10개를 선정함. ▣ 성공은 어렵다(成之惟 ) 비교적 짧은 시간 내 효과적으로 코로나19를 통제하고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기는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성공하기 어려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올 한해 경제사회발전 목표를 최대한 달성하기 위해 노력 ▣ 구체적 경제성장률 목표치 제시하지 않음( 有提出全年 增速具 目 ) 세계적 대유행인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무역 정세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의 성장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들에 직면함. ▣ 특수 시기의 특수 조치(特殊 期特殊 措) 국내총생산(GDP) 대비 2.8%이던 기존 재정 적자율을 3.6% 이상으로 높이고, 재정 규모를 전년대비 1조 위안 증액함과 동시에 1조 위안의 방역 특별 국채 발행 ▣ 취업우선(就 先) 도시 신규 취업자 목표치를 전년대비 100만 명 적은 900만 명으로 설정 각 도시는 취업에 불합리한 제한을 철폐하고, 취업 촉진을 위한 조치와 일자리 확대를 위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함. ▣ 청산을 남겨야 미래가 있다(留得 山, 得未 ) 전년도 감세 기조에 이어, 올해도 부가가치세, 기업 사회보험료 등의 인하로 2조 5천억 위안 이상의 기업 부담을 완화 내년까지 영세기업, 자영업자의 소득세 납부를 유예함. ▣ 소비활성화 촉진(推 消 回升) 음식점, 쇼핑몰, 문화, 여행, 가정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업의 회복과 발전을 지원하고 온・오프라인의 융합발전을 추진함. 전자상거래 및 농촌지역 택배산업 활성화를 통해 농촌 지역 소비 확대를 추진함. ▣ 새로운 기반시설 구축(新基建) 새로운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차세대 정보 네트워크를 강화함. 5G 적용을 확대하고, 전기충전소 건설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을 확대하는 등 신형소비 수요를 극대화하여 산업 업그레이드를 도모함. ▣ 소비를 통한 빈곤구제 활동(消 扶 行 ) 빈곤한 현( )과 촌(村)의 탈빈곤화와 경제발전을 위한 지원, 외지 노동자에게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 소비를 통한 빈곤구제 운동을 전개하여 산업 회복 및 발전을 지원함. ▣ 산업클러스터의 공급사슬 안정화( 定 供 ) 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대외 개방을 견지하고 산업클러스터의 공급사슬을 안정화하고, 개방을 통한 개혁 발전을 촉진함. ▣ 코로나19 상시 방역(常 化疫情防空) 코로나19 방역에 조금의 소홀함이 없게 하고, 경제사회발전을 위한 각종 행정을 서둘러 처리함. <출처: “10 把握2020年中 走 ” 人民日 . 2020. 5. 25.>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