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이동전화 가입자 수, 유선전화 사용자 넘어
세계 최대 이동전화 시장인 중국이 고속 성장의 명성에 걸맞게 ,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유선전화 사용자 수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정보산업부가 중국의 Little Smart 무선 지역 회로(WLL) 시스템을 유선전화 서비스로 간주한 것을 고려하면, 이동전화가 성장 측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차이나 모바일과 차이나 유니콤이 제공하는 핸드폰과 서비스의 비용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무선 전화가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시간문제가 되었다 . 차이나 넷콤과 차이나 텔레콤이 제공하는 WLL 서비스의 선전이 없었다면 중국 이동전화 시장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유선전화 사용자 수를 넘어서는 분기점에 더 빨리 도달했을 것이다. 이동전화 기기업체 현황 이동전화 시장이 중국 통신시장에서의 승리를 축하하는 동안 , 이동전화 기기 제조업체도 선전을 계속하고 있다. 노키아가 이미 정부 승인을 얻었고 한국 업체들은 중국 이동전화 시장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03년을 화려하게 보낸 LG 전자는 현재 중국 GSM 인가업체인 ChaBridge와 인수협상을 벌이고 있다. 중국 업체와 ODM 계약에 의존하는 기타 소규모 외국 업체도 사스의 여파에서 벗어나 이윤 확대에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전망 중국 이동전화 사용률은 여전히 20%에 불과하지만 시장의 성장 여지는 풍부하다. 이동전화 시장은 2003년도에 전년대비 30.6% 성장하여 2001년의 61.4%에 비해 성장속도가 많이 느려졌지만, 중국 해안지방 도시의 수요도 아직 충분히 충족되지 않았다. 가입자 확대에 따른 성장률 둔화는 예상된 것이었으며, 상하이와 같은 도시도 60% 미만의 가입율을 보이고 있어, 지역적 인구분포에 관계없이 중국 이동전화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30.6%라는 이동전화 시장 성장률은 2003년 상반기 사스의 영향을 감안하면 더욱 인상적인 것이다. 2003년 상반기의 월간 이동전화 가입자 증가율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2003년 1월에는 582만명이 가입한 반면 6월에는 442만명만이 가입했다. 그러나 2003년 10월에는 680만명이 가입신청을 하면서 중국 이동전화 시장은 성장세로 지난해를 마감했다. 2004년에는 6천만명의 신규가입자가 있을 전망이며, 이는 2003년 신규가입자 6300만명보다 약간 작은 규모이다. 이동전화 기기업체와 서비스업체 모두가 3G 인증 시기를 주시하는 가운데, 국가 통신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 하다. 신화 통신에 의하면 2003년 중국 제조업체와 서비스업체는 622억 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것은 2002년보다 18.2% 늘어난 것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9/10은 통신서비스에서 직접 벌어들인 것이다. 질적인 성장은 분명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불분명한 3G 인증 절차에 대한 불안의 일부분을 잠재우고 있다. ODM 업체들이 세계적인 통신업체와 중국제조업체간의 경쟁에 뛰어듦에 따라 제조업 시장의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이다. 이것은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중국을 이상적인 전략기지로 삼아 세계 이동전화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추세의 일부이다. 이것은 마치 노키아 같은 업체들이 수출시장을 위해 비용 효율적인 중국의 생산 설비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출처 : WMRC Daily Analysi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반도체시장 2007년 850억달러규모
중국의 전자제품 시장이 오는 2007년 까지 2천700억 달러 규모로 커지면서 반도체 시장 역시 850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가 16일 밝혔다. 아이서플라이는 이 기간에 중국 전자제품 시장이 연평균 13.5%, 반도체 시장이22.2% 각각 성장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한편 또다른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중국 시장의 이같은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중국 업체들의 비중은 낮을 것으로 예상됐다. IC인사이츠는 내년에 세계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이 차지하는 매출액 비중은 2.5%, 오는 2010년에는 5.7%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서비스산업 개방과 우리의 대응방안
< 요약 > 중국의 서비스산업은 종전에는 고도로 보호되어 왔으나 2001년 WTO 가입과 과감한 개방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서비스산업 개방은 중국경제 자체는 물론 외국기업의 중국 비즈니스 전반 나아가 경제자원 의 국제적 배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서비스산업이 개방됨으로써 외국기업의 對中무역과 투자 및 내수시장 진출에서 새로운 기회가 제공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중국 에서 서비스산업이 국민경제의 전반적인 발전수준에 비해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기업의 진출기회는 더욱 크다 반면 향후 중국의 고도 경제 성장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의 서비스산업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서비스산업의 개혁ㆍ개방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 조정 그리고 동아시아 비즈니스 허브화 비전의 실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우리에게 중요한 기회요인이면서 동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서비스산업 중에서 우리에게 연구수요가 높은 유통 금융 통신 세 개 업종을 집중적으로 연구대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이들 세 개 산업을 중심으로 중국 서비스산업의 특성 개방의 현황과 전망 개방의 영향 중국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우리나라 서비스업계의 진출현황 서비스시장 진입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 및 성공적 진입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중국의 유통산업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의 전통이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는 개혁ㆍ개방의 진전으로 인해 새로운 유통업체와 유통경로 유통업태도 빠르게 자리를 잡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국유기업들과 새로운 유통경로를 구축하는 등 빠른 성장추세를 보이는 비국유 유통업체들간의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수익성 악화 문제까지 등장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유통산업에서 중국정부는 종래와 같이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개방확대 패턴을 유지하면서 약속한 개방확대 일정을 준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중국의 유통업 개방은 국제적인 상품유통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고 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중국의 유통업부문에서 중국유통업체와 외국기업의 경쟁 외국기업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 또한 중국 유통업체와의 외국업체의 제휴ㆍ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노력이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2004년 서버 시장 동향
2003년 이후 중국의 인터넷 온라인 게임 산업은 지속적으로 급성장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게임 운영 업체는 15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여기에 중국 최고 포탈 웹사이트 업체인 NetEase.com社, SINA社, Sohu.com社까지도 새롭게 뛰어들었다. 2003년 말, 중국의 인터넷 온라인 게임 인구는 1,900만명 가량으로 추산되며, 이는 2004년 말에 72% 증가한 3,20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온라인 게임 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 업계도 큰 발전을 이룰 것으로 전망 된다. 주요 중국 서버업체로는 Langchao그룹, Legend그룹, PowerLeader社, Joint-Harvest社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Dell, IBM, HP 같은 다국적 라이벌 업체에 맞서 국내 온라인 게임 서버 시장 장악에 나서고 있다. 현재 이들 중국 서버 업체들은 국내 온라인 게임 서버 시장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 선두 5대 기업으로는 Langchao社(시장 점유율: 26.5%), Dell社(23.7%), Legend社(10.1%), PowerLeader社(9.2%), Joint-Harvest社(7%)가 있다. 2003년에 Langchao社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Shanda Networking社와 3,000대의 서버 공급 계약을 맺었고, 연매출 또한 80%나 증가하였다. 또한 Legend社는 China United Telecommunications社, The9 Online社 등과 3G 온라인 RPG(Role Playing Game) 게임 'MU'의 개발과 운영을 포함한 시장 협력 계약을 맺었다. 중국 서버 업체는 고객 지향의 유연한 마케팅 , 자국 시장의 이점, 자세하고도 세분화된 시장조사, 다양한 사용자 집단에 대한 분석과 개발 능력 등의 부문에서 다국적 기업에 비해 우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 서버 업체들의 국내 시장 장악은 그리 만만한 것은 아니다. 중국 서버 업체들은 다국적 서버 업체들이 장악하고 있는 국내 고가 서버 시장을 계속 노려 왔는데 , 반대로 다국적 서버 업체들 역시 중국 서버 업체들이 장악하고 있는 저가 서버 시장을 노리고 있어, 2003년 하반기부터 고가, 중가, 저가 서버 시장 모두에서 치열한 시장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HP社는 2002년 말부터 일찍이 전국 각지에서 대대적인 서버 판촉을 벌였으며, 특히 중소 규모 도시의 소규모 사업체들에 대한 서버 판매를 위해 자사 제품 전체에 Intel社 칩을 장착하였으며, 2003년에는 마케팅을 157개 중소도시에 집중시키는 전략을 펴고 있다. 한편 델社 역시 중저가 서버 시장 침투를 위해 과감한 가격 인하를 단행하여 2003년 2/4분기에는 중국 서버 시장의 22.6%를 차지하였다. 이에 고가 서버를 주로 생산하던 중국 서버 업체 Dawning社도 생산라인 일부를 저가 시장 품목으로 옮겼다. 그러나 중국 서버 시장은 이미 안정 단계에 접어들어 있어 중국 서버 업체들이 기술이나 품질 면에서 다국적기업을 제치기는 쉽지 않으며, 곧 대대적인 가격 전쟁도 벌어질 양상이다. 이들은 또한 국내 온라인 게임 서버 시장에 대해 광범위한 시장조사를 시행하여 , 서버 시장뿐만 아니라 전체 IT산업에서도 대세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세분화, 개별화 추세에 맞추어 사용자 그룹 중심의 온라인 게임 서버 시장에 대한 대책을 강화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출처 : SinoCast China IT Watch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장강삼각주 인접도시별 의류산업 현황
△상하이 (上海) = 중국의 장강삼각주(Long River Delta)가 중국의 경제를 선도하는 용(龍)이라고 한다면 상하이는 그 용의 머리 부분에 해당되는 곳이다. 중국 유수의 의류메이커들이 상하이에 본부나 구매사무소를 설립해 놓고 있다. 또 상하이는 매년 주요 의류 및 섬유전시회가 개최된다. 세계 주요항 가운데 하나인 상하이는 약 21만개 민간기업들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상하이의 연간 상품수출액은 260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패션 부문에서는 여성용 정장과 남성 및 여성용 캐주얼웨어가 유명하다. 그러나 상하이는 장강삼각주의 다른 제조허브 지역에 비해 인건비와 생산비용이 비싼 것이 흠이다. 이에 따라 상하이 의류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중고가 제품을 취급하면서 품질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다. △쑤저우 (蘇州) = 상하이에서 기차로 30분, 또는 버스로 한시간 북쪽에 위치한 쑤저우는 실크의류와 니트웨어, 케주얼 웨어 생산 중심지이다. 특히 여성의류, 스커트, 캐주얼정장, 바지 등의 생산에 강점을 갖고 있다. 생산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이의 영향을 받아 이 지역 업체들도 혁신적인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으나 상하이에 비해 제품 가격은 다소 싼 편이다. 대부분의 쑤저우 업체들은 외국 바이어들과 직접 거래를 하고 있으며 당연히 외국인 투자자들과 합작관계를 맺고 있는 업체들이 많다. △창슈 (常熟) = 경쟁력있는 가격과 안정적인 품질의 의류제품으로 유명한 창슈는 쑤저우에서 기차로 15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 곳에는 약 1천개의 의류메이커들이 밀집해 있으며 섬유 및 액세서리 공급업체들도 많다. 창슈는 겨울의류로 유명한데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중소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역시 해외 바이어들과의 직접거래 경험이 풍부하다. △장자강 (張家港) = 장자강은 아동의류와 캐주얼웨어, 재킷의 주산지이며 다양한 형태의 패션 액세서리도 이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약 400개의 업체들이 매년 50억달러 규모의 의류와 액세서리를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장자강의 제조업체들은 한 두 군데의 산업단지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렇지만 장자강과 인근지역은 효율적인 수송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큰 어려움이 없다. △우시 (無錫) = 우시는 중국의 면화, 모시, 실크섬유 생산중심지로 발전한 도시이다. 3만헥타르에 달하는 타이후 호수가 있는 현대화된 이 도시에는 패션제품 프린팅과 염색업체들도 밀집해 있다. 이 곳에서는 티셔츠, 캐주얼 셔츠, 바지, 정장, 드레스, 니트웨어 등이 주로 생산되고 있다. 약 200개의 의류업체들과 몇몇 대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OEM 주문에 의해 주로 생산이 이뤄지고 있고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들은 드물다. △후저우 (湖州) = 우시에서 버스로 두시간 거리에 있는 후저우는 전통적으로 실크제품으로 유명한 곳이다. 잠옷과 다른 실크의류가 대표적인 제품이다. 그러나 후저우는 코듀로이(corduroy) 등 다른 재료들로 만든 드레스와 셔츠, 아동의류도 생산하고 있다. 대부분의 수출업체들은 OEM 주문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는 보유하지 않고 있다. 이 지역 의류업체들은 원단공급업체들과 아주 가까이 위치해 있어 혜택을 보고 있다. 후저우는 고속도로와 철도를 통해 다른 생산요충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항저우 (杭州) = 후저우에서 한 시간 거리에 저장성(浙江省)의 성도인 항저우가 있다. 항저우는 실크 의류 생산에 강점을 갖고 있는 섬유 중심지이다. 이 곳에는 약 1천여개의 제조업체들이 밀집해 있는데 대부분이 중소 생산업체들이다. 주력 제품은 여성용 실크정장과 셔츠, 바지, 실크 잠옷 등이다. 이 지역에는 실크와 폴리에스터, 기타 원단공급업체들이 의류생산업체들에게 원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항저우는 매년 전문적인 섬유제품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현지 의류수출업체들이 최신 디자인과 생산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항저우에는 또 2만5천평방미터 규모의 'Hangzhou China Silk Town'이 있는데 생산업체와 도소매업체들이 매일 모여드는 곳이다. 중국에서 유일한 실크의류 및 원단시장으로도 유명하다. △주지 (諸簪) = 주지는 북쪽에 인접해 있는 사오싱(紹興)의 행정관할구역으로 번창하고 있는 사오싱 섬유산업의 영향을 받은 도시다. 인건비가 싸고 교통이 편리한 데다 원단 및 액세서리, 염색 및 프린팅 업체들이 많아 이 지역 의류업체들은 저가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과거에는 실크 의류만을 수출했으나 최근 들어 면화와 린넨, 폴리에스터 의류 등 제품종류가 다양화됐다. △사오싱 (紹興) = 지난 1988년 중국정부는 사오싱을 '직물도시'로 지정해 이 곳에 공장을 설립하는 원단공급업체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그 이후 이 지역 직물산업은 급성장하면서 명성을 쌓아왔다. 오늘날 사오싱은 중국 최대의 직물생산 중심지로 꼽히고 있으며 원자재가 풍부해 많은 의류업체들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겨울의류와 캐주얼 의류가 주요 수출품목이다. 사오싱에는 19개의 직물시장이 있는데 연간 18억미터에 달하는 원단을 공급하고 있다. △닝보 (寧波) = 오랜 의류 생산 및 수출 역사를 지니고 있는 닝보에서 의류산업은 가장 중요한 경제부문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남성용 셔츠와 정장이 전통적인 주류품목이다. 최근에는 니트웨어와 스웨터, 아동용 의류, 가죽의류도 주요 수출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닝보 의류생산업체들은 대부분 대기업이며 연간 매출이 1,200만달러를 상회하는 업체도 20여개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65% 이상이 100여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는데 약 1,800개의 의류회사가 생산하는 옷은 연간 14억벌에 이르고 있다. △핑후 (平湖) = 핑후 경제에서 의류산업은 엔진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지역 사람 5명 가운데 1명은 의류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약 2천개의 업체들이 연간 2억2천만벌의 옷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매출이 1,200만달러를 넘는 기업도 15개에 달한다. 중국 최대의 의류수출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 핑후는 잘 발달된 사회간접자본시설과 경쟁력 있는 가격,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OEM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주력상품은 여성용 정장과 캐주얼 웨어로, 일본인들이 입고 있는 정장의 20%가 핑후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출처 : Globalsources.co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대만기업의 대중국 투자현황과 전략
제 1 장 서론 제 2 장 중국의 외자정책 전개와 외국인투자 추세 1. 1979~87년: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의 시작단계 2. 1988~91년: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의 발전단계 3. 1992~97년: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고속성장 및 조정단계 4. 1998~2002년: 외자정책의 재조정 및 개방심화 단계 5. 2002년이후: 외자유치의 글로벌화 발전단계 제 3 장 대만기업 對中 투자현황 1. 대만기업 對中 투자의 단계적 발전 2. 대만기업의 對中 투자지역 및 산업분포 3. 대만 전자/IT업계의 對中 투자 4. 대만기업의 對中 농업 투자 제 4 장 대만의 對中 투자 전략 1. 기업의 對中 투자에 대한 대만정부의 유도정책 2. 글로벌화 시대의 양안간 산업분업 제 5 장 對中 투자에 따른 산업공동화 문제의 대응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동북3성 개발계획 내용과 평가
1. 개발계획의 배경과 내용 2. 동북3성의 경제현황 3. 개발계획의 추진 방법과 평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타이어시장 성장으로 틈새시장 각광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2005년 300만대에 육박할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용자동차의 성장에 힘입어 타이어의 수요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가족형 세단형 자동차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3년동안 세단형 차량 부문은 자동차 시장에서 30% 성장하였으며, 2004년에는 50%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동차 시장도 전체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 2004년 세단형 차량의 생산량은 2002년 전체 자동차 생산량과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북경에서 매일 1,100대의 신형 차량이 판매되고 있는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 소비자들이 저렴한 차량 정도는 구입할 수 있을 만큼 여력이 생기자 , 타이어에 대한 수요도 더불어 증가해 왔다. 2002년 타이어 생산량은 9.4% 증가했으며, 매출은 12% 성장하였다. 한편 수익면에서는 312% 성장하여, 생산 확대를 위한 투자가 가능해졌다. 2002년 우수한 품질의 레이디얼(radial) 타이어의 매출은 55% 증가했으며, 수출물량은 8% 늘어났다. 또한 레이디얼 타이어의 생산량은 전체 타이어 12억개 중 5,600만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부문 수요는 앞으로 전체 타이어 수요의 70%를 차지할 전망이다. Michelin, Bridgestone, Goodyear를 포함한 주요 타이어 제조업체들은 중국에 생산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 중국의 타이어 제조업체 중 1/3이 다국적기업과의 합작회사이다. 이들 업체들은 생산규모 및 시장점유율에 있어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중국내 전체 생산량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합작회사들의 레이디얼 타이어 생산량은 전체의 60%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업체들로서는 시장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최근 수년간 다국적 타이어 업체들은 기존의 현지업체들과의 합작회사보다는 전적으로 외국자본으로 기업을 설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현재 중국에는 325개의 중국 타이어 제조업체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들의 연간 타이어 생산규모는 410,000개로 매우 적으며, 게다가 기술수준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합작 및 외국업체들의 연간 평균 생산량은 270만개에 육박하고 있다. 이제 중국 업체들이 레이디얼 타이어 개발에 관심을 집중함에 따라 , 보다 최신 기술 및 생산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외국 공급업체들에게 중국은 타이어 생산기계 및 서비스에 대한 틈새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충분히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는 기술은 노튜브 (tubeless) 및 런플랫(run-flat) 타이어 부문이며, 더불어 고성능 스피드 기술과 연료효율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출처 : US Commercial.co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3년 상해시 경제발전 회고와 2004년 전망
□ 종합경제실적 향상 ◦ GDP규모 : 6240억위안(전년대비 11.8%증가)으로서 1998년이래 가장 높은 성장률 시현 - 12년 연속 두자리수 성장 유지 ◦ 공업 증가액 : 2850억위안(전년대비 17.5%증가) ◦ 제3차산업 증가율 8%, 제1차산업 증가율 2.3%기록 ◦ 고정자산 투자액 : 2,450억위안(전년대비 12%증가)으로서 1998년이래 최고 수준 ◦ 상해항구 통관교역규모 : 2,030억달러(전년대비 42.5%증가) ◦ 상해시 수출총액 : 480억달러(전년대비 49.7%증가) ◦ FDI실제유치 금액 : 58억달러(전년대비 29%증가) ◦ 다국적기업 지역본부 56개, 연구개발센터 106개 ◦ 상해항 컨테이너 처리량 : 1,128만TEU(세계 제3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경기과열 논쟁과 2004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경기과열 논쟁과 2004 중국경제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