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인터넷 광고 시장현황
중국 인터넷정보센터(CNNIC)의 통계에 의하면, 2003년 12월말 기준 중국 인터넷 사용자수는 2002년 대비 34.5% 증가한 7,950만명으로 미국 다음 제 2위 인터넷시장 잠재력을 기록하였다. 중국 유명 시장조사회사 Iresearch의 예측에 의하면, 향후 몇 년간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 및 중국경제 발전과 함께 중국의 네티즌 수는 연평균 26% 이상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2005년이면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수는 미국의 네티즌 수와 비슷한 1.23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양자강삼각주 항구자원의 통합운용 동향과 시사점
<목차> 1. 양자강삼각주 항구자원 현황 2. 양자강삼각주 항구자원 통합운용의 필요성 3. 양자강 삼각주 항구자원 통합운영의 원칙 4. 양자강삼각주 항구자원 통합운영의 기본 이념 5.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인터넷 쇼핑 시장동향
인터넷쇼핑이란 네티즌들이 전자상거래 방식을 통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말한다. 중국의 인터넷쇼핑 소비자는 향후 15%이상 증가할 것이며, 2004년 시장규모는 16억위엔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국의 인터넷쇼핑 시장은 외자기업에 개방되지 않고 있으나, 중국의 WTO가입으로 많은 영역이 개방됨에 따라 향후 1, 2년내 시장진입 장벽이 점차 허물어질 것으로 보인다. 잠재력이 큰 중국 인터넷쇼핑 시장의 발전추이가 세계 각 국 기업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부산신항 해외 금융약정 참석 및 중국항만 시찰 (2003.8)
---------------------------목차------------------------ 1. 출장목적 ◦ 부산신항 프로젝트 파이낸싱 행사 참석 - 정부의 사업추진의지 해외 대주단에 홍보 ◦ 홍콩 및 중국내 운영중인 컨테이너터미널 시찰 - CSX WT社 및 Huthchison Port Holdings社 터미널 운영현황 및 중국 주요항만 개발계획 확인 2. 출장기간 및 장소 : 2003. 8. 19 ~ 22(4박5일) / 홍콩, 중국 3. 참석자 : 민자계획과 서기관 류재형 4. 출장중 수행업무 □ 국내 진출 외국기업의 중국 컨테이너터미널 등 시찰 - 허치슨 포트 홀딩스社 : 상해컨테이너터미널(SCT), 얀티안컨테이너터미널(YCT), 홍콩국제터미널 (HIT) 등 - CSX 월드터미널社 : CSX, ADL Logistics Center □ 부산신항 해외대주단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념식 행사 참석 - 일시 및 장소 : 2003. 8. 21(목) / 홍콩 - 초청대상 : CSX, 국내외 대주단(15개사), 부산신항만 및 삼성건설 등 주요 주주사 관계자, 5. 보고서 내용 - 중국 항만정책 이해 -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현황 - 북중국항만의 외국 항만 운영사 진출 현황 총 33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지역무역협정하에서 환율제도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과 한・중・일 FTA에의 시사점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역무역협정 체결사례에서 살펴본 환율제도 1. 유럽경제공동체의 환율제도 가. 유럽경제공동체의 연혁 및 자유무역협정 체결 현황 나. 유럽경제공동체의 환율제도 변화 추이 2. 북미자유무역협정 체약국의 환율제도 가. 북미자유무역협정의 연혁 및 각국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현황 나. 북미자유무역협정 체약국의 환율제도 변화 추이 3. Mercosur 체약국의 환율제도 가. Mercosur의 연혁과 자유무역협정 체결 현황 나. Mercosur 체약국의 환율제도 변화 추이 4. AFTA의 환율제도 가. AFTA의 연혁 및 자유무역협정 체결 현황 나. AFTA의 체약국의 환율제도 변화 추이 5. 지역무역협정과 환율공조체제의 필요성 제3장 지역무역협정하에서 환율제도의 성과 1. 환율변동성과 무역 추이 2. 경제성장 및 경기변동 3. 소결 제4장 무역과 환율변동성: 한-중-일 교역관계를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 1. 무역과 환율변동성 2.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 구축 3. 환율변동성이 장기적으로 한-중-일 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4. 환율변동성이 단기적으로 한-중-일 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제5장 환율제도가 무역에 미치는 효과의 실증분석: 지역무역협정에서 무역창출효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 중력모형 방정식의 설정 2. 실증분석 결과 3. 한-중-일 자유무역지대에 대한 시사점 제6장 결 론 총 14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중국 경제 전망
지난해 중국은 사스의 충격을 받았지만 GDP가 8.6%의 높은 성장세로 2002년 대비 0.6%P 상승하였다. 2004년 중국경제를 10개 면으로 전망해본다. 1. GDP 8.5% 성장 전망 지난해와 올해, 중국정부의 생산 잠재력이 8.5%(1997~2002년 연평균)을 초과한 9%로 나타났다. 중국은 2003년 상승세를 계속하여 약 8.5%의 성장률을 보일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사회생산 공급관계가 개선되고 물가수준이 소폭 상승 지난해 1~10월중 소비물가는 0.8% 상승하여 이번해에는 약 2% 상승하여 지난해보다 1.2%P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3. 경제성장으로 인한 취업률 제고 1998년~2002년 중국의 3차산업은 국민에게 2,658개 일자리를 만들어주었다. 2003년 사스의 영향으로 3차산업의 발전이 장애를 받아 불과 5.4% 상승하였고 2차산업은 6.4%의 상승률을 보였다.. 2004년 3차산업을 통해 500만개 일자리(총 900만개)를 제공할 전망이다. 2004년 노동력 공급상황을 보면 새로 늘어난 노동력이 지난해와 비슷해 약 1,000만명이다. 정부는 2004년 실업률을 4.5%로 예측하고 있다. 4. 외화저축 증가율이 낮고 인민폐가 안정 2003년 10월 외화저축잔액이 4,010억달러로 지난해 말에 비해 1,146억달러 증가하였다. 인민폐평가절상 압력하에서 중국정부는 인민폐환율을 안정시켰다. 2004년 중국의 외자유치가 700억달러를 초과할 전망이며 2004년 말에 이르러 외화저축규모가 2003년(1,000억달러)을 초과한 5,3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5. 소비수요가 상승하고 소비구조가 제고 2004년 사회소비품 소도매 증가율이 2003년에 비해 2%P 상승한 약 10%로 나타날것으로 전망된다. 6. 시장경제하에서 기업투자가 활약 2003년도 중국의 투자열이 높아 1992년과 1993년의 다음을 기록했다. 2004년에는 투자열은 다소 완화되어 사회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2003년보다 6% 낮은 약 1%로 전망된다. 7. 수출입무역이 정상적이고 무역흑자 감소 WTO가입 등 요인으로 수출이 본격적이던 상황을 제지하여 2004년들어 수출이 2003년보다 14% 하락된 4,730억달러로 전망된다. 수입은 4,670억달러로 16% 상승하여 무역흑자가 지난해보다 60억달러 낮아진 60억달러로 전망된다. 8. 세제조정과 경제정책기능 변화 2004년 세제개혁이 가장 빠른 한해로 농촌으로부터 개혁이 시작되어 특산세 등 농민세율을 낮추는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9. 화폐정채과 신용대부 상승 2004년 M2통화량이 18.5% 상승하고 M1이 18% 상승하여 인민폐저축과 대여로 인한 이자가 대체적으로 균형을 이룰것으로 보인다. 10. 개혁 전면실시 중국은 시장경제를 실시하면서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전면적인 개혁을 실시하게 된다. (www.xinhuanet.co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2004년 석유화학제품 호황에도 불구 수입제품은 불티
중국의 석유화학제품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생산능력은 제한되어 있어 2004년 수요공급의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빠른 수요증가로 인해 가격인상도 예상된다. 중국의 석유화학산업은 2003년에 큰 호황을 누렸다. 관련 기업들의 실적도 크게 향상되었고 생산량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렇다면 2004년에는 어떠할 것인가? 전문가들은 2004년의 시장 전망이 밝다고 예상한다. 통계분석에 의하면 세계의 24대 석유화학제품의 매출이 2003년 2/4분기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장이 2005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에서는 석유화학제품의 공급이 부족한 형편이다 . 많은 제품들이 중국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외국에서 수입되어야 한다. 생산능력 증대를 위해 중국은 기술혁신과 조인트벤처로 대형 원유 정제시설과 에틸렌 생산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이렇게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은 2005년이나 되야 완성될 것이며. 그 전에는 생산능력이 크게 증대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어 석유화학제품의 수요와 생산능력간 격차가 2004년에는 더 크게 벌어질 전망이다. 기존의 석유화학제품 생산업체에게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시장수요가 빠르게 증가하여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된 생산능력을 가진 석유화학제품 대기업들이 특히 경쟁력이 있을 것이며 성과도 매우 좋을 것이다. 중국 통상부는 최근 꽤 많은 품목에 대해 반덤핑 조치를 취했는데 , 주로 화학 분야의 제품들이다. 중국의 석유화학기업들이 실적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제공된 셈이다. 미국 , 한국, 일본, 러시아 등에서 수입된 PVC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2003년 9월 29일부터 5년간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되었다(CCR2003, No. 29). 2003년 4월 발표된 임시조치 이후로 국내 시장의 PVC 가격은 꾸준한 증가를 보여 연초에 비해 가격이 50%나 상승했다. 비슷한 예로 한국에서 수입되는 폴리에스터 칩과 폴리에스터 스테이플 파이버에 대해서도 2003년 2월 3일부터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되었다(CCR2003, No. 6).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수입에는 4월 16일부터 임시 반덤핑 조치가 취해졌고(CCR2003, No. 12) 카프로락탐은 6월 6일부터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CCR2003, No. 17). 이외에도 유럽연합에서 수입되는 페놀 (CCR2003, No. 25), 일본, 미국, 유럽에서 수입되는 네오프렌 고무(CCR2003, No. 32), 일본, 한국, 미국에서 수입되는 TDI(CCR2003, No. 34) 등에도 비슷한 반덤핑 조치가 내려졌다. 출처 : China Chemical Reporter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후난성 2004년 경제운용 보수적 목표 설정
중국 후난성정부가 내년 경제운용 목표를 보수적으로 설정하였다. 즉 2003년 경제실적이 성장율(GDP), 공업생산, 수출입, 외국인투자 등 모든 면에서 SARS 후유증이 무색하리만큼 좋은 결과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후난성정부는 2004년 목표를 2003년보다 낮게 잡고 경제운용 최우선순위를 간판 스타기업 육성과 100만명에 달하는 신규노동력 고용창출에 두었다. 비록 지방정부의 경제운용 방향이긴 하지만 후난성 사례에 비춰 올 한해 중국경제 전망이 아주 낙관적이지 만은 아닌 것으로 보여 우리기업 관심이 요망된다. 사실 중국경제가 최근 수년간 한번도 쉬지않고 고속성장을 계속해 왔다는 점에 비춰 그간 누적된 피로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엿보인다. <2004년 후난성 경제운용 목표 (괄호안은 2003년 잠정 실적)> -경제성장율(GDP) 9.0% (9.6%) -2차산업 생산 증가율 11.0% (12.6%)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12.0% (13.7%) -소비재소매총액 증가율 10.5% (10.8%) -수출입액 증가율 9.6% (26.7%) -재정수입 증가율 10.0% (14.3%)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25.0% (44.4%) <정보원: 호남일보. 2004년 1월 24일>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강삼각주 항구개발 증가추세
최근 주강삼각주내 심천항 , 광주 南沙港, 동관虎門港 등 항구개발 및 신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 특히 이중 홍콩과 인접한 심천항의 경우 작년 물동량이 약 1056만 TEU로서 2002년대비 40%의 급성장을 이룩, 2003년 10월에는 전체심천항 물동량이 홍콩 葵涌항 (단일 항구)을 앞지른 바 있다. 현재 심천항은 항구중심의 공업지구 건립한다는 장기적 계획의 일환으로서 심천 서부 后海灣에 15개의 선석의 大鏟항 추가 건설을 추진중이다 . 동 건설은 총 4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체 공사비는 약 인민폐150억원으로 전체공사는 2012년에 완료될 예정이다. 우선1단계 건설로는 5개의 선석을 건립하며, 그 중 3개 선석은 10만톤급, 나머지 2개는 7만톤급의 컨테이너용 선석으로 1단계 총 공사비는 약 인민폐 50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동건은 현재 홍콩 Modern Terminals Limited사와 심천정부가 설립한 大鏟항개발공사가 합작으로 건설에 참여해있다 . 계획대로 동 공정이 진행될 시 大鏟항의 최대 물동 가능량은 70 0만 TEU가 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추후 深圳鹽田港의 화물처리량 1500TEU,深圳서부항구 1 000TEU를 감안할 때, 2012 년경 심천항의 물동량은 총 3200만 TEU에 육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반면 , 홍콩 葵涌港의 경우 9호항 완성으로 1600TEU 물동량에 달한다 하더라도, 심천항의 발전으로 홍콩의 화남권 국제물류 중심으로서 위치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심천大鏟항 건설과 관련 , 중국 중앙정부 및 광동성 정부는 홍콩위치 및 홍콩경제에 대한 여파를 고려하여 작년으로 예정되었던 바 있는 동건의 제 1단계 시공을 연기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지지부진하게 건설계획이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중국내 항구 물동량 수요가 지금과 같은 성장세를 지속한다면 중국정부에서도 심천 大鏟항 건설시공을 허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 현재 심천 大鏟항의1단계 건설은 금년 4월 1일 시작, 2007년 3월 31일 완공계획을 세우고 있다. 주강삼각주 지역 항구 물동량 비교 항구 2003년 물동량(잠정) 추후 발전계획 홍콩葵涌港 1207만(TEU) 1600만 (TEU) 심천鹽田港 525만(TEU) 1500만 (TEU) 심천서부항 (蛇口항포함) 434만 (TEU) 1000만 (TEU) 심천大鏟港 개발중 700만 (TEU) 동관虎門港 개발중 150만 (TEU) 광주南沙港 개발중 _ 자료원 : 명보, 경제일보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 산업 집중도 개선을 통해 경쟁력 강화키로
중국 정부가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요구를 수용해 , 자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위주에서 산업 집중도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로 정책을 수정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외국 자동차업계는 중국 업체와 합작시 보유 지분은 제한하는 대신 중국측 파트너에 기술 이전을 늘리도록 강제하던 과거 규정에 반대해 왔었다 . 그러나 금년 구정 연휴이후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정책안은 자국 투자자의 무질서한 공장설립을 제한하는 등 자동차산업의 통합을 촉진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거의 10년 만에 대폭 수정된 중국의 자동차 산업정책의 목표는 산업 구조조정과 개편을 촉진하고, 효율성 개선을 위한 규모 확대 및 산업 집중도 개선, 그리고 비효율적인 중복 투자를 막기 위한 것이다. 과거 자동차 정책의 핵심은 자국 자동차 생산업체 진흥과 글로벌 자동차 생산업체를 활용한 중국의 고유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 정책 개정안을 검토한 중국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중국 정부가 현행 제도를 고수할 경우 외국 업체들의 투자가 감소할 것을 우려하여 보다 유연한 방향으로 자동차 정책을 개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인 소유권 한계 불변 중국 국영 매체는 이번 자동차 정책 수정안이 2003년 말에 발표될 것으로 보도했지만, 외국 자동차 생산업체를 자극할 수도 있다는 우려로 발표가 늦춰지게 되었다. 과거 안에서 특히 쟁점이 되던 규정 즉 , 2010년까지 중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50%를 중국 업체들이 완전한 지적소유권을 보유한 기술로 채운다는 규정은 철회되었다. 대신 환경 보호, 연료효율성 그리고 산업 집중도 제고를 위한 판매 및 마케팅 구조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외국 자동차 회사가 원하던 모든 것이 반영된 것은 아니다 . 자동차 합작회사의 외국인 지분 보유율을 50% 이내로 제한한 규정은 그대로 남았다. 그렇지만 이 규정은 자동차 수출을 위해 합작 회사를 설립하는 외국 자동차 생산업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수정안은 또한 중국 자동차 시장을 외국 자본이 지배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상장된 자동차 합작회사의 지분 거래와 관련 외국주주 지분의 총 합이 중국측 주주 지분보유율을 초과할 수 없다는 제한조건을 추가하였다 . 이번 수정안은 또한 자동차 산업 확대를 막아오던 관료주의 폐해를 줄이고자 정부 허가사항이던 신 모델 출시와 자동차 생산 능력 확충 결정을 업체에 일임했다 . 그러나 수정안은 소규모 자동차 생산업체의 투자를 막고 신규 업체의 시장진입을 제한한다는 몇몇 조치를 담고 있다 . 또한 자동차 및 자동차 엔진 공장 설립에 대해 최소 투자 요건을 15억 위안(1$=8.28위안)으로 정했다. 이러한 조치는 휴대폰 제조업체와 화학 회사와 같이 현금 유동성이 있는 업체가 자동차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한편 , 중국 정부는 자동차 부품, 플랫폼과 엔진 개발 등 자국 자동차 기술의 연구 개발을 세제혜택 등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이러한 조치는 외국 자동차 업체가 중국에서 핵심부품 개발 등 실질적인 기술 개발을 수행하도록 장려할 것이다 . 이밖에 이번 수정안은 연료 효율성 개선과 관련 2010년까지 자동차 평균 에너지 소비율을 2003년 대비 15%이상 낮추도록 하였으며, 생산지역에 한정해 자동차를 판매토록 한 지역주의 철폐를 위하여 전국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차가 생산지역에 관계없이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거래 조건 조항을 담고 있다. 출처 : Dow Jones International News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