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경제개발구의 발전과 한국경제에 주는 시사점
--------------------------목차------------------------- 1. 서론 2. 중국 경제발전 모형과 경제개발구 1) 외국인직접투자와 경제개발구 2) 지역불균형발전전략과 경제개발구 3. 중국 경제개발구의 발전단계와 구조적 특징 1) 중국 경제개발구의 발전단계 2) 중국 경제개발구의 구조적 특징 4. 중국의 경제개발구 논쟁과 발전추세 1) 경제개발구 존속에 관한 논쟁 2) 경제개발구의 새로운 발전단계 진입 3) 서부대개발과 중구 경제개발구의 새로운 발전 공간 5. 중국 경제개발구와 한국 경제 1) 중국 경제개발구와 한국경제의 관계 2)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6. 결론 총 5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북경 게임시장 호황
중국 북경의 Game Street가 생겨난 것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 이곳은 북경의 TV 게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0년대 당시 북경에는 문화적인 생활이라고 할만한 것이 거의 없었다. 당시 텔레비전을 보유하는 것도 흔하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점차 가정에서 TV를 보유하게 됨에 따라 비디오게임이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업계 선구자로 통하는 Zhang氏는 당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친구와 동업으로 TV 게임매장을 오픈하였다. 당시에는 TV 게임이라는 업종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사업등록을 할 때 전자제품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정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달라진 것이 없었다 . 다양한 TV 게임매장이 생겨났지만, 아직도 전자제품 매장으로 사업등록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Zhang氏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통상부에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받아들여졌고 또한 해적판과 복사본을 단속하기 위한 특별 부서도 설립되었다. 이제는 TV 게임매장을 사업 등록하기가 수월해졌다. 사업운영자들은 신청서와 등록 증명서를 작성하여 산업통상부에 제출하면 되고, 최소 사업자본은 20만위안이면 된다. 보통 매장은 20평방미터 또는 10평방미터 미만의 초소형 매장도 있다. 그러나 매장규모와는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제품을 구할 수 있다. 특히 Sony의 Play Station, Microsoft의 XBOX, Nintendo의 NGC는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제품이다. 또한 대부분의 매장은 디지털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VCD, DVD 플레이어도 같이 판매하고, 게임기 수리와 중고제품 서비스를 제공한다. ▲ 홍콩 , 대만, 일본산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웨어를 사기 위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이곳을 찾는다 . Game Street에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대부분 홍콩, 대만, 일본산 제품으로 광저우를 통해 수입된다. 그 중에서도 일본산 게임기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 중국은 아직 이 부문에 대한 기술을 숙달하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게임콘솔의 가격대는 1,500〜2,000위안이지만, 가격에 비해 수익 마진은 적은 편이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게임기 모델이 등장할 때마다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기 때문에 항상 소비자들을 유인할 수 있다 . 다시 말해 한 가지 게임기가 인기를 얻게 되면, 그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인기도 동반 상승한다. 이곳의 한달 임대료는 5년 전보다 2배 오른 4,000위안이지만, 이 지역의 명성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업체는 거의 없다. ▲ 주요 고객층 - 고소득 성인 지난 20년간 게임을 즐기는 세대가 변화하였다. 오늘날 게임업계의 주요 고객은 고소득 성인층이다 . 이제는 많은 제품이 과거의 주요 대상이었던 학생보다는 성인을 대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고가품일수록 더욱 그렇다. TV 게임은 중국 게임시장에서 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세계 게임용 소프트웨어 중 TV 게임용 소프트웨어는 70%, 컴퓨터 게임용 제품은 3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게이머들은 아직 컴퓨터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는 와중에, 중국 서부지역에서는 PS-2, XBOX, NGC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중국 게임 제조업체들도 PC 플랫폼용 게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중국에서 온라인 게임은 급성장을 거두었으며 , 이제는 그 규모가 9억위안을 상회하고 있다. 더욱이 얼마 전 美스포츠총연맹 (SSGA)은 전자게임을 99번째 스포츠 공식종목으로 선정함에 따라, 게임업계는 앞으로 전망이 더욱 밝아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 : TDC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하이(珠海) 한국타운 들어선다
산업 , 교육, 레저 종합 경제단지로 개발 중국 남방의 주하이 (珠海)시에 한국 공업단지가 들어선다. 주하이 헝친(橫琴) 개발구에 건설예정인 한국 공업단지는 공단뿐만 아니라 교육, 의료, 스포츠, 레저시설을 포함한 종합 경제단지로 개발될 계획이다. 산업단지 개발을 맡은 ㈜배성개발 (사장 김장욱)은 김씨그룹의 자회사로서 경인지역의 30여 개 기업과 300여 개 위성 기업을 가지고 있다. 주하이는 대만기업과 일본기업이 주로 진출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진출은 많지 않은 편이다 . 산업단지가 들어설 헌칭도는 마카오와 해상다리로 연결돼 자동차로 약 5분 거리에 있는 아름다운 휴양섬으로써 공업단지는 부두와 자동차로 1분거리이며 홍콩-마카오-헝친으로 이어지는 해상대교 완공시 동남아시아 시장의 물류기지 및 교통의 심장부로 떠오를 전망이다. 특히 헝친도는 경제특구로써 2년간 법인세 면제와 이후 3년간 50% 절세 및 중국내수 시장 100%를 보장하고 있다. ㈜배성개발 김장욱 사장은 “ 3년전 처음 방문했던 주하이의 발전된 모습에 놀랐다”며 “헝친에는 다리, 도로, 전기 등의 인프라가 완벽하게 구축됐다고 들었다. 이곳의 투자환경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한국 산업단지를 완벽한 시설과 우수한 투자환경의 산업단지로 건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단지가 건설되면 전자 및 IT 산업을 위주로 한 300여 개의 첨단과학기술기업을 조직해 산업단지에 정착시킬 예정이며, 산업 투자 총액은 8~10억달러, 생산액은 200억위안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프로젝트는 5개년 계획으로 진행 될 것이며 1차로 2004년 중반기 30만평(공단 18만평,택지 및 상가 12만평)이 개발될 예정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수출가공구와 보세구의 비교
--------------------목차---------------------- 1. 수출가공구와 보세구 설치 현황 2. 수출가공구와 보세구 현황 <표 1> 수출 가공구 현황 <표 2> 보세구 현황 총 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상해의 중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의 선호도 차이
상해의 중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의 선호도 차이 최근 상해시 상업정보센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상해시의 각종 판매네트워크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명 브랜드 500여개 중, 중국 브랜드가 51.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브랜드는 특히 가전제품과 식품에서 브랜드 파워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컬러TV・에어컨・가스렌지・전기밥솥은 제품별 판매액 10위안에 중국 브랜드가 6개를 차지하고 있으며, DVD는 8개인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중국 브랜드 제품의 판매액이 외국 브랜드 보다 약간 많기는 하지만, 이들은 주로 컬러TV나 냉장고 등 가전 제품을 제외하면 대부분 기술과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은 의류 제품이나, 중국 기업에서만 생산이 가능한 白酒・黃酒・콩제품 등 식품류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비교적 이윤이 낮고 발전 가능성이 제한적인 제품군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반면 외국 브랜드는 핸드폰・디지털카메라 등 고급 기술을 요구하는 전자제품이나, 향수・시계 등 '브랜드'를 중시하는 사치품류, 탄산음료나 스포츠의류 등 젊은 세대를 겨냥하고 있는 제품군들에서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이러한 외국 브랜드의 제품들이 소비구조 변화를 선도하고 있어 중국 기업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Overseas Listing of Chinese Companies -A Study Focusing on Listing on the London Stock Exchange for Chinese Companies [Accounting and Finance Master Thesis No 2002:55]
-------------------목차-------------------- 1. NTRODUCTION 1-1. Background of China's Stock Market 1-2. Reserarch Issue 1-3.Object of the Study 1-4 Scope and Limitions 2. RESERCH MTHODOLOGY 2-1 Reserch Design 2-2 Method for Data Collection 2-3 Research Evaluation 3. THEORETICAL FRAMEWORK 3-1 Introduction 3-2 Basic Concepts 3-3 Theory of Selection A Atock Exchange 3-4 Summary 4.EMPIRICAL FINDINGW AND ANALYSIS 4-1 Practical Study -How to Get Listed on London Stock Exchange 4-2 Analysis- Is London A Considerable Capital Market 4-3 Other Important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Seeking Going Public in London 4-4 Summary of hte Chapter 5. CONCLUSION Total 66 Page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샤먼, 만화경제가 싹튼다
中샤먼, 만화경제가 싹튼다 중국 샤먼지역의 만화경제가 싹트고 있다. 샤먼은 중국 다른 지역에 비해 타이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인데, 최근 타이완으로부터 수입된 만화를 주종으로 음료수판매를 겸업하면서 점포내에서 만화를 대여해주는 漫畵王飮品屋체인이 독자들로부터 인기를 끌며 성업중에 있다. 샤먼의 만화 팬들은 중고생등 청소년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성인독자도 적지 않으며 일부 열성팬들은 만화체인점이 보유하고 있는 1만권 정도의 장서를 이미 독파하고 신간을 고대하고 있을 정도이다. 업계 종사자에 의하면 70년대 중반부터 TV를 보면서 큰 세대들은 만화에 열광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들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만화와 관련된 산업이 인터넷이후 차세대 유망산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샤먼의 외국도서판매점에서 팔리고 있는 만화는 타이완 수입만화가 대부분으로 작년말 4000권정도가 수입되어 권당 40~70위앤 사이의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만화책의 판매실적보다는 대여점이 성업중에 있으나, 만화수입회사의 노력으로 3월부터는 권당 20위앤 정도의 가격대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화가 대중으로부터 인기를 끌자 샤먼대 미대 졸업생을 중심으로 아마츄어 애호가들이 만화클럽을 만들어 만화를 제작하고 출판사들과 공동으로 만화체인점등에서 정기적인 전시회를 개최하는등 초보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샤먼지역의 신문, 월간지에도 이들의 작품이 게재되기 시작하고 있다. 샤먼의 만화산업 종사자들은 현재는 너무 빈약하지만 장래에 연간 7000종 이상의 만화를 출간하면서 2500억앤의 판매실적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만화산업을 따라잡을 현실을 꿈꾸며 막 싹트기 시작하는 만화산업에 대해 많은 기대를 보이고 있다. (정보원 ; 샤먼상보 기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장기 대중국 무역전망
중장기 대중국 무역전망 바로가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국 서부지역간 본격적인 경제협력 단계로[보도자료]
한-중국 서부지역간 본격적인 경제협력 단계로 -내몽구자치구 무역투자상담회 개최- <참고> 1. 내몽구자치구 무역투자상담회 개최 계획 1부 2. 한국-내몽고간 교역 투자 현황 1부 3. 내몽구 자치구 개황 1부 총 6쪽 -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3년 對中 수출 꼼꼼히 살펴보니
□ 중국시장 점유율 3위 유지 □ 올해 '빅2' 부상 가능성도 □ 광학기기, 차량 및 부품 등 수출 폭증세 □ 동부지역 '상위권', 중서부선 '중하위권' □ 지역별 세분화 전략 세워야 2003년 對中 수출 꼼꼼히 살펴보니 바로가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