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중국 노동인구 평균 연령 38.4세
2020년 12월 8일, 중국 중앙재경대학 인적자본과 노동경제 연구센터(中央 大 人力 本 究中心)가 발표한 「중국 인력자본 보고서(中 人力 本 告) 2020」에 따르면, 중국 노동인구(학생 포함) 평균 연령은 1985년 32.2세에서 2018년 38.4세로 약 6.2세 증가함. - 농촌 노동인구 평균 연령은 1985년 31.85세에서 2018년 38.42세로 증가하였고, 도시는 1985년 33.44세에서 2018년 38.37세로 늘어남. 노동인구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성은 헤이룽장, 랴오닝, 지린, 충칭, 후난 순으로 동북 3성이 상위 3위를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성은 시짱(티베트), 구이저우, 하이난, 신장, 광둥 순으로 조사됨. - 노동인구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헤이룽장은 40.19세, 가장 낮은 시짱은 35.37세로 4.82세 차이가 남. 전국 노동인구의 평균 교육 이수 기간은 1985년 6년 2개월에서 2018년 10년 4개월로 대폭 늘어남. - 도시 노동인구는 8년 2개월에서 11년 3개월로, 농촌 노동인구는 5년 6개월에서 9년으로 증가함. 평균 교육수준이 높은 상위 5개 지역은 베이징, 상하이, 톈진, 장쑤, 랴오닝이며, 평균 교육수준이 낮은 하위 5개 지역은 시짱, 칭하이, 윈난, 구이저우, 간쑤 순임. - 2018년 노동인구 가운데 고등교육 이상 이수한 인구 비중은 39.8%이며, 이 중 도시 노동인구는 52.7%, 농촌 노동인구는 20.7%임. - 전문대학 이상 학력자 노동인구 비중은 19.2%로, 도시 28.6%, 농촌 5.4%로 조사됨. 1985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의 인적 자본은 연평균 증가율은 7.8%로 11.2배 증가하였고, 도시는 10.3%이며, 농촌은 3.0% 증가함. - 2009년부터 2018년 동안 인적 자본 연평균 증가율은 9%임. 2018년 중국의 인적 자본 총량은 당해 가치로 2,614조 위안이며, 이 중 도시는 2,288조 위안, 농촌은 326조 위안으로 각각 인적 자본 총액의 87.5%, 12.5%의 비중을 차지함. 성·시별로 살펴보면, 2018년 인적 자본 총량 상위 5대 지역은 산둥, 광둥, 허난, 장쑤, 허베이이고, 1인 평균 인적 자본이 높은 상위 5대 지역은 베이징, 상하이, 톈진, 저장, 안후이 순임. <출처> 2. “ 究 告:中 力人口平均年 到38.4 ” 中 新 . 2020. 12. 08. 3. 中央 大 人力 本 究中心(2020). 「中 人力 本 告202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0년 중국 미디어 10대 화제어
2020년 12월 11일, 국가언어자원 모니터링 연구센터( 家 言 源 究中心)는 '2020년 중국 미디어 10대 화제어'를 발표함. - 이번에 발표된 10대 미디어 화제어는 신관폐렴(코로나19), 방역, 업무 복귀, 민법전, 온라인 수업, 쌍순환,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 항미원조 70주년, 6개 안정·6개 보장, 창어 5호임. ▣ 신관폐렴(코로나19, 新冠肺炎) 2019년 말, 원인 불명의 바이러스성 폐렴이 발생하였고, 2020년 1월 9일 바이러스성 폐렴 병원체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잠정 판정되면서 미디어에 '신관폐렴'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 시작함. 이후, 2월 11일 세계보건기구는 이를 ‘COVID-19(코로나 19)’로 명명함. ▣ 방역(抗疫) 코로나19 출현 후 확산세가 꺾이지 않자 전국적 방역작업이 시작됨. 당과 정부는 포괄적이고 엄격한 예방 조치를 취하고, 의료진들은 일선에서 총력을 다함. ▣ 업무 복귀( 工 ) 2020년 2월 3일, 중국 정부는 방역 상시화 전제하에 각 생산계의 업무복귀를 명령하고 지원을 시작함. 코로나19 발생 지역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업무가 재개됨에 따라 중국경제는 점차 회복세를 보임. ▣ 민법전(民法典) 2020년 5월 28일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全 人民代表大 ) 제3차 전체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민법전」이 통과되었으며, 2021년 1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됨. 이는 신중국 성립 이래 최초 '법전(法典)'이라 명명된 법률로, 중국 법전 편찬 입법의 효시이며, 국가 통치체계 및 통치력 현대화와 신시대 개혁개방 및 사회주의 현대화건설 추진에 있어 큰 의의를 지님. ▣ 온라인 수업( ) 2020년 1월 말, 교육부는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20년 봄학기 개학 연기 지침을 내림. 양질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각계 교육 당국이 긴급 동원돼 온라인 수업을 진행. 온라인 수업은 코로나시대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 자리를 잡음. ▣ 쌍순환( 循 ) 2020년 5월 14일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쌍순환 경제체계’ 신발전 구도 구축이 제기됨. ‘쌍순환’은 내수 경제 활성화를 주체로 한 국내외 쌍순환 상호발전을 일컬음. 19기 5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공중앙 국민경제사회발전 제14차 5개년 규획과 2035년 장기목표에 대한 건의(中共中央 于制定 民 和社 展第十四 五年 和二 三五年 景目 的建 )>가 통과됨에 따라 ‘쌍순환’은 중장기 국가발전 전략으로 채택됨. ▣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人 生健康共同 ) 시진핑 국가주석은 2020년 3월 21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통해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구축을 처음 언급함. 시주석은 5월 18일 제73차 세계보건기구 (WHO) 개막식에서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를 공식 제창 후 “각국 인민의 생명과 건강을 함께 지키고 인류 공동의 지구를 보호하며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를 구축하자”라고 호소함. ▣ 항미원조 70주년(抗美援朝70周年) 2020년은 중국 인민지원군 항미원조 70주년으로, 70년 전 평화를 지키고 침략에 맞서기 위해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항미원조와 국가 보위라는 역사적 결정을 내렸었다고 언급함. ▣ 6개 안정·6개 보장(六 六保) 6개 안정은 취업, 금융, 대외무역, 외자, 투자, 시장의 안정 일컫고, 6개 보장은 주민 취업, 기초 민생, 시장 주체, 식량·에너지 안보, 산업·공급 사슬 안정, 기층 운영 보장을 의미함. 6개 안정·6개 보장은 갑작스러운 코로나19로 인한 극복방안으로, 중국 정부는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에 총력을 다함. ▣ 창어 5호(嫦娥五 ) 2020년 11월 24일 창어 5호 탐사선은 창정 5호에 실려 발사된 후, 12월 1일 달 표면에 성공적으로 착륙했으며, 12월 2일 달 표면 샘플 채취 후 12월 7일 성공적으로 귀환함. - 2003년 시작된 중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인 창어계획은 궤도 탐사(창어 1호, 2호), 달 착륙(창어 3호 4호), 귀환(창어 5호)을 목표로 함. 창어 5호의 성공적 귀환은 44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운 달 표본을 확보한 것으로, 미래 달 탐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点:2020年度中 媒 十大流行 布” 育部. 2020. 12. 1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20년 12월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0.4% 하락했고, 전월 대비 1.1% 상승함. - 2020년 전체 PPI는 전년 대비 1.8% 하락함. 공업생산자매입가격은 2020년 12월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았고, 2020년 전체로는 전년 대비 2.3% 하락함. - 중국의 공업생산자가격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생산자매입가격지수를 포함 2020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 중 원자재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했고, 식품 가격은 0.9% 상승했음. - 이 밖에 의류 및 내구소비재와 생활용품은 각각 1.8%, 1.4% 하락 <출처: “2020年12月 居民消 价格同比上 0.2%” 家 局. 2021. 1. 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021년 1월 11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0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함. 2020년 12월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했으며, 전월대비 0.7% 상승함. - 전년 동기 대비 도시주민 소비자물가는 0.2%, 농촌 0.2%, 식료품 가격은 1.2%, 비식품 가격은 전년과 비슷했으며, 소비재 0.2%, 서비스 가격은 0.3% 올랐음. 2020년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대비 2.5% 상승함. 품목별 소비자물가를 살펴보면 2020년 12월 식품·담배·술의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1.4% 상승했음. - 그중, 신선식품과 과일 가격은 6.5%, 수산물과 육류는 각각 1.7%, 0.6% 상승 - 반면, 달걀 가격은 10.8% 하락함. 이밖에 의료보건, 교육·문화·오락, 기타는 각각 1.2%, 0.9%, 2.2% 상승했고, 생활용품은 가격 변화가 없었으며, 교통·통신, 주거, 의류는 각각 3.1%, 0.6%, 0.1% 하락했음. <출처: “2020年12月 工 生 者出 价格同比下降0.4%” 家 局. 2021. 1. 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020년 12월 31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0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함. -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 PMI)는 기업의 신규주문, 생산, 출하, 재고, 고용상태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로 지수가 50% 이상이면 업계 경기의 확장,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함. 2020년 12월 중국 제조업 PMI는 51.9%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으나, 지난 10개월간 꾸준히 50% 이상을 기록하며 제조업 회복세를 보임. 기업 규모별로는 2020년 12월 대기업의 PMI는 52.7%로 전월 대비 0.3%p 하락, 중견기업은 52.7%로 0.7%p 상승, 중소기업은 48.8%로 1.3%p 하락함. 또한, 5개 구성 항목 중 생산, 신규주문은 경기 확장, 재고, 고용, 출하는 경기 수축으로 나타남. 2020년 12월 중국의 비제조업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55.7%로 3월 이후 지속해서 50% 이상을 기록함. 업종별로는 건축업이 60.7%로 전월 대비 0.2%p 상승했고, 서비스업 54.8%, 항공운송, 우정업, 통신업, 금융업 등은 60% 이상의 경기 확장세를 보였으나, 요식업과 부동산업, 친환경업은 50% 이하로 나타남. <출처: “2020年12月中 采 理指 行情 ” 家 局. 2020. 12. 3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국내총생산(GDP)
2021년 1월 19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0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을 발표함. 2020년 중국의 GDP 규모는 101조 5,98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함. -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각각 3%, 2.6%, 2.1%임. 업종별 전년 대비 증가율은 숙박·요식업이 –13.1%로 가장 많이 감소한 반면, IT·SW·정보통신업은 16.9% 증가함. 2020년 분기별 GDP 성장률은 코로나19가 처음 확 산하여 봉쇄조치에 들어갔던 1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를 기록했으나, 2분기 3.2%, 3분기 4.9%, 4분기 6.5%로 회복세를 보임. <출처: “2020年四季度和全年 生 (GDP)初步核算 果” 家 局. 2021. 1. 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0년 중국인 영양 섭취와 질환 현황
2020년 12월 23일, 국무원신문판공실( 院新 公室)은 기자회견을 통해 「2020년 중국인 영양과 만성질환 상태보고서(中 居民 慢性病 告)」를 발표함. -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은 단백질·지방·탄수화물 등 3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있고, 양질의 단백질 섭취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중국 평균 신장은 꾸준히 높아져 18~44세 남성과 여성의 평균 신장은 각각 169.7cm와 158.0cm로, 2015년보다 각각 1.2cm, 0.8cm 높아짐. 아동·청소년의 성장발육도 개선되어 6~17세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연령별 신장은 평균 각각 1.6cm, 1cm 커진 것으로 조사됨. - 6세 이하 아동의 성장지연율은 7% 이하로 감소하였고, 저체중률도 5% 이하로 감소하며 2020년 국가계획 목표를 달성함. - 특히, 농촌 지역 6세 이하 아동의 성장지연율이 2015년 11.3%에서 5.8%로 감소하였고, 6~17세 아동·청소년도 4.7%에서 2.2%로 감소함. 최근 과체중과 비만이 증가하면서 만성질환도 계속 증가하고 있음. - 2020년 18세 이상 남성과 여성의 평균 체중은 각각 69.6㎏, 59㎏으로 2015년 대비 3.4㎏, 1.7㎏ 증가함. - 도시와 농촌 연령별 비만율은 지속해서 상승하여, 18세 이상 과체중 비율은 34.3%, 비만율은 16.4%이며, 6~17세 아동·청소년의 과체중 비율과 비만율은 각각 11.1%, 7.9%임, 6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 비율과 비만율은 각각 6.8%와 3.6%로 조사됨. 충분한 육류 섭취로 지방에너지 공급 비율이 증가하여 34.6%에 이르렀으며, 농촌의 경우 처음으로 권장 상한선인 30%를 초과함. - 그러나, 여전히 과일, 콩 제품, 유제품 섭취량이 적고, 비타민 A, 칼슘 등 영양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18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7.5%, 당뇨 유병률 11.9%,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8.2%이며,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13.6%로 2015년 대비 모두 증가함. 중국인 암 발생률은 10만 명당 293.9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남성과 여성 암 발병률 1위에 각각 폐암과 유방암이 차지함. - 최근 중국인의 건강 인식강화로 간접흡연 노출률은 72.4%에서 68.1%로 감소하였으며, 상습 음주율은 25.5%에서 19.9%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출처: “ 《中 居民 慢性病 告(2020年)》看健康挑 ” 行疾控. 2020. 12. 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여가활동과 특징
2020년 12월 9일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略 究院)과 관광연구센터(旅游 究中心), 사회과학문헌출판사(社 科 文 出版社)는 공동으로 「2019~2020년 중국 여가 발전 보고서(中 休 展 告)」를 발표함. 최근 중국인의 여가에 관한 관심이 날로 높아졌으며, 온라인 여가활동도 큰 부분을 차지함. - 과학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여가활동은 더욱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으며 여가 소비 규모도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음. 2019~2020년 중국인의 하루 평균 여가 시간은 3.6시간으로 12.5% 증가했으나, 유럽권 국가인 평균 5시간에 크게 못 미침. 지역별 평균 여가 시간은 4선 도시가 3.8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1선 도시가 3.4시간, 2선 도시가 3.6시간, 3선 도시가 3.3시간으로 가장 짧았음. 2019~2020년 중국인 연평균 여가 소비액은 5,647위안으로 집계됨. - 여가활동에 지출한 소비금액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1,000위안 이하 44.4%, 1,001~3,000위안 22.7%, 3,001~5,000위안 10%, 5,001~10,000위안 11.1%, 10,000위안 이상 11.8%로 조사됨. 2019년 중국의 관광객 수는 60억 6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하였고, 해외여행객 수는 1만 5,46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함. - 2019년 중국 입국 관광객 수는 1억 4,531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하였고, 연간 관광 총수입은 6조 6,300만 위안으로 11.1% 증가함. - 반면, 2020년은 코로나19 방역 정책들로 관광객이 매우 감소했고, 근교 여행이 대부분을 차지함. 2019년 자택에서 보내는 평균 여가 시간은 5.77시간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3.9% 증가한 7.15시간으로 조사됨. 온라인 여가활동은 점차 중요한 여가활동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음. - 2020년 중국인 하 루 평균 온라인 여가활동 시간은 4.9시간이며, 그중 응답자 27.3%가 하루 1~3시간 온라인 여가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고 답함. - 또한, 응답자 25 .6%는 매일 3~5시간, 16.2%는 5~8시간 온라인 여가활동을 즐긴다고 응답함. 연령대가 낮아질 수록 온라인 여가활동 시간이 길어짐. - 1960~1980년 생은 평균 1시간~3시간, 1990년생은 3~5시간, 2000년생은 5~8시간으로 조사됨. 온라인 여가활동으로는 주로 소셜 커뮤니티(55.7%), 드라마·영화 시청(54.4%), 동영상 시청(50.7%), 음악 감상(38.4%), 온라인 게임(38.4%), 온라인 쇼핑(36 .5%) 등을 한다고 응답함. 온라인 이 용 시간과 성비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학력이 낮을수록 많은 시간을 온라인 이용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中 社 科 院 略 究院, 中 社 科 院旅游 究中心, 社 科 文 出版社 合(2020), 「中 民休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0년 하이구이 취업・창업 현황
2021년 1월 9일 중국 구인·구직 정보 플랫폼 즈롄자오핀(智 招聘)은 「2020 중국 하이구이 취업 및 창업 조사보고서(2020中 海 就 告)」를 발표하여 유학생들의 귀국 추세와 해외유학파 취업·창업 현황을 분석했음. - 하이구이(海 )는 해외에서 유학 또는 일을 하고 귀국한 자를 일컬음. 2020년 중국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귀국 유학생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임. - 2019년 출국 유학생은 총 70만 3,500명으로 전년보다 4만 1,400명 늘어 6.25% 증가했고, - 2019년 귀국 유학생은 총 58만 300명으로 전년 대비 6만 900명 증가하여 11.73% 증가함. 1978년부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전체 중국인 유학생 가운데 귀국한 유학생 비중은 86.28%임. 하이구이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8년 4.3%, 2019년 5.3%이었으나, 2020년 33.9%로 급증함. - 코로나19와 국제관계 변화 등 각종 요인으로 유학생의 귀국 현상이 두드러짐. -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선언 후 귀국하여 취업하고자 하는 유학생이 195% 급등함. 중국 주요 10개 도시의 하이구이 유입률은 64.2%이며, 그중 베이징 16.4%, 상하이 15.8%로 전체의 30% 차지함. - 청두, 난징, 쑤저우, 톈진, 우한 등은 성장 잠재력과 인재 유입정책에 힘입어 해외 인재 유치 10위권 도시에 진입함. 하이구이의 희망 월급은 10,000~15,000위안 구간이 23%로 가장 많았고, 8,000~10,000위안 구간이 22.2%로 나타남. - 중국 전체 구직자의 희망 월급은 4,000~6,000위안이 31%, 6,000~8,000위안이 25%로 하이구이의 희망 월급이 더 높음. 2020년 하이구이의 학력분포는 석사학위 소지자가 72.4%로 전년 대비 1.7%p 증가함. - 박사학위 소지자는 1.7%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학사학위 소지자는 25.9%로 1.9%p 감소함. 하이구이의 업종별 구직 선호도는 IT·통신·전자·인터넷이 22.1%로 가장 높았고, 생산·가공·제조업 12.3%, 무역·도매·소매·임대업 10.5% 순으로 조사됨. <출처: “2020海 就 告 布” 楚 . 2021. 1. 11.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0년 중국 주민 소득과 소비 현황
▣ 1인당 가처분소득 중국 통계국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인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년 대비 4.7% 증가한 3만 2,189위안이며, 실질증가율은 2.1%임. - 도시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 3,834위안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고, 농촌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1만 7,131위안으로 3.8% 증가했음. 2020년 1인당 가처분소득의 중앙값은 2만 7,540위안으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고, 이는 전국 평균 가처분소득의 85.6%에 해당함. 2020년 주민 1인당 평균 월급성수입은 1만 7,917위안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고, 1인당 평균 경영순수입은 5,307위안으로 1.1% 증가, 1인당 평균 재산순수입은 2,791위안으로 6.6% 증가, 1인당 평균 전이성수입은 6,173위안으로 전년 대비 8.7% 증가하였음. 수입원별 비중은 월급성수입 55.7%, 전이성수입 19.2%, 경영순수입 16.5%, 재산순수입 8.7% 순으로 나타남. ▣ 1인당 소비지출 2020년 중국 주민 1인당 소비지출 규모는 2만 2,210위안으로 전년 대비 4% 감소함. - 도시 주민 1인당 소비지출액은 2만 7,007위안으로 6% 감소했고, 농촌 주민 1인당 소비지출액은 2.9% 증가한 1만 3,713위안으로 0.1% 감소함. 소비지출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료품·담배·술의 1인당 평균 소비지출액은 6,397위안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고, 전체 소비지출의 30.2% 비중을 차지함. -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담배·술 30.2%, 주거 24.6%, 교통·통신 13%, 교육 및 문화활동 9.6%, 의료보건 8.7% 순으로 나타남. 2020년 중국 주민의 지출항목 증감률은 식료품·담배·술과 주거 지출만 전년 대비 증가했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했음. - 2020년 가장 많이 감소한 지출은 교육 및 문화 활동이 2,762위안으로 전년 대비 19.1% 감소했음. <출처: “2020年居民收入和消 支出情 ” 家 局. 2021. 1. 1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