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NA'S ACCESSION TO THE WTO:THE CASE OF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Master Thesis No 2001:57]
----------------Abstract--------------------- In this thesis, we examine the impact of a Chinese WTO membership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dustry, and what opportunities this might imply to a foreign MNC . To do this we take an external perspective of this exogenous force with the specific case company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company's strategic decision to do a greenfield investment in the market. The combination of three identified theoretical frameworks complete the scenario process. The theories of `Web of interdependencies', transition theory and the institutions network model complete a dynamic perspective which provides us with a framework where the impact from an external force on our case company can be seen. Scenario planning enables the decision makers to view the strategic decision in the light of each scenario. The logic of our scenarios builds dichotomies, which display the extremes of China and capture the country's complexity in a dynamic environment predicting the pathways. We have created four scenarios from this framework, which represent specific opportunities and threats to the MNC by searching for factors that ultimately determine the course of the future.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휴대폰 등 4개 업종 한・중 기술경쟁력 분석
휴대폰 등 4개 업종 한-중 기술경쟁력 분석 -휴대폰 2년, TFT-LCD 8년, 석유화학 7년, 냉동공조 5년 격차 업종발 한-중 기술경쟁력 분석결과 요약 휴대폰 1) 세계 휴대폰 산업의 현황과 전망 2) 중국 이동통신 산업의 현황 3) 한-중 경쟁력 분석 4) 대응방안 디스플레이 1) 세계 평판디스플레이 산업의 현황과 전망 2)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현황 3) 한-중 경쟁력 분석 4) 대응방안 석유화학 1) 세계 석유화학산업의 현황과 전망 2)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현황 3) 한-중 경쟁력 분석 4) 대응방안 냉동공조 1) 세계 냉동공조산업의 현황과 전망 2) 중국 냉동공조산업의 현황 3) 한-중 경쟁력 분석 4) 대응방안 총 1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섬유.의류산업 발전 전망
2003년 중국 섬유 의류산업은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산업 전반에 있어서 수출, 생산, 투자가 안정적인 증가를 했고 산업효율도 상승했다. 다만 국제적으로 원료가격이 상승한 뒤 떨어질 기미가 없는데다 투자 과열로 인해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금년부터는 수출 환급율이 인하된데다 해외시장의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해 대내외적인 환경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2004년 섬유산업 경기성장지수는 작년보다는 다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초에 비교적 큰 하락 폭을 보이다가 안정적인 수준(120포인트 이상)을 유지할 전망이다. 의류 산업 경기성장지수는 소폭의 하락세가 있겠으나 역시 일반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4분기에는 비교적 큰 하락세가 예상되며 3/4분기에 회복세를 맞아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준(100포인트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4년 상반기 섬유산업은 3,200억위앤 이상의 총판매를 보여 10% 가량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에는 누계 기준 6,500억위앤을 넘어서는 판매를 기록해 10% 가량의 성장률을 기록하지만 전년에 비교해볼 때 10% 포인트 성장 하락세가 예상된다. 의류산업의 경우 상반기 1,380억위앤대, 하반기 누계 기준으로는 2,700억위앤의 판매를 기록해 작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2004년 중국내외 면화시장 추세는 비교적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면화 예상 생산량은 500만 톤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나, 소비량은 6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다 재고 수량마저 한계가 있어 면화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지 못한다면 중국내 면화 부족을 수입으로 보충하게 될 것이므로 면방직 제품의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섬유산업이 국제적인 무역마찰 증가와 기술 무역장벽의 증가라는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크며, 수출세 환급율 조정으로 인해 의류산업 전반에 4% 가량의 수출원가 상승 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원: 上海證券報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경제 관전포인트 -3 Key words [Weekly Focus 2004년 1월 26일]
-------------------목차-------------------- 1) 디플레 탈출과 인플레 압력 2) 위완화 평가절상 3) 수출둔화 4) 결론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세탁기시장 현황 및 전망
1990년대부터 중국 세탁기시장은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여 왔다. 2003년 세탁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7.1% 증가한 1,700만대에 달했으며, 판매량은 1,450만대에 달했다. 2004년 중국경제가 8.5% 내외의 고성장률 유지, 소비자가격지수 1% 내외 상승 등을 감안하면, 중국내 세탁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5-6% 증가한 1,800만대, 판매량은 전년대비 3-4% 증가한 1,5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파일보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국 문화산업의 동북아지역 진출활성화 및 협력방안 연구
--------------------목차--------------------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 연구 목적 및 구성 5 Ⅱ. 동북 아지역 문화산 업정책과 시장 현황 9 1. 한・중・일 문화산업 지원정책 9 1) 한국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9 2) 중국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14 3) 일본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20 4) 동북아 문화산업 지원정책 비교・분석 22 2 . 동북아 문화산업시장 현황 28 1) 동북아 문화산업시장의 변수들 28 2) 동북아 문화산업시장 현황 3 1 Ⅲ. 한국 문화 산업의 동북 아지역 진출형 태와 시사점 45 1. 한국 문화산업의 동북아지역 진출 필요성 45 2 . 동북아시장 매력도와 해외진출 형태별 특성 분석 47 1) 동북아시장 산업별 매력도 분석: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47 2) 해외진출 형태별 특성 분석 52 3 . 산업부문별・진출형태별 사례 연구 55 1) 영화부문 55 2) 애니메이션부문 57 3) 드라마(방송)부문 62 4) 음반/ 공연부문 66 5) 게임부문(온라인게임을 중심으로) 70 4 . 동북아지역 진출 형태별 시사점 72 Ⅳ. 동북 아 문화산업 협력 형태 도출 77 1. 동북아 문화산업 협력 필요성과 제약요소 77 1) 동북아 문화산업 협력의 필요성 77 2) 동북아 문화산업협력의 제약요소 79 2 . EU의 문화산업 협력정책: 사례 연구 8 1 1) 유럽영상지원기금(Eurimages ) 83 2) 미디어 프로그램(MEDIA Prog ramme ) 90 3) 영화 공동제작에 관한 유럽 의정서 92 3 . EU 문화산업 협력정책 평가와 시사점 95 4 . 동북아 문화산업 협력형태 도출 97 Ⅴ. 동북 아지역 진출활성화 및 협력방안 103 1. 주체별 접근방향 103 1) 정부 103 2) 업계 104 3) NGO 105 2 . 동북아시장 진출 지원방안 106 3 . 동북아 문화산업 협력방안 109 1) 추진형태별 협력방안 109 2) 분야별 협력 프로그램 118 Ⅵ . 요약 및 결론 13 1 총 139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다롄으로 밀려드는 외국인 투자
- 핵심 부품 수출 절호의 기회 - 다롄(大連)을 향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잦아지고 있다. 동북3성 개발에서 외국인 투자가 중대한 역할을 차지하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중국 정부의 개발 정책과, 해외 진출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려는 외국 기업들의 전략이 서로 맞아 떨어져, 최근 다롄 소재 외국 기업의 투자 확대와 신규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2004년 2월 11일, 다롄에서는 INI스틸과 다롄시 정부, 다롄 경제기술개발구 관리위원회 책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협의서 조인식이 진행되었다. INI 스틸은 다롄 경제기술개발구에 연간 생산량 80만톤 규모의 H형강 압연 공장을 단독 투자할 계획이며, 금년 상반기 공장 건설을 시작하여 2005년 하반기에 준공한 후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INI 스틸은 제 1기 공장 건설에 1억5천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INI 스틸은 2010년 중국 H형강 연간 수요가 1천만톤에 달하는 반면 510만톤의 공급 부족 현상이 생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중대형 H형강 및 조선용 형강을 고급강 위주로 생산 판매할 계획이다. STX는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다롄에 조선소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 2월 12일 샤더런(夏德仁) 다롄시장 등 시정부 관계자들을 마주한 자리에서 STX측은 5만톤급 이하의 중소형 선박 생산기지 설립을 검토하는 단계에서 다롄이 적격지임을 강조한 바 있다. STX는 1기 공사에 1억달러를 투자하여 조선소를 설립할 계획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기업의 다롄 진출은 다롄을 대표하는 조선산업 발전과 우리 업계의 해외 진출을 통한 경쟁력 확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우리 부품 및 기자재 업계의 對中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oodyear는 다롄 투자기업인 大連固特異輪胎有限公司에 대한 투자 확대를 위해 제 2기 확장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大連固特異輪胎有限公司는 다롄 진출 미국 기업 중 가장 큰 기업으로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국 자동차 시장 공략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인 것으로 풀이된다. 2003년 다롄 경제기술개발구에 신규 투자한 131개 항목 가운데 미국 및 유럽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하나, 투자 금액은 전년대비 100% 이상 증가한 2억달러에 달해, 이들 국가의 투자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년 들어 생산을 시작한 Thyssenkruppag과 현재 시공을 진행중인 Andreas Meier와 Libherr 등 다롄을 찾는 외국 기업의 발걸음이 잦아지고 있다. 다롄시 통계국에 의하면, 2003년 다롄시 외자 유치액은 실행 기준 전년대비 51.6% 증가한 22억1천1백만달러에 달했고, 증자액 1천만달러 이상인 업체가 14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천만달러 규모 이상의 투자건수가 118건, 5천만달러 규모 이상의 투자건수는 14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 업계는 중국 현지 진출을 통해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보다 우수한 제품을 바탕으로 세계 유수 업계와 경쟁해야 한다. 또한, 부품 수출업계에서도 현지 진출 우리 기업은 물론 외국 기업을 대상으로 부품을 납품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정보원 : 大連日報 * 작성자 : KOTRA 大連韓國貿易館 허성무 (goo2cu@kotra.or.kr)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꽝조우에 초대형 자동차용품전문매장 오픈
- 기존의 카센터 중심의 물류에서 탈피, 대형화 주도 - 자동차 서비스 산업 확대일로 중국의 자동차용품 전문판매상인 AEC 사에서는 최근 일본 최대의 자동차용품 제조판매업체인 CARMATE사와 PRO사의 총판권을 획득하여 중국 화남경제권에서 가장 큰 면적인 2500㎡규모의 초대형 자동차용품 전문매장을 꽝조우에 오픈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 이 곳 AEC 자동차용품 전문매장에서는 3만 여종의 자동차부품, 악세사리, 세차 관련 제품 등 자동차에 관련된 모든 제품을 망라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전문정비, 자동세차, 음향시청 공간 등을 확보하여 소비자들에게 자동차에 관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동 사에 따르면, 이 번을 기회로 선진적인 체인점 경영모델을 도입하고, 앞으로 이보다 더 큰 15,000㎡에 달하는 꽝조우 東圃점과 4,0000㎡ 규모의 션젼 僑香점을 개설할 예정이며, 나아가서는 중국 전역에 수퍼 체인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꽝조우시의 자동차용품 시장은 恒福路, 永福路, 下塘西路 등 지역에 카센타 형태의 소형의 매장들이 대거 집중되어 있는 데, 이 들 소매상들은 구멍가게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취급 품목들도 품질이 조악하며 서비스도 믿을 수 없는 상점이 많아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낮았다. 일본 자동차용품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PRO사와 CARMATE사는 모두 2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PRO사의 경우, 일본에 800개 이상의 자동차 인테리어 체인점을 보유하고 있다. CARMATE는 도요다 등 일본 일류의 자동차 업체에 자동차용품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RO사의 최고 경영자에 의하면, 현재 중국의 자동차 인테리어 산업의 경우, 아직 미성숙 단계로 세차, 광태 등 일부 단순한 서비스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성장 가능성은 무한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PRO사에서는 중국에서 자동차인테리어 전문학교를 설립하여 일본의 전문가를 초빙, 자동차 인테리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CARMATE의 중국지역 담당 이사장인 原子武道씨는 중국 자동차 업체와 합작투자하여 완성차 생산공장에 OEM 부품 공급을 희망하며 기술이전도 고려하는 등 중국 자동차용품 시장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WTO 가입 후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 왔는 데, 완성차제품의 판매 이윤은 갈수록 떨어지면서, 업체들은 애프터 마켓인 자동차 서비스 산업에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재 중국의 자동차 서비스 산업은 막 시작된 단계로서, 매년 40%의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 속도대로 간다면, 2010년에는 1억 위앤 규모의 거대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년에 꽝조우시 정부당국에서 꽝조우를 중국 최대의 자동차 부품 생산단지로 육성하고 이를 위한 외국기업의 투자진출을 적극 유도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한 이후 이 곳 진출을 검토하는 업체들이 많아지고 있다. 꽝조우에는 혼다자동차 공장이 이미 기존의 공장시설이 모자라 인근 지역에 대규모 확대계획을 갖고 있으며, 닛산의 경우도 현재의 낙후된 시설을 대폭 현대화하여 확장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들에 의하면, 중국의 자동차 서비스 산업의 현 수준을 감안할 때에 앞으로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며, 특히 자동차 정비, 부품교체, 인테리어, 리모델링(改裝) 등 분야의 서비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외국의 세련되고 표준화된 품질관리, 신기술 제품 서비스를 도입할 경우, 사업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보원 : 羊城晩報 등 현지언론 종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은행감독기구간 양해각서(MOU) 체결
한.중 은행감독기구간 양해각서(MOU) 체결 - 첨부파일 참고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산업, 21세기 최대 성장 시장으로 부상
------------------목차-------------------- 1. 활발한 신모델투입과 가역인하 경쟁 <표1> 중국 자동차 판매 및 생산추이(2000년~2003년) <표2> 중국 자동차 산업 추이(2000년~2003년) 2. 소형차급을 중심으로 한 개인수요 증가 3. VW의 점유율 하락 <표3> 승용차 차급별 판매 추이 및 전망 (2000년~2004년) 4. 올해 생산 500만대 돌파 전망 5. 신모델투입과 가격 경쟁 지속될듯 <표4> 자동차판매 및 생산전망 6. 수입차 수요는 소폭 증가 예상 7. 수출거점화 진전 8. 자동차 업체, 의욕적으로 중국 사업을 확대 <표5> 중국 자동차 산업 전망(2003년~2004년) 9. 자동차 산업 관련법과 제도정비 10. 21세기 최대시장으로 부상하기 위한 디딤돌 11. 중국산 자동차와의 본격 경쟁에 대비해야 총 6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