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2020년 중국 반려동물 산업 현황
2021년 1월 25일 반려동물 빅데이터 플랫폼 Pethadoop(派 物)이 발표한 「2020년 중국 애완동물 산업백서(2020年中 物行 白皮 )」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반려동물 수는 1억 8,900만 마리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음. - 백서는 1, 2, 3, 4선 도시 상주인구 3만 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조사 시행 2020년 도시 반려견 수는 5,222만 마리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지만, 반려묘 수는 4,862만 마리로 전년 대비 10.2% 증가함. - 2020년 반려견이 전체 애완동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51%이었으며, 반려묘는 46%로 그 격차가 감소하는 추세임. 2020년 중국 도시 반려인의 수는 6,294만 명으로 2019년 대비 174만 명 증가함. - 2020년 반려 견주 규모는 3,593만 명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하였고, 반려 묘주 규모는 2,701만 명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함. 2020년 중국 도시 반려동물 소비시장 규모는 2,06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 증가함. - 반려견 시장 규모는 1,18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지만, 반려묘 시장은 88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3% 증가함. 반려동물 소비 비중은 주로 주식, 간식, 영양제 등 식품에 가장 큰 54.7%를 차지하고, 의료비 16.2%, 용품 13.6%, 목욕·미용 4.1%, 훈련비 0.5%를 소비함. 2020년 반려인의 학력 수준은 학사 이상 비중 53.9%로, 2018년 45.2%, 2019년 47.7%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임. 반려인의 월수입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9년 4,000위안 이하 구간 비율이 49.6%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나, 2020년 4,000위안~9,999위안 구간 비율이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반려인 고액소비자 중 싱글 비중이 32.8%로 가장 높았고, 기혼가정은 52.3%(무자녀 23.2%, 유자녀 29.1%)로 전년 대비 2.6% 증가함.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은 자식으로 여긴다고 응답한 사람이 57.1%로 가장 많았고, 가족 28.4%, 친구 6.7% 응답했고, 6.8%만이 애완동물로 생각한다고 답함. - 기혼가정에서 반려동물을 자식으로 여긴다고 응답한 비중은 63.0%로 2019년 47.6%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미혼은 50.1%에서 49.4%로 다소 감소함. <출처> 1. “重磅 | 《2020年中 物行 白皮 》(消 告)今日 布!” 物行 白皮 . 2021. 1. 25. 2. “2020年全球 物食品行 展 ” 北京 思 中心. 2021. 3. 23.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세 자녀' 시대, 미취학 교육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2021년 5월 31일 시진핑 주석 주재로 회의를 개최하여 「가족계획 정책 개선과 장기적인 인구 균형 발전에 관한 결정( 于 化生育政策促 人口 期均衡 展的 定)」을 발표함. - 「결정」은 인구절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부부가 자녀를 3명까지 낳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함. 중국은 1970년대부터 출산 제한 정책을 시행했고, 빠른 인구 증가 억제를 위해 1982년 출산 제한을 헌법에 명시하며 기본 국가정책으로 삼아왔음. - 2010년대에 접어들어 인구 중장기 발전 전략으로 일부 지역의 ‘두 자녀’ 허용 정책이 발표되었고, 2015년 10월 전면적인 두 자녀 정책이 시행됨. 중국 정부는 두 자녀 정책이 성공적인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함. - 0~14세 인구 비중이 2010년 16.6%에서 2020년 17.95%로 증가했고, 정책 시행 이후 태어난 누적 둘째 자녀 수는 천만 명을 넘었음. - 또한, 둘째 자녀 비중은 2013년 30%에서 2020년 50%로 증가했고, 성비도 같은 기간 118에서 111로 낮아짐. 중국 정부는 출산 장려를 위해 결혼, 출산, 양육, 교육을 하나로 보고, 청년의 결혼관·가정관 교육, 낡은 결혼문화 타파, 보육 서비스 개선, 공교육 수준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 출산휴가, 육아휴직 제도를 개선하고, 주거 지원 정책, 여성의 취업 보장도 필요하다고 강조함. 중국의 미취학 교육 기관 운영을 살펴보면, 2020년 유치원생 수는 4,818만 명이고, 유치원 입학률은 85.2%임. - 미취학 교육은 국민 교육 시스템의 시작이며, 중요한 사회공익 사업으로 인식 2020년 중국 어린이집은 29만 1,700곳으로 2010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함. - 지난 몇 년간 미취학아동의 증가로 어려워진 유치원 입학과 높은 비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기도 했음.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혜성(普惠性) 유치원 확대를 해결 방안으로 내놓으며, 빠르게 유치원 수를 늘려가고 있음. - 2020년 보혜성 유치원 원생 수는 4,08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고, 보급률은 84.74%로 2016년 대비 17.5%p 증가했음. 또한 <14·5 규획>에서 취학 전 교육, 특수교육, 전문교육 보장 시스템을 개선하고, 유치원 입학률을 90%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했음. 중국은 세 자녀 시대를 맞아 미취학 교육에도 많은 지원 정책이 강화되고, 교육 시장의 성장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됨. <출처> 1. “ 家 生健康委有 人就 施三孩生育政策答新 社 者 ” 新 . 2021. 5. 31. 2. ““三孩” 代 前 育加速布局” 新 . 2021. 6. 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0년 중국 의료보장 사업 현황
2021년 6월 16일 중국 국가의료보장국( 家 保障局)은 「2020년 전국 의료보장 사업 발전 통계 공보(全 保障事 展 公 )」를 발표함. 2020년 중국의 기본의료보험 가입자는 13억 6,1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95% 이상을 보장하고 있으며, 직장인 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됨. 직장인 가입자는 3억 4,455만 명으로 재직자 2억 5,429만 명, 퇴직자 9,026만 명으로 집계됨. 지역가입자는 10억 1,676만 명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음. - 그중 성인 7.5억 명, 청소년 2.5억 명, 대학생 2,056만 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2.5%, 4.6%, 1.7%의 증감률을 보임. 2020년 중국 지역 의료보험 수입은 9,115억 위안, 지출은 8,165억 위안으로 수입은 전년 대비 6.3% 증가했고, 누적잔고는 6,077억 위안임. - 주민 1인당 납부액은 833위안임. 2020년은 코로나19 발생으로 중국 의료보험 지역가입자의 1인당 진료 횟수는 1.8회로 전년 대비 0.15회 감소했고, 진료자 수, 의료보험 비용 모두 다소 하락함. 입원율 역시 15.1%로 전년 대비 1.5%p 감소했고, 평균 입원 기간은 9.2일로 비슷한 수준임. - 반면 회당 입원비용은 7,546위안으로 7.1% 증가함. 중국은 병원을 1급, 2급, 3급으로 분류하고 등급병원별 의료보험 보장 비중을 달리함. - 직장인 가입자: 1급 병원 88.7%, 2급 병원 86.9%, 3급 병원 84.3% - 지역가입자: 1급 병원 79.8%, 2급 병원 73%, 3급 병원 65.1% △1급 병원은 병상 20~99개 △2급 병원은 병상 100~499개, △3급 병원은 병상 500개 이상의 상급종합병원에 해당함. 2020년 출산보험 가입자는 2억 3,567만 명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고, 보험 혜택은 받은 가입자는 1,167만 명으로 2.7% 증가함. - 출산보험 가입자의 1인당 보장금액(출산 의료비, 출산휴가 보조금)은 21,973위안임. <출처: “2020年全 保障事 展 公 :城 居民 保 10.17 人” 中商情 . 2021. 6. 16.>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618 쇼핑 축제' 특징
중국의 상반기 최대 쇼핑 축제인 ‘618’은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京 , JD.COM)의 창립일인 6월 18일 개최하며, 알리바바가 매년 11월 11일 개최하는 광군제와 함께 중국의 대규모 쇼핑 행사로 꼽힘. 2021년 6월 1일부터 18일까지 진행했던 ‘618 쇼핑 축제’ 데이터를 통해 최근 중국의 소비시장 분석과 향후 추세를 분석함. 축제 기간 징둥의 주문금액은 3,438억 위안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주문액이 큰 품목은 스마트폰, 에어컨, 노트북, 냉장고, 태블릿 등 가전·전자제품이고, 주문량이 많은 품목은 케이크, 우유, 휴지, 조미료, 간식 등으로 나타남. 2021년 ‘618 쇼핑 축제’ 구매자 수는 전년 대비 90% 증가했고, 소비자는 가격이 비싼 사치품 소비를 선호하고, 지역별 1인당 소비금액도 평소보다 높았음. - 장쑤, 저장, 허난, 장시, 산시(山西)의 소비가 비교적 높았으며, 장쑤의 1인당 소비금액은 2,362위안으로 집계됨. 연령대별 소비 품목도 차이가 있음. - 주우허우(95后: 1995년 이후 출생자)는 운동용품·아웃도어·컴퓨터 용품 - 빠우허우(85后: 1985~1989년 출생자)는 육아용품, 건강서비스 - 치우허우(75后: 1975~1979년 출생자)는 주류, 자동차용품 2021년 ‘618 쇼핑 축제’ 특징으로는 중국 국산 브랜드의 굴기로 신예 브랜드와 전통적인 고전 브랜드의 활약이 주목됨. - 특히 구매 상위 100위 품목 중 40%가 신생 브랜드로 나타났고, 국산 브랜드의 주문액은 4배 증가함. 농산물, 신선제품의 온라인 소비 규모가 끊임없이 확대하고 있음. - 중국 농업대학이 발표한 「2021 농산품 신소비 보고( 新消 告)」는 중국의 2021년 농산품 온라인 판매액이 7,893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음. - 618 기간 라이브쇼핑의 추천 상품 중 농산품의 비중은 60% 이상이었으며, 또 다른 전자상거래 기업은 핀둬둬( 多多)의 2021년 1분기 신선제품과 농산물의 주문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0% 증가함. 라이브쇼핑 규모도 크게 성장하여, 2020년 중국의 라이브방송 이용자 수는 6.17억 명이고, 그중 라이브쇼핑 이용자는 3.88억 명에 달함. -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라이브쇼핑은 이제 당연한 판매 수단으로 자리 잡음. - 618 행사 첫날 중국의 유명 쇼호스트들을 세운 라이브쇼핑에서 시청자 수는 1억 명을 돌파했고, 주문금액은 20억 위안 이상을 기록함. <출처: “解析“618” 物 据” 新 . 2021. 6. 18.>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자동차여행 인기 상승
2021년 중국의 대형 여행플랫폼 마펑워여행( 蜂 旅游)과 중국자동차공업연구원(CAERI)는 「2020년 자동차여행 보고(自 游 告)」를 발표함. 코로나19 발생으로 중국의 국내 자동차여행은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2020년 5월 노동절과 10월 국경절, 중추절 연휴 기간 많은 중국인이 자동차를 이용해 여행을 떠났음. 중국 자동차 여행자는 20~40세의 청년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20대 37%, 30대는 41% 비중을 차지함. - 여행자 성별은 여성이 54%로 남성보다 많으나, 운전자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높음. 그러나 여행 계획은 여성의 결정권이 더 강함. 자동차 여행자 거주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청두, 광저우, 충칭, 항저우 등 1선 도시이며, 베이징과 상하이의 자동차 여행자 비중은 전체의 15% 이상을 차지함. - 성(省)별 자동차 여행자 비중은 광둥성이 17.96%로 가장 높음. 2020년 중국 여행자들은 여행 전 교통, 숙소에 관한 관심이 다소 줄고, 여행지 체험, 포토존 등에 관심이 더 커짐. 쓰촨성은 중국 내 가장 인기 있는 자동차여행 관광지임. - 그중 간쯔(甘孜)장족자치주가 인기 관광지 1위를 차지했으며, 설산호수의 청정함과 티베트 불교의 경건함이 관광객을 끌어모았음. - 간쯔는 대중교통이 불편해 자동차여행이 적합한 여행지이며, 이와 같은 이유로 신장, 윈난, 칭하이, 간쑤, 네이멍구가 자동차여행지로 인기를 끌고 있음. 중국의 가장 인기 있는 드라이브 코스는 촨짱(川藏)도로로 쓰촨의 청두와 시짱의 라싸를 잇는 도로로 험준하지만 웅장한 자연경관을 품고 있음. - 해안·호수 드라이브 코스로는 칭하이호수( 海湖)가 가장 인기가 많음. <출처: 蜂 旅游·中 汽 (2021), 「2020年自 游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1년 중국 지역별 최저임금
2021년 베이징, 톈진, 장시, 헤이룽장, 산시( 西), 신장, 시짱 등 7개 지역이 잇따라 최저임금을 인상했음. - 최저임금은 월 최저임금과 시간제 최저임금 형태로 나누며, 월 최저임금은 전일제 취업 근로자, 시간제 최저임금은 비전일제 근로자에게 각각 적용함. 베이징은 2021년 8월 1일부터 월 최저임금을 2,200위안에서 2,320위안으로 120위안 인상할 것을 발표함. 톈진은 7월 1일부터 2,050위안에서 2,180위안으로 최저임금을 상향조정하고, 최저시급은 20.8위안에서 22.6위안으로 인상함. - 같은 날 시짱(티베트)의 최저임금은 1,650위안에서 1,850위안으로, 최저시급은 16위안에서 18위안으로 인상하여 시행됨. 2021년 4월 1일 헤이룽장, 장시, 신장은 각각 1,860위안, 1,850위안, 1,900위안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했음. 현재 상하이, 베이징, 광둥, 톈진, 장쑤, 저장 6개 지역의 최저임금이 2,000위안 이상이며, 그중 상하이가 2,480위안으로 가장 높음. 상하이, 안후이, 지린은 2021년 최저임금을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중국의 《최저임금규정》에 따르면 최저임금은 최소 2년에 한 번씩 확정·조정함. - 최저임금은 현지 근로자와 부양인구의 최저생계비, 도시주민 소비자가격지수, 근로자가 부담하는 사회보험료와 주택기금, 근로자 평균임금, 경제발전 수준, 고용상황 등을 참고하여 결정함. 중국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 임금 인상으로 직결될 수 있으며, 기본급과 초과근무수당의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임금 인상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함. <출처: “7地上 最低工 准 多地 整,如何影 收入?” 中 新 . 2021. 6. 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5월 자동차 판매량, 주택가격 현황
▣ 중국 1~5월 자동차 판매량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 汽 工 )에 따르면, 2021년 1~5월 신차 판매량은 1,087.5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36.6%, 2019년 동기 대비 5.9% 증가함. - 그중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95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배 증가하였고, 2019년 동기 대비 94.2% 증가함. 5월 신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3.1% 감소한 212.8만 대이며, 2019년 동월 대비 11.1% 증가함. - 5월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21.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6배 증가하였으며, 2019년 동기 대비 91.7% 각각 증가함. 중국자동차유통협회(中 汽 流通 )에 따르면, 2021년 1~5월 중고차 거래량은 690.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60.9%, 2019년 동기 대비 22.9% 각각 증가하며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 5월 거래량은 146.2만 대로 전년도 동월 대비 24.7% 상승하였으며, 2019년 동월 대비 25.9% 증가함. 중국 상무부(商 部)에 따르면 1~5월 폐차 회수율은 105.5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8.4% 상승, 2019년 동기 대비 20.2% 증가함. - 5월 23.8만 대를 회수해 전년 동월 대비 21.4% 증가, 2019년 동월 대비 17.8% 증가함. ▣ 5월 중국 70개 주요 도시 주택가격 2021년 5월 17일 중국 국가통계국( 家 局)은 중국 70개 주요 대도시 상품 주택가격 현황을 발표함. - 70개 대도시 주택 분양가는 전반적으로 안정적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 2021년 5월 중국 1선 도시 4곳의 신축 주택가격은 4월보다 0.7%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전월 대비 0.1%p 증가하였고, 2020년 동기 대비 6% 상승함. - 1선 도시의 구축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0.6%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전월 대비 0.2%p 감소함. 구축 주택가격은 베이징 1.1%, 상하이 0.7%, 광저우 0.9%로 각각 전월 대비 상승하였으며 지역별 상승폭은 각각 0.1%p, 0.2%p, 0.3%p 하락함. - 1선 도시의 구축 주택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0.8% 상승하였음. 2선 도시 31개와 3선 도시 35개 신축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각각 0.6%, 0.4% 올라 지난달과 같은 상승률을 보임. - 2선 도시와 3선 도시의 구축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각각 0.4%, 0.2%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전월 대비 모두 0.1%p 하락함. 2선 도시의 신축 주택과 구축 주택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 3.5% 상승했으며, 증가폭은 전월 대비 0.1%p 상승함. - 3선 도시 신축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3.8% 상승하였으나, 상승폭은 0.1%p 하락하였고, 구축주택은 전월 대비 2.6% 상승, 증가폭도 0.1%p 상승함. <출처> 1. “商 部:前5 月全 汽 市 保持 快增 ” 中 新 . 2021. 6. 17. 2. “ 局:5月一 城市新建商品住宅 价格 幅略升 二手住宅 幅回落” 家 局 站. 2021. 6. 1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1년 중국 청년 주말 생활
2021년 6월 12일 펑파이신문(澎湃新 )이 발표한 「2021 국내 청년 주말 조사 보고( 年周末 告)」는 중국 청년 3,037명을 대상으로 주말 생활을 조사함. -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인 주말과 현실은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청년이 가장 선호하는 주말을 보내는 방법은 자연스럽게 깰 때까지 잠을 자는 것으로 조사됨. - 그 외에 새로운 체험, 자연 감상, 업무 해방, 운동, 위시리스트 완성, 새로운 지식학습, 여행, TV·영화 시청, 독서, 데이트 등이 주말 키워드로 언급됨. 누구와 함께 주말을 보내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에 37.2%가 ‘연인, 배우자’라고 답하였으며 27.2%는 ‘혼자’ 보내는 것이 더 편하다고 답함. - 또한, 17.8%는 친구, 10.4%는 가족과 함께 주말을 보내고 싶다고 응답함. 남성 응답자 중 45.5%는 연인과 함께 주말을 보내고 싶다고 응답했지만, 여성은 32.8%에 그침. - 혼자 주말을 보내고 싶다고 응답한 여성은 29.1%이었으며, 19.7%는 친구와의 모임을 즐긴다고 답함. 주말에 무엇에 시간을 할애하는지에 관한 질문에 영화·드라마를 시청한다고 41.8%가 답하였고, SNS 이용에 32.8%가 시간을 보낸다고 응답함. - 또한 응답자 36.5%는 주말에 누워(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답함. - 그밖에 25.8%가 주말에 가사를 하고 22.5%가 학습(수업, 독서, 시험 준비) 등을 한다고 응답함. 주말을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정서에서도 남녀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음. - 남성은 게으름, 시간낭비, 갈팡질팡, 초조 등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았고, 여성은 느긋느긋, 차분, 즐거움, 치유 등 더 긍정적으로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됨. 47.9%의 응답자가 근무시간에 딴짓하거나 휴식 시간에도 업무 준비를 하는 등 일과 생활을 분리할 수 없다고 답함. - 응답자의 2/3는 휴식은 더 나은 근무를 위한 ‘준비상태’로, 주말에 평일을 위해 충분한 수면으로 충전한다고 답함. 연령대와 소득 수준에 따라 주말에 대한 만족도가 상이했고 응답자 40% 이상이 주말을 만족스럽게 보내지 못한다고 응답함. - 나이 40세 이하, 연소득 100만 위안 이하의 경우 주말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됨. <출처: “《2021 年周末 告》” 新浪 . 2021. 6. 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인 화장품 구매 품목과 태도
중국인이 평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킨케어 종류는 클렌징폼이 73%로 가장 많았으며, 마스크팩과 로션이 각각 55.2%와 50.2%로 그 뒤를 이음. - 클렌징폼은 저렴한 가격과 뚜렷한 효과, 쉽게 구매할 수 있어 소비자 대부분이 만족함. 그밖에, 소비자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세안 후 피부관리 제품인 마스크팩과 로션 등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6대 스킨케어 중 클렌징과 로션, 에센스의 주 소비층은 30대임. - 30대는 안티에이징 효과와 항 피로 효과를 가진 영양분이 풍부한 로션과 에센스를 선호함. - 마스크팩과 자외선 차단제, 스킨의 주 소비층은 20대 후반으로 조사됨. ▣ 중국 소비자 화장품 구매 태도 최근 많은 중국 소비자는 화장품 후기 공유 플랫폼에서 정보를 얻고 있으며, 화장품 관련 기업은 이러한 소비자 심리를 활용해 고객을 확보하고 있음. 새롭게 출시된 화장품의 사용 후기를 보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63.7%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새로 출시된 화장품을 빨리 사용해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약 28.9%이며, 관심 없다는 응답자는 7.4%로 나타남. 해외 화장품 브랜드가 포장 디자인, 효과, 지속력 등 3개 지표에서 중국 화장품 브랜드보다 높은 평가를 받음. - 중국 화장품 브랜드는 가성비, 다양한 구매 채널 등으로 시장 점유율이 점차 제고되고 있으며, 향후 해외 브랜드 사용 소비자들까지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2021年中 化 品用 展 判 究 告” 新 . 2021. 6. 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1년 중국 화장품 시장 현황 및 전망
2021년 5월 31일 아이미디어 리서치(艾媒咨 )는 「2021년 중국 화장품 사용자 조사 및 발전 예측 연구 보고서(2021年中 化 品用 展 判 究 告)」를 발표함. - 보고서는 중국 화장품 산업 전반에 대해 분석하고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화장품, 뷰티 트렌드 조사 결과를 담고 있음. 2020년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9년보다 7% 감소한 3,958억 위안이었으나, 2021년 코로나19 확산 진정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0.79% 증가한 4,781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2023년 화장품 시장 규모는 5,125억 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2020년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는 751억 달러에 달하며, 2025년 시장 규모는 1,696.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중국 화장품 생산제조 규모는 6년간 증가세를 보이며 2020년 127만 톤의 생산량을 기록했고, 2021년 199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향후 중국은 세계 화장품 업계의 주요 생산지이자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됨. 최근 남성들도 외모 관리에 관심이 늘고 있으며, 메이크업으로 자신의 결점을 보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45억 위안 규모였던 중국 남성 스킨케어 시장은 2021년 99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여전히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화장품 구매에 월 200~1,000위안을 지출하는 소비자는 50% 이상이며, 그중 여성 소비자가 500~1,000위안, 남성 소비자는 200~500위안을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됨. - 여전히 중국 화장품 시장의 주 고객층은 여성이며, 가성비 좋은 중국 브랜드가 시장에 많이 진출하면서 중저가 화장품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음. - 저가 화장품(200위안 이하) 주요 고객층은 남성들인 것으로 나타남. <출처: “2021年中 化 品用 展 判 究 告” 新 . 2021. 6. 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