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식 과열의 본질
중국식 과열의 본질 소비형 과열과 투자형 과열, 그리고 투기형 과열의 문제 지난 해 중국은 사스(SARS)란 돌발 변수 속에서도 9.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대외교역이 8,516억 달러로 전년대비 37.2% 늘었고 외국인직접투자(FDI) 누계 금액은 실행기준으로 5,055억 5,300만 달러에 달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1%를 밑돌았다. 올들어 1월 중 CPI가 연중대비 3.2% 상승했다고 하지만 식료품 가격이 주도했고 공산품 가격은 하락해 실제 전체 물가는 완만한 상승세다. 적어도 현 상황에서는 경기과열을 우려해 금리인상에 나서야할 상황은 아닌 듯 보인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보면, 고성장-저물가는 가장 이상적인 현상인 동시에 아이러니하게도 전통적인 경제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비전형적 측면도 있다. 지금 중국 경제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과열이다", "아니다"의 논쟁도 이 같은 비전형적 측면 때문이다. 흔히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인 까닭에 과열인지 아닌지의 판단이 어려운 것이다. 종래 경제이론에 따르면, 경기가 일단 과열되면 물가가 지속 상승한다. 실업률이 떨어지고 상품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며 생산부문에선 병목현상도 나타난다. 이는 소비가 왕성해지고 사회 총수요가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생기는 까닭에 '소비형 과열'이라 할 수 있다. 소비형 과열을 잡는 방법은 물론,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다. 가격상승을 제한하고 긴축재정으로 가는 것이 전형적인 처방이다. 그러나 아직은 저물가에 민간소비도 결코 왕성하다고는 볼 수 없는 중국의 현 상황은 소비형 과열과는 분명 다르다. 기술의 발전과 생산능력의 제고로 과거와 같은 만성적인 공급부족 국면이 이제 사실상 사라졌다. 경기과열도 소비수요 측면에서 발생한다기 보다는 투자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과도한 투자가 과열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이른바, 투자형 과열이다. 투자형 과열은 여러 측면에서 중국의 현 상황에 부합되는 측면이 있다. 중국은 현재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 고조기에 있기 때문이다. 우선, 도시화 건설 측면을 보자. 수 많은 소도시가 중대형 도시로 빠르게 바뀌고 있고 대도시는 거대 도시군(mega-cities)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시화는 필연적으로 대량의 투자를 수반하고 중국 전역을 놓고 보면 과잉중복 투자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국 전역에서 일고 있는 개발구 열기도 투자확대 요인이다. 중국은 일정 규모 이상에 달하는 개발구만도 전국적으로 약 3,800여 개에 달한다. 물밀 듯이 들어오는 외국인직접투자도 개발구 붐을 일으키는 또 다른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 경제이론에 따르면, 과도한 투자는 과도한 소비수요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투자형 과열론도 중국의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결국, 중국의 현실은 새로운 형태의 경기과열로 봐야 할 것이다. 바로 투기형 과열이다. 대개 4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핫머니를 꼽을 수 있다. 위앤화 평가절상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현재까지 중국에 들어온 핫머니는 300억〜400억달러 선으로 추정하는 시각이 많다. 핫머니의 유입 경로와 규모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일반적인 추측을 따르기 보다는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Analysis 핫머니, 얼마나 뜨거운가 참조]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어떤 방식으로든 일단 중국에 들어온 핫머니는 선물과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상품으로 바뀌어 시기를 기다린다는 것이다. 위앤화의 평가절상을 기대하고 들어온 핫머니지만 그 규모가 늘어날수록 평가절상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며 사회 전반에 걸쳐 투기심리를 높혀 놓기 마련이다. 둘째는 부동산이다. 중국의 부유층과 해외 투자자들이 부동산시장에 들어와 집 값을 잔뜩 올려놓았다. 3년 전만 해도 홍콩의 호화주택 가격은 상하이의 8배 정도였지만 이제는 3배 정도로 축소됐다는 것이 부동산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셋째,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원자재 수요가 늘면서 전매 행위가 성행하는 현상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넷째, 과도기적인 경제 시스템의 문제도 있다. 중국은 시장참여자의 구성이 복잡하다. 계획경제를 막 벗어나 시장경제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 수 많은 국영기업과 중국시장에 진입한지 오래되지 않은 외국인 투자기업, 여기다 시장경제 시스템에 근접하고는 있지만 중국 전통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민영기업이 혼재돼 있다. 서로 다른 시장 참여자들은 경제적 사고도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조가 시장정보 전파시스템이 미비돼있는 상황과 결합해 투기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투기성 과열의 가장 큰 특징은 경제 전반에 걸친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라 일부 영역에 집중돼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일부 상품가격은 올라가지만 전체 물가 상승을 동반하지는 않으며 전통적인 의미의 통화팽창도 유발하지 않는다. 지금 중국이 그렇다. 당국이 당장의 정책적 처방보다는 제도와 시스템 개혁에 보다 초점을 맞추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돈 줄을 죌 곳은 죄겠지만 풀어야 할 곳엔 풀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1. 중화인민공화국 주식회사
중국 경제가 고속성장하는 밑바탕엔 수많은 기업이 있다. 규모가 급증하고, 경쟁력도 무섭게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도 이들은 베일에 싸여 있다. 기업 내용은 '대외비(對外秘)'다. 사진촬영도 절대 금지다. 특히 한국 언론의 접근을 사절한다. 일등기업일수록 더 그렇다. 중국 기업들이 국내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이유다. 그러나 이들을 모르고선 중국 고속성장의 비결을 알 수 없다. 본지가 '죽(竹)의 장막'을 뚫고 중국 전역에 산재한 일등기업을 '대장정(大長征)'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중국의 일등기업들은 어떤 회사며, 성장비결은 무엇인가. 그리고 한국 기업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등을 살펴보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석달가량 현지 취재를 했다. 이를 바탕으로 15회 연재한다. [편집자]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1. 중화인민공화국 주식회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5년내 세계 500대 기업 50개"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5년내 세계 500대 기업 50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 급증의 위험 요인과 대응과제
<목차> 1. 한국 경제의 대중 의존도 급증과 전망 2. 대중 의존도 급증의 영향 3. 대중 의존도 급증의 위험 요인 4. 대응 과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2. 조선-후둥중화조선
[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2. 조선- 후둥중화조선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2. 조선- 후둥중화조선 구바오룽 회장 [중국 주식회사 대장정] 2. 조선- 세계 조선산업 현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무역관계의 현황 및 전망
Ⅰ. 중국 경제의 부상과 장기 전망 1. 중국 개혁개방의 성과와 성장 원동력 (1) 중국의 대내외 경제적 위상과 개혁개방정책의 성과 (2) 經濟成長의 原動力 2. 최근 경제동향과 경제현안 (1) 주요 거시경제지표 동향 (2) 경제현안 3. 중장기 경제발전 전망 (1) 중국 정부의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년)과 2010년 장기발전 계획 (2) 세계 경제대국으로의 부상 4. 화교 상권의 부상과 “중국경제권” 형성 (1) 세계 화교자본의 규모와 최근 동향 (2) 21세기 중국경제권의 발전 방향과 전망 Ⅱ. 중국의 교역 발전과 대외무역제도 53 1. 중국의 교역 발전 추이와 구조 (1) 수출입 규모 확대 추이 (2) 교역 구조 2. 개방경제로의 통상정책 전환 (1) 통상정책 체제와 변화 (2) 관세체계와 관세율 구조 (3) 비관세장벽 (4) 외환관리체제의 개혁과 지속적인 환율인하 3. 외국인직접투자와 외자기업의 수출입 (1) 외자도입 정책과 형태 (2) 외자유치 추이와 동향 (3) 외자기업의 수출입 비중과 추이 Ⅲ. 한중 무역 및 산업협력 관계 분석 1. 양국간 시장협력 (1) 양국간 무역 구조 (2) 무역경쟁력 비교 2. 양국간 생산협력 (1) 민간 생산협력 : 투자협력 (2) 정부간 생산협력 : 한중산업협력 위원회 (3) 소 결 120 Ⅳ. 한중 통상마찰 분석 1. 통상 마찰 원인 (1) 무역결합도 심화 (2) 무역수지 불균형 지속 (3) 특정 품목의 지나친 수출 의존도 2. 통상 마찰 가능 분야 선정 (1) 경쟁력 분석 (2) 세분류 (3) 소 결 3. 주요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1) 석유화학 (2) 핸드폰(HS 기준 8525의 주요 품목) (3) 반도체(HS 기준 : 8542) Ⅴ. 중국의 WTO 가입과 대응전략 1. 중국의 WTO 가입과 조건 (1) 가입 배경 (2) 경과 및 가입 절차 (3) 분야별 가입 양허 사항 2.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전반적인 영향 (2) 산업별 영향 3.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전반적 영향 (2) 주요 수출입 관련 산업별 영향 Ⅵ. 향후 한중 무역전망 및 결론 1. 무역 및 투자전망 (1) 대중국 무역 전망 (2) 대중국 투자 전망 2. 대응 전략 (1) 대중국 경제협력 증진 전략 (2) 통상마찰 완화 대책 <참 고 문 헌> 총 220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적극 나서
----------------목차------------------ 1. 중국 정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매우 적극적 <표1> 중국 FTA 추진 현황 2. FTA체결을 통한 다각적인 실리 추구 3. 아세안과의 FTA체결 4. 홍콩 및 마카우와 긴밀한 경제협력관계 협정(CEPA)체결 5. 오스트레일리아와 FTA체결을 위한 타당성 검토 6. 뉴질랜드와도 FTA체결 추진 7. 우리도 적극적인 FTA체결 노력 필요 총 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최저임금 규정 강화
- 최근 중국정부는 최저임금 규정을 개정 - 개정된 규정은 과거에 비해 체불임금의 최고 5배의 배상금 부과, 적용범위 확대 등 내용을 대폭 강화함 -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우 임금수준이 높기 때문에 최저임금 강화의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되나, 개인사업자 등은 세분화된 최저임금 규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첨부>에는 개정된 최저임금규정이 수록되어 있음 - 총 9쪽 -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모바일 컨텐츠 시장 : In-depth Market Report
< 목 차 > 1. 서론 2. 중국 SP시장의 현황 및 전망 3. 현지기업 현황 4. 과금 구조와 수익모델 5. 진출전략 6. 참고자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대 한국 투자 현황과 특징
중국 기업의 해외투자는 1979년 개혁개방과 더불어 시작됐다. 하지만, 개혁개방이 곧바로 중국의 해외투자를 활성화시키지는 못했다. 개혁개방 당시 중국은 여전히 계획경제 체제 하에 있었고, 국내저축, 자본, 외환보유액이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