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21년 상반기 중국 중앙기업 경제운용 현황
2021년 7월 16일 중국 국무원신문판공실( 院新 公室)은 2021년 상반기 중국 중앙기업경제운영현황 기자발표회를 개최함. - 중국 중앙기업(中央企 )은 ‘중앙관리기업’의 약칭으로 국무원 혹은 국유자산감독관리기구에 출자자의 직책을 위임하는 기관으로 2021년 6월 24일 기준 96개 기업이 있음. 국유기업은 중앙기업과 지방기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앙기업은 국가안보와 국민경제의 주요 업종과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함. 2021년 상반기 중앙기업의 누적 순이익은 1조 232.1억 위안으로 상반기 최초로 1조 위안으로 돌파했으며, 2020년 상반기 대비 133.3%, 2019년 상반기 대비 45.4% 증가했음. - 대다수 업종에서 순수익이 대폭 증가함. 중앙기업 상반기 누적 영업 수입은 17.1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증가했고, 90% 이상의 기업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함. 업종별 생산량과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전력 판매량 3.1조 ㎾h(19% ↑), △원유판매량 1.6억 톤(0.1% ↓), △석탄 생산량 5억 톤(5.4% ↑), △철강생산량 9,037.6만 톤(18.3% ↑), △항공운송 운송량 293.1억 톤/㎞(38.8% ↑)로 집계됨. 2021년 상반기 중앙기업의 연구개발 비용은 3,21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4% 증가했고, 연구개발비 투입 비중은 0.12%p 늘었음. - 누적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1.1조 위안으로 10.5% 증가했음. <출처: “一 2021年上半年中央企 行情 ” . 小新. 2021. 7. 1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상반기 중국 물가지수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6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함. ▣ 주민 소비자물가지수(CPI) 2021년 6월 중국의 주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1% 상승했고, 그중 도시 물가는 1.2%, 농촌은 0.7% 상승함. - 식품 물가는 1.7% 하락, 비식품 물가 1.7%, 소비품 물가 1.1%, 서비스 물가는 1% 상승함. 2021년 상반기 중국의 주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5% 상승함. 2021년 6월 품목별 소비자물가를 살펴보면 식품·담배·술은 전년 동기 대비 0.4% 하락했음. - 육류는 19.5% 하락했으며, 그중 돼지고기 가격이 36.5% 하락함. - 반면, 달걀 17.9%, 수산물 14.2%, 신선과일 3.1%, 곡류는 0.7% 상승했음. 중국의 경제회복과 소비시장의 충분한 공급으로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 ▣ 생산자물가지수(PPI) 2021년 6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8.8% 상승하고, 전월 대비 0.3% 증가했음. 원자재 가격이 11.8% 상승하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침. - 그중 채굴공업은 35.1%, 원자재공업은 18%, 가공공업은 7.4% 상승했음. 2021년 상반기 생산자물가지수는 5.1%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음. 중국 내 대량상품의 안정적인 공급 정책이 효과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시장 수급의 개선으로 가격상승이 둔화함. <출처> 1. “2021年6月 居民消 价格同比上 1.1% 比下降0.4%” 家 局. 2021. 7. 9. 2. “2021年6月 工 生 者出 价格同比上 8.8% 比上 0.3%” 家 局. 2021. 7. 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상반기 중국 소비시장
2021년 7월 15일 중국국가통계국은 6월 사회소비품 판매총액과 상반기 소비시장에 대한 분석을 발표함. 2021년 상반기 중국의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은 21만 1,904억 위안으로 전기 대비 23.0% 증가했으며, 2년 평균 증가율은 4.4%임. - 그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품 소매판매는 18조 9,997억 위안으로 22.2% 증가했음. 국가통계국 무역경제국 둥리화(董 ) 국장은 상반기 중국 소비시장은 중국경제의 안정적인 회복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밝힘. - 상품 소매 판매도 비교적 빠른 증가율을 보였고, 대면 소비 규모도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했으며, 요식업과 오프라인 상점의 경영이 크게 호전됨. 도시의 소비품 판매총액은 18억 4,098억 위안으로 23.3% 증가, 농촌 소비품 판매총액은 2억 7,807억 위안으로 21.4% 증가했음. - 도시와 농촌의 2년간 평균 성장률은 각각 4.4%, 4%로 집계됨. 소비품 유형별 판매현황을 살펴보면, 상반기 상품 소매판매액은 19억 192억 위안으로 전기 대비 20.6% 증가했고, 요식업 수입은 2억 1,712억 위안으로 48.6% 증가했음. - 요식업 규모는 2019년 상반기와 같은 수준으로 회복함. <출처: “2021年6月 社 消 品零 增 12.1% 比2019年6月 增 10.0%” 家 局. 2021. 7. 1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상반기 중국 GDP
2021년 7월 16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2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을 공개 2021년 상반기 중국의 GDP 규모는 53만 2,16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함. - 1차 산업 28,402억 위안, 2차 산업 207,154억 위안, 3차 산업 296,611억 위안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8%, 14.8%, 11.8% 증가함. 2021년 상반기 중국 업종별 전년 동기 대비 GDP 증가율은 코로나19 영향이 컸던 숙박·요식업이 29.1%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교통·운송·창고·우정업 21%, IT·SW 서비스업 20.6% 순으로 나타남. 2021년 2분기 전기 대비 GDP 증가율은 1.3%로 1분기인 0.4%보다 0.9%p 상승함. <출처: “2021年二季度和上半年 生 (GDP)初步核算 果” 家 局. 2021. 7. 16.>
홈 > 최신중국동향 -
[물류] 2021년 상반기 중국 철도 화물 운송량
중국 국가철도그룹유한공사(中 家 路集 有限公司)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국가철도 발송 화물량은 18억 4,500만 톤으로 동기 대비 1.5억 톤 증가하였고 8.9% 성장함. - 하루 평균 적재 차량은 16.8만 대로 동기 대비 1만 5,500대 증가하였고 10.2% 성장함. 2021년 중국 상반기 국가철도의 석탄 수송량은 9억 6,1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함. - 중국의 4대 주요 철로인 △하오지(浩吉: 네이멍구성 하오러바오지(浩勒 吉)-장시성 지안(吉安)), △탕바오(唐包: 허베이성 탕산(唐山)-네이멍구성 바오터우(包 )), △와르(瓦日: 산시성 와탕(瓦塘)-산둥성 르자오( 日照)), △다친(大秦: 산시성 다퉁(大同)-허베이 친황다오(秦皇 ))의 석탄 운송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3%, 54%, 43%, 11.5% 증가함. - 석탄 및 발전용 연료의 1일 평균 운송열차 수는 7.6만 대와 4.9만 대로 각각 12.9%, 19.4% 증가함. 2021년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1,259만 TEU로 전년 동기 대비 29.5% 증가함. - 중국-유럽 간 화물열차 7,377편이 운항하였고 70.7만 TEU를 운반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 52% 증가함. - 유럽 23개국 168개 도시로 확대 운행되고 있으며 누적 운행 편수는 4만 편을 돌파함. 서부육해신통로(西部 海新通道) 열차는 2,705편이 운항하며 26.9만 TEU가 운반되었으며 전년 대비 각각 112%, 319% 증가함. 2021년 상반기 철도 이용객 규모는 13억 6,5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억 4,800만 명이 증가하여 67% 상승함. - 2분기 전국 철도 이용 일일 여객 수는 903만 명으로 1분기 대비 298만 증가하며 49.3% 상승함. - 특히 5월, 노동절 황금연휴의 영향으로 일평균 여행객 수는 1,8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95.5% 증가하며 역대기록을 경신함. <출처> 1. “上半年全 路 送旅客13.65 人次 同比增 67%” 新 社. 2021. 7. 11. 2. “上半年 家 路 送 物18.45 同比增 8.9%” 天眼新 . 2021. 7. 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1년 상반기 중국 우정업 현황
2021년 7월 15일 중국 국가우정국( 家 政局)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우정업 수입(중국우정저축 영업수익 제외)은 6,143.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2% 증가하였고, 총영업이익은 6,424.7억 위안으로 34.4% 증가함. - 6월 전체 사업소득은 1,121.5억 위안으로 13.6% 증가했고, 사업총량은 22.9% 늘어난 1,194.5억 위안을 기록함. 2021년 상반기 우편 서비스 총수입은 1,080.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고, 우편 서비스 규모는 128.1억 건으로 0.5% 증가했으며, 우편 서비스 수입은 193.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 감소함. 2021년 상반기 우편물 취급 규모는 5.8억 건으로 동기대비 24.2% 하락하였고, 소포사업 규모는 933.6만 건으로 동기대비 7.4% 감소함. - 또한, 신문업 규모는 81.7억 건으로 동기 대비 1.6% 감소하였고, 잡지사업은 3.6억 건으로 3.6% 감소, 환거래 총액은 339.1만 건으로 31.5% 감소함. 2021년 상반기 전국 택배 서비스 규모는 493.9억 건으로 45.8% 증가하였고 수입은 4,842.1억 위안으로 26.6% 증가함. 지역 내 택배량은 64.6억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하였고. 타지역 배달량은 418.4억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2% 증가함. - 또한 국제·홍콩·마카오·타이완 배달량은 10.9억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1% 증가함. <출처: “2021上半年 政行 收入累 完成6143.9 元” 中 新 . 2021. 7. 1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상반기 주민 소득 및 소비지출 현황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7월 15일 상반기 중국 주민 소득과 지출 통계를 발표함. ▣ 주민 소득 2021년 상반기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년 대비 12.6% 증가한 1만 7,642위안이며 증가율은 12.6%임.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저성장의 영향으로 2021년 상반기 1인당 가처분소득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함. - 2019년 상반기 대비 1인당 가처분소득은 15.4% 증가하였고, 2년 평균 증가율은 7.4%이며 증가율은 5.2%로 집계됨. 상반기 중국 도시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만 4,125위안으로 11.4% 증가했고, 증가율은 10.7%임. - 농촌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9,248위안으로 14.6% 증가했고, 증가율은 14.1%임. 2021년 상반기 전국 주민 1인당 월급성수입은 12.1% 증가한 1만 104위안으로 집계됨. - 1인당 경영순수입은 2,752위안으로 17.5% 증가, 1인당 재산순수입은 1,582위안으로 15% 증가, 1인당 전이성수입은 3,204위안으로 9% 증가함. - 수입원별 비중은 월급성수입이 57.3%, 경영순수입이 15.6%, 재산순수입이 9%, 전이성수입이 18.2% 순으로 나타남. ▣ 주민 소비지출 2021년 상반기 전국 주민 1인당 소비지출 규모는 11만 471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17.4%임. - 1인당 소비지출 규모는 2019년 상반기 대비 11.0% 증가하였고 2년 평균 증가율은 5.4%이며 증가율은 3.2%임. - 도시 주민 1인당 소비지출액은 1만 4,566위안으로 16.7% 증가했고, 농촌 주민 1인당 소비지출액은 7,464위안으로 20.2% 증가함. 소비지출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료품·담배·술의 1인당 평균 소비지출액은 3,536위안으로 전년 대비 14.2% 증가하며 전체 소비지출의 30.8%를 차지함. - 1인당 평균 주거 소비지출액은 2,649위안으로 7.5% 증가했으며 전체 소비지출의 23.1% 비중임. ▣ 지역별 1인당 가처분소득 2021년 상반기 31개 성·시별 1인당 가처분소득은 상하이가 4만 357위안, 베이징 3만 8,138위안, 저장성 3만 998위안으로 상위 3위에 랭크됨. - 장쑤, 톈진, 광둥, 푸젠 지역의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은 2만 위안을 넘김.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상위 10위권에 상하이, 베이징, 저장, 장쑤, 톈진, 광둥, 푸젠, 산둥, 랴오닝, 충칭이 진입함. <출처> 1. “2021年上半年居民收入和消 支出情 ” 家 局. 2021. 7. 15. 2. “快看!上半年, 蒙古居民收入全 排名第11!” 活力 蒙古. 2021. 7. 2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상반기 중국 무역 특징
2021년 7월 13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院新 公室)은 2021년 중국 상반기 무역 현황을 발표함. - 2021년 상반기 중국은 안정적인 코로나19 통제와 사회경제 발전에 힘입어 대외무역 총액은 18조 700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27.1% 증가함. 2021년 상반기 수출은 9조 8,500억 위안으로 28.1%이며, 수입은 8조 2,200억 위안으로 25.9% 증가함. - 2021년 상반기 무역총액은 2019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하였고, 수출 23.8%, 수입 21.7%로 각각 증가함. ▣ 2021년 상반기 중국 무역 특징 첫째, 중국 무역 13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성장 - 6월 중국의 대외무역 총액은 3조 2,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하였고, 2020년 6월부터 13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함. 둘째, 주요 교역 상대국과의 양호한 무역 증가세 - 중국의 주요 무역협력국인 유럽, 아세안, 미국과의 무역총액은 2조 6,600억 위안, 2조 5,200억 위안, 2조 2,100억 위안이며, 각각 27.8%, 26.7%, 34.6% 증가함. - 일본과의 무역총액은 1조 1,800억 위안으로 14.5% 증가함. - ‘일대일로’ 관련국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결국가와의 무역 규모는 각각 27.5%, 22.7% 증가함. 셋째, 일반무역의 빠른 수출입 증가 속도 - 상반기 중국의 일반무역 총액은 11조 1,900억 위안으로 30.7% 증가하였으며, 중국 대외무역총액의 61.9% 차지함. 그중, 수출은 6조 200억 위안으로 32.1% 증가하였고, 수입은 5조 1,700억 위안으로 29.2% 증가함. - 가공무역 무역총액은 3조 8,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하며 21.5%를 차지함. 넷째, 강화된 민영기업의 지위 - 상반기 중국 민영기업의 무역총액은 8조 6,400억 위안으로 35.1% 증가하였고, 대외무역 총액의 47.8%를 차지하고, 전년 동기 대비 2.8%p 증가함. - 외자기업 무역총액은 6조 6,100억 위안으로 19% 증가하였으며, 국유기업 무역총액은 2조 7,500억 위안으로 23.8% 증가함. 다섯째, 기계·전기 제품의 높아진 수출 비중 - 상반기 기계·전자제품의 수출액은 5조 8,300억 위안으로 29.5%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출액의 59.2%로 전년 동기 대비 0.6%p 증가함. 그 중, 자동데이터 처리설비 및 부품 수출은 17%, 핸드폰은 23.3%, 자동차는 101.4% 증가함. - 노동집약형 상품 수출은 17.1% 증가였고 의약재 및 의약품은 93.6% 증가함. 여섯째, 철광석, 천연가스 등 벌크 수입 증가 - 상반기 수입된 철광석은 5.6억 톤으로 2.6% 증가하였고, 천연가스 5,981.9만 톤으로 23.8% 증가함. - 대두 수입은 4,895.5만 톤으로 8.7% 증가, 옥수수 수입은 1,530.2만 톤으로 318.5% 증가, 밀 수입량은 536.8만 톤으로 60.1% 증가함. - 원유 수입은 2.6억 톤으로 3% 감소함. <출처: “上半年 出口情 如何?海 署: 物 易 出口 同比增 27.1%” 人民 . 2021. 7. 1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1년 중국 현급 경제, TOP 100현
2021년 8월 4일 중국 사이디 컨설팅( 迪 ) 현급 경제연구센터는 「2021 중국 현급경제 100강 연구(中 域 百强 究)」를 발표함. - 연구는 중국 현( )의 경제력, 성장잠재력, 부유 수준, 녹색발전 4대 유형의 24개 지표를 가지고 종합평가하여 상위 100개 현의 순위를 공개함. 조사지역은 1,870개 현급 행정구획으로 388개 현급시, 1,313개 현, 117개 자치현, 49개 기(旗), 3개 자치기를 포함 2021년 100대 현은 전국 토지의 2% 미만, 인구는 7%, GDP는 9.8%를 차지함. - 100대 현의 1인당 GDP는 11.2만 위안이고,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대비 상위 25.8%에 달함. - 또한, 100대 현 가운데 GDP 1조 위안 이상인 지역은 38개로, 전년 대비 5개 증가함. 2021년 중국의 1,870개 현급 행정구획 가운데 가장 경쟁력 있는 현은 장쑤성의 쿤산시(昆山市)이며, 2위, 3위, 4위도 모두 장쑤성 소재의 장인시(江 市), 장자강시( 家港市), 창수시(常熟市)가 각각 랭크됨. - 푸젠성 진장시(晋江市), 저장성 츠시시(慈溪市), 후난성 창사현( 沙 ), 산둥성 롱커우시( 口市)는 각 성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현으로 뽑힘. 권역별 100대 현 분포는 동부지역이 65개로 가장 많으나, 전년대비 2개 감소했고, 중부지역 10개, 서부지역 10개, 동북지역은 3개로 집계됨.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장쑤성이 25개로 1/4를 차지하고, 저장성 18개, 산둥성 13개로 동부 연해지역에 위치한 3개 성이 50% 이상을 차지함. 중국 정부는 현급 도시 경제 발전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 <출처: “ 三 上榜2021中 百强 因 只有三 ” 新浪山 . 2021. 8. 6.>
홈 > 최신중국동향 -
[환경] 중국 기후변화 심화
2021년 8월 4일 중국기상국(中 象局)은 「중국 기후변화 보고서(中 候 化 皮 ) 2021」을 발표함. - 보고서는 관측과 여러 지표를 분석한 결과 온난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극단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함. 2020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이후 1.2℃ 높아졌고, 아시아대륙의 지표면 평균 기온은 1981~2010년 1.06℃ 상승하여, 20세기 이후 가장 높게 관측됨. 중국의 연평균 지표면 기온 상승추세 - 1951년부터 2020년까지 상승률이 0.26℃/10년으로 세계 평균인 0.15℃/10년보다 확연히 높은 수준임. 강수량 역시 증가하고 있음. - 1961년 이후 중국의 매 10년간 평균 강수량이 5.1mm씩 증가했으며, 평년 강수일수는 눈에 띄게 감소하고, 연간 누적 호우 발생일 수는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창장( 江) 남동부, 칭짱( 藏)고원 중북부, 신장 북·서부의 강수량 증가세가 두드러졌지만, 동북지역 남부, 화북지역 동남부, 황하이( 淮), 서남지역 동·남부, 서북지역 동남부의 연간 강수량은 감소세를 나타냄. 온난화, 호우 등 극단적인 기후 사건이 증가하여, 중국의 기후 위험이 커지고 있음. 1990년대 이후 중국에 상륙한 태풍의 평균 강도도 높아지고 있음. - 1991~2020년 중국기후위험지수 평균치(6.8)는 1961~1990년 평균치(4.3)보다 58% 증가했음. <출처: “《中 候 化 皮 (2021)》重磅 布” 浙江天 . 2021. 8. 5.>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