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네트워크 보안시장 : In-depth Market Report
< 목 차 > 서 론 1 프로젝트 배경 1 프로젝트 운영 1 시장범위의 확정 3 제1장 중국 정보보호시장의 총체적 현황 5 제2장 중국 정보보호시장의 전체규모 및 구조 22 제3장 정보보호시장의 세분화 — 방화벽 30 제4장 정보보호시장 세분화 - IDS 85 제5장 정보보호시장 세분화 - VPN 113 제6장 정보보호시장의 세분화 - PKI 138 제7장 중국 정보보호시장 판매채널 분석 149 제8장 중국 네트워크 보안과 고객 서비스 체계에 대한 분석 175 제9장 중국 정보보호시장 고객 수요분석 181 제10장 기타 정보보호 관련 정보 191 제11장 정보보호시장 진입에 관한 연구 199 제12장 중국 정보보호시장 진입전략 214 제13장 결론 및 건의사항 22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방문판매법 관련 법규 연내 출시될 예정
중국, 방문판매법 관련 법규 연내 출시될 예정 중국은 WTO 가입시의 약속을 준수하고 방문판매업의 건전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금년 내에 방문판매법을 공포할 예정임. 지난 1998년 4월 다단계판매 금지령(《關於禁止傳銷經營活動的通知》)을 내리고, 10개의 외국인 투자기업에 한해서만 중국정부의 허가아래 다단계 판매방식을 점포 판매와 영업원에 의한 판매를 결합한 판매방식으로 전환하여 영업을 해왔던 방식에 변화가 생기게 된 것임. 그러나 2001년 WTO 가입 조건으로 3년 내에 고정된 영업장소가 없는 판매 방식에 대한 시장진입제한을 취소하기로 약속함에 따라 방문판매법이 준비되어 온 것임. 방문판매법 초안의 핵심내용은 방문판매 형식과 다단계 판매형식을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며, 국제관례와 중국의 현실에 맞는 관리방식을 선택하게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합법적인 중국 기업 및 외국인 투자 기업의 공동발전을 추진하되, 지속적으로 불법 다단계 판매방식을 단속하는 동시에 합법적인 방문판매 방식의 발전은 격려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임 이와 같은 방문판매법의 출시는 특히 기존의 10개 외국인 투자기업에 직접적인 이익을 가져다주게 될 것으로 예상됨 * 10개 기업 : Amway, AVON, Mary Kay, 天津尙赫保健用品公司, 中山市完美日用品有限公司, 上海富迪健康科技有限公司, 蘇州百美化粧品有限公司, 特百惠(中國)有限公司, 日暉企業發展(上海)有限公司, 上海娜麗斯化粧品有限公司 ** 현재 上記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 현황 Amway : 2003년 중국시장의 판매액이 100억위안에 달해, Amway의 최대 해외시장으로 성장하였음. 현재 중국에 110여 개의 전문점과 7만여 명의 영업원을 가지고 있음. AVON : 중국 74개 대․중형 도시에 5,500여 개의 전문매장과 2,000여 개의 점포망을 가지고 있으며, 2003년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액은 24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 Mary Kay : 1998년에 중국시장에 진입하여 2001년부터 이익을 창출하기 시작함. 현재 중국 화장품 시장의 7~8%를 점유하고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SI 시장 : In-depth Market Report
*Korea IT Industry Promotion Agency(KIPA;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S/W진흥원은 국내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의 일환으로 해외시장진출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동남아 등 5개 지역, 13개 분야에 대한 In-depth Market Report를 작성하였습니다. 해외시장진출에 관심있는 기업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 목 차 > 1. 서론 2. 중국 SI 시장의 현황 및 전망 3. 시장 참여자의 현황과 경쟁정보 4. 중국 전자정부의 시장 분석 5. 향후 전망 및 진출 전략 참고목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고정환율제 관련 보고서[통상교섭본부 (국제경제국 최근주요이슈)]
-------------------요약-------------------- 경제분석기관인 Global Insight사는 최근 중국의 환율제도 관련 보고서를 발표한 바, 동 보고서는 현재 중국의 고정환율제는 통상마찰 이외에 중국의 유동성 과잉 및 과열 경제성장 등의 문제를 가속화 시켜주는 원인 이기 때문에 중국정부는 위안화 문제를 그대로 두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중국정부가 검토할 수 있는 정책 대안 으로 ① 위안화 재평가, ② 환율 변동폭은 확대하되 자본통제는 유지 ③ 자유 환율 변동제 도입과 자본금계정(capital ccounts) 개방 ④ 위안화를 주요 교역국의 화폐에 연계 ⑤ 현재 고정환율제를 유지하되 외화수입의 유출 허용 및 기타 평가절상 압력 완화책 도입 등 5가지 정책을 제시 , 평가하고 환율제도 변경에 따른 각종 위험을 감안하여 당분간은 고정환율제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면서 과열된 국내경기를 완화시키는 정책을 펼 것으로 보고 있음. 총 3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욱일승천하는 중국 - 우리의 수출시장
-------------------목차------------------ Ⅰ. 일반개황 Ⅱ. 중국경제의 위상과 전망 1. 세계경제에서 중국경제의 위상 2. 중국경제의 장기비전 3. 중국경제의 주요 문제점 Ⅲ. 최근 중국경제 동향 및 전망 1. 2003년 중국경제 실적 및 평가 2. 2004년 중국경제 전망 Ⅳ. 한중 경제교류 현황 1. 한중 교역현황 2. 품목별 수출입 동향 3. 대중 투자현황 및 문제점 Ⅴ. 중국 이해 1. 중국시장 특성 2. 중국에 대한 오해 3. 중국인의 사고방식과 사상 Ⅵ. 중국 진출시 유의사항 총 28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우리나라 對중화권 수출 비중 30%선 훌쩍
□ 올 들어 우리나라의 對중화권(중국・홍콩・대만) 수출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됨. ㅇ 對중화권 수출액은 1월에 57억 400만 달러(전년동기 대비 53.7% 증가)로 전체 수출(189억 9,900만 달러)의 30.0%를 차지 주요 시장별 수출 비중 주 : 기간은 2004년 1월부터 2월 20일 자료원 : 산업자원부 ㅇ 올 1월부터 2월(20일)까지 실적은 98억3,000만달러(64.4% 증가)로 전체 수출실적(315억 8,500만 달러)내 비중이 31.1%로 상승 - 중국(18.4%), 홍콩(9.3%), 대만(3.4%) - 지난 해 같은 기간 對중화권 수출 비중은 26.8%였음 □ 1〜2월(20일)까지 對중화권 수출은 각 지역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임 주요 시장별 수출 실적 주 : 기간은 2004년 1월부터 2월 20일, 금액 : US$ 백만 자료원 : 산업자원부 ㅇ 對중 수출(58억 1,900만 달러)은 대미 수출(45억 5,900만 달러)과의 격차가 12억 6,000만 달러로 크게 벌어짐 - 중국은 앞으로도 확고한 최대 수출시장 정착 확실시 ㅇ 對홍콩 수출(29억 3,500만 달러)은 전년동기 대비 109.0%의 폭증세를 보임 - 홍콩 자체의 경기회복세 진입과 지난 1월 1일부 중국-홍콩간 '경제무역강화협정'(CEPA) 체결 효과때문으로 분석 - 향후 홍콩 재수출(Re-export) 시장 관리강화 필요성 확대 ㅇ 對대만 수출(10억 7,600만 달러) 증가율도 30.9%로 지난 해 한 자리 수 증가세를 크게 웃돈 것으로 집계 -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완화로 수입수요 지속 확대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다국적 제약기업 중국 의약시장 공략
1. 중국 제약산업 현황 및 전망 관련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세계 평균 1인당 약품 소비액은 50달러 였다. 미국의 경우 1인당 약품 소비액은 300달러 였으며 , 중국의 경우는 10달러 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중국 의약시장은 매우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향후 5년간 15-20%의 성장률 을 보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또, 2010년의 경우는 1인당 약 품소비액이 6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2020년에는 1,200달러로서 미국을 추 월하여 세계 제일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 따라서,중국 의약시장은 세계 각 대형 제약기업 및 의약 통기업에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다가서고 있다. 합병 후, 세계 제약산업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사업본부는 중국시장을 아주 중시하고 있으며,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중국투자는 아태지역 중 최대이고, 심지어는 지난 5년간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제약분야 최대투자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지난해 10월 말에 정식으로 운영에 들어간 티엔진(天津) 소재 등록자본 9,200만 달러의 공장과 투자액 1.36억 달러의 쑤저우(蘇州) 공장이 포함 된다. 2. 중국의 다국적 제약기업 현황 중국 제약산업 개방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시작되었다. 일본 오츠카 제약이 1980년에 협상계약을 체결 한 것 외에 상하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ristol-Myers Squibb), 시안(西安) 얀센(Janssen), 티엔진(天津)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충칭(重慶)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우시(無錫) 화루이(華瑞)제약유한공사, 쑤저우(蘇州) 캡슐유한공사, 다리엔(大連) 화이자(Pfizer), 항저우(杭州) 머크(Merck), 선양(沈陽) 야마논치(Yamanonchi), 베이징 노바티스(Novartis), 프레지니우스(Fresenius), 상하이 로슈(Roche), 로슈 산웨이(三維) 비타민유한공사, 로슈 타이산(泰山) 비타민제품유한공사, 로슈 신아(新亞) 비타민유한공사, 화베이(華北) 제약과 독일 훽스트(Hoechst)의 합자, 동베이(東北)제약과 바스프(BASF)의 합자 등이 있다. 세계 1-20위의 다국적 제약기업이 모두 중국에 이미 합자기업을 설립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외자 독자기업 또한 있으며, 예를 들면 아스트라(Astra), 노보 노르디스크(Novo Nordisk) 등이다. 3. 세계적 다국적 제약기업의 대중국 투자현황 2001년 말 중국의 제약관련 삼자기업은 이미 1,970개 에 달했으며, 외자 유치액은 20억 달러 정도였고, 실제 투자액은 15억 달러였다 . 그 중 약품관련 합자기업은 645개였다. 삼자기업은 설립 후 2년간 소득세를 면제받고, 그 후 3년간 소득세의 절반을 면제받는다. 뿐만 아니라 가격을 자체적으로 책정해서 등록할 수 있는 우대정책의 혜택을 누리며, 품목, 선진기술, 선진관리를 도입할 수 있다. 삼자기업은 비교적 좋은 실적을 거두었으며, 합자기업의 판매이윤율은 최고 20%에 달한다. 오츠카 제약, 얀센,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모두 일찍이 중국에 진출하여 중외 합자기업 중 베스트 10에 선정되었으며, 그 중 얀센은 두 번이나 1위의 영예를 안았다. 중국 최대의 500개 외자기업 중 제약기업은 14개이며 , 그 중 외국측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13개이다. 시안 얀센은 5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티엔진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5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설립되고 있는 합자기업에 대해서 외국측은 90%의 이상을 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성장을 거듭하는 다롄
성장을 거듭하는 다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다롄의 공업 발전과 진출 유망 품목
다롄의 공업 발전과 진출 유망 품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칭다오(靑島), 철강산업 현황
제련에서 가공으로, 보통철재에서 도색판ㆍ철구조에 이르기까지, 칭다오시의 철강산업 체인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다. 1. 칭다오 토착기업인, 칭강(靑鋼)기업은, 1997년에서 2002년까지, 이윤이 25배 성장하였고, 이윤세금은 10배 성장했다. 작년 강철,쇠,철재 3개 영역에서 200만 톤 생산의 목표를 달성했고, 용접용 철제품의 시장의 배당액은 중국전체시장의 50%이상을 점유 하고 있다. 작년 연말, 칭강은 또 중국 내 일류 제련 특강기지 건설의 중요정책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칭강이 근래 제품구조를 대폭 조정하는 것은, 보통철강에서 특수철강으로의 전환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시장에 부합하고 산업체인을 늘리려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2. 한국 포항제철과 칭강이 합자한 포항 스틸레스 프로젝트는 , 2002년 10월 칭다오 경제기술 개발구에 기초를 다졌다. 포항 스틸레스 프로젝트에 총 1.8억 달러가 투자되었고, 냉간압연 스틸레스를 주로 생산할 것이고, 연 생산량은 18만 톤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칭다오 시의 일회성 투자 중 가장 많은 중외 합자 프로젝트이고, 또 중국 현재 냉간압연 스틸레스 생산의 최대 프로젝트이고, 그 기술과 설비가 금년 세계 최대 선진 기술에 달하고 있다. 3. 상하이 바오강 기업이 7000만 위안을 투자하여 건설한 청도 바오강 자재 배송 기업은 , 2002년 10월 칭다오 경제기술 개발구에서 '개장'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탈리아의 FIMI회사가 소유한 생산라인을 유치하고, 냉간압연ㆍ열도금아연ㆍ전기도금아연ㆍ도색판 등을 절단가공 이 가능하고, 연 생산량이 10.5만 톤에 달한다. 생산라인은 여러 항목에서 세계선진기술 수준이고, 북방지역의 정밀 스탬핑 가공과 스틸레스 절단가공의 공백을 메워주고 있다. 4. 산동 라이강(萊鋼) 기업의 계열 회사인 산동 라이강 건설회사는, 2003년 7월 칭다오에 주둔했다.이는 라이강이 청도를 비강산업 발전의 전략기지임과 동시에 세계화로 뻗어나가는 교두보로 생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주둔 첫 달, 칭다오 라이강 구조 회사가 칭다오 경제기술개발구에서 준공을 시작했다. 라이강의 철강 구조가 가동에 들어 간 후, 8만 톤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중국 내 최고의 철강구조제조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 허베이 한강(邯钢)기업은, 2003년 10월칭다오경제 개발구에 인접한 항구공업 지역 내에 자리를 잡으면서, 건설 자재 프로젝트에 3억 위안을 투자됐고, 고급 도색판과, 아연과 알류미늄 합금 도금 금속층을 생산하고 있다. 프로젝트 가동 후, 연간 매출액이 12억 위안에 달했고, 이윤세금 1억 위안을 실현했다. 외지 철강기업이 칭다오로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대표적인 이유는 첫째, 칭다오에 가전,자동차,조선,항구 등의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잇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고, 둘째, 인프라 건설과 건축업의 쾌속발전으로 스틸레스ㆍ 냉간압연ㆍ열도금아연ㆍ전기도금아연ㆍ도색판등 철강제품의 가공수요가 폭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칭다오의 제품구조조정과 외지에서 온 기업의 가공생산은 칭다오 철강산업 체인의 확장을 촉진하고 있다 (자료출처: 中國新息罔 /03/05)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