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물류체계의 현황과 개선방향 [세계경제 2004. 2]
------------------목차------------------- 1. 배경 2. 동북아 물류 체계의 현황 <표1> 동북아와 주요 선진국의 운송기반시설 현황 <그림 1> 각 국가의 도로 포장률 가, 역내 해상물류체계 나. 역내 육상 물류체계 3. 유럽의 통합운송시스템 추진과정 <표2> 유럽횡단네트워크(TEN) 구축을 위한 14개 프로젝트안 4. 시사점 가, 동북아 역내 효율적 물류체계 구축: 물류 공조체제의 필요성 자. 물류인프라 확충을 위한 동북아개발은행 설립 총 1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지린성, 가스 시장 개방
[지린성, 가스 시장 개방] - 가스용품 공동 진출 모색해야 - 지린성(吉林省)이 국내외 자본에 가스 시장을 개방한다. 지린성은 가스관리조례(吉林省燃氣管理條例. 이하 '조례')를 통해 2004년 3월 1일부터 국내외 자본의 지린성 가스 시장 진출을 적극 권장하고 있어 우리 업계의 관심이 요구된다. 지린성은 우수 기술과 관리기법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외 자본을 적극 유치할 예정이다. 조례 제14조에 따르면, 가스 경영기업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소재지 현급 이상 정부 주관 부서의 1차 심사를 받아 통과한 후 지린성 성정부 주관 부서의 2차 심사를 거쳐 비준을 받아 '가스 기업 영업허가증(燃氣企業經營許可證)'을 발급받아야 한다. 최근 지린성 가스 시장은 투자 건설, 영업 방식, 생산 품종 등 방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였는데, 기존의 '지린성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규정'은 가스 공사, 관련 시설 건설, 생산 및 경영, 안전 등 부문에 대한 관리가 취약하여 이번 조례에서 이들 부문에 대한 관리 규정을 대폭 강화했다. 조례 제25조에 따르면, 가스 경영기업은 가스 사용자의 실내 가스선로, 밸브, 계량기기에 대해 유지 보수를 실시해야 하며, 사용 기한이 지난 가스 설비에 대해서는 가스 기업이 직접 비용을 부담하여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짓고 있다. 한편, 지린성내 주요 가스 업체로 長春燃氣股份有限公司, 吉林市液化氣公司, 吉林市管道煤氣公司, 延紀實燃氣公司 등이 있고, 중국내 기타 주요 기업으로 海南民生燃氣集團有限公司, 深圳市燃氣集團有限公司, 上海大衆燃氣有限公司, 北京大地燃氣公司, 南京港華燃氣公司 등이 활동하고 있다. 지린성 진출을 시도할 경우, 단독 진출보다는 안전 설비 제조업계와의 공동 진출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는데, 가스 용기, 압력 조정기, 호스, 가스 용도에 따른 각종 밸브, 가스 계량기, 가스 경보기 및 센서, 가스 누출 자동 차단기 등 품목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 國家認證監督委員會 관계자에 의하면, 2003년 8월부터 시행된 CCC 인증 대상에 가스용품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업계의 견해에 대해 원칙적으로 의견은 같이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언급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중국의 가스용품은 품질이 매우 낮아 안전성, 환경보호, 에너지 절약 등 분야에 대한 기준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는 1천여개의 가스용품 제조업체가 있으나, 만약 CCC 인증 기준을 가스용품에 적용한다면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업체는 1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우리 업계의 진출에 청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우리 업계는 조기에 진출을 시도하여 시장 선점 효과를 노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정보원 : 길림신문, 吉林省建設廳, 國家認證監督委員會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국 화섬기업의 대중 생산기지 이전 현황
1. 한국 화섬생산기업의 기지 이전 최근 한국의 화섬생산기업은 새로운 발전공간을 개척하기 위해 중국 등의 국가로 생산기지를 대거 이전하고 있다. 이는 2005년 1월부터 전세계적으로 섬유 및 그 제품의 수입 쿼터가 완전히 폐지되는 새로운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2. 섬유 및 섬유제품의 수입 쿼터 폐지시 한국화섬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섬협회의 관련 인사는 “지난 40년간 쿼터제 시행으로 인해 한국기업은 매년 수입국과 협상을 통해 수출 한도액을 정해야 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수출량을 확보하였다. 현재 쿼터제가 폐지된다는 것은 한국의 화섬 및 섬유제품 생산기업이 국제시장에서 중국, 동남아시아, 동유럽 등 생산원가가 저렴한 국가와 경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특히 최대의 수입시장인 미국시장에서 중국제품과 경쟁해야 한다. 이로써 한국의 화섬 및 그 제품 생산기업은 중대한 손실을 입게 될 것이며, 대미 수출량은 대폭 감소할 것 이다.”라고 밝혔다. 3. 섬유 및 섬유제품의 수입 쿼터 폐지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 미국무역위원회(ITC)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 및 그 제품에 대한 수입쿼터 폐지 이후 중국제품은 미국의 대형 섬유기업, 의류기업, 유통기업을 통해 미국에서의 판매량을 확대할 것이며, 2006년 이전에 한국제품의 대미 수출량은 감소할 것이고, 그 수출액은 16억 달러나 감소할 것이다 . 4. 한국 화섬기업의 대응방안 현재 한국의 화섬기업은 이미 대응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 효성이 중국 저쟝(浙江)에 세운 연산 8,400톤 규모의 타이어 코드 생산공장이 5월 생산에 들어갈 것 이다. 이외에 효성이 중국 광동(廣東)과 칭다오(靑島) 등지에 세운 3개의 화섬제품 생산공장 또한 올해 생산에 들어갈 것이며, 이 4개 공장의 투자규모는 3.3억 달러이다. 코오롱 또한 4,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난징(南京)에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 생산공장을 설립하였다. - 중국 외에 한국의 화섬기업, 섬유기업, 의류기업은 베트남을 중요 생산기지로 삼아 베트남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함으로써 생산량을 확대 하고 있다. 베트남의 노동력이 중국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주로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한국의 화섬 및 그 제품 생산업계는 한국기업이 향후 중국 등의 국가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료출처 : (中國化工新息罔 2004/ 03/ 11일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화남지역 극장업 투자 열기
화남지역 극장업 투자 열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석유화학산업의 발전은 랴오닝(遙寧) 발전전략의 핵심
3월 7일 랴오닝(遙寧)성 대표단은 기자회견을 열어 “ 랴오닝성의 노후 공업기지 진흥전략과 마찬가지로 구조조정을 거친 석유화학산업은 이번 '새로운 랴오닝 건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1. 랴오닝성의 석유화학 구조조정추진 이유 랴오닝성은 1차 5개년 계획 기간동안 풍부한 석유, 석탄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특대형의 석유화학기지를 지속 건설하였으며, 이로써 석탄도시 푸순(撫順) , 석유도시 판진(盤錦), 마그네슘 도시 다스차오(大石橋) 등의 특색도시를 탄생 시켰다. 이로써 석유화학산업은 랴오닝 경제발전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랴오닝성은 체제적인 난관에 부딪힌 것 외에 자원고갈 및 기업적자의 난관에 직면해 있다. 이로써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은 랴오닝성 발전전략의 핵심이 되었다. 2 , 석유도시 판진시의 발전계획 석유를 통해 발전한 판진(盤錦)시는 장기간 석유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그 경제성장이 다년간 랴오닝성의 전체적인 수준보다 낮은 상태이다. 판진시는 현재,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을 강화하여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한편 매년 15%의 비율로 석유화학 제품산업을 발전시킬 계획이며, 이로써 석유화학 제품산업이 판진시 경제의 2/3에 달하도록 할 계획에 있다. 3. 다리엔시와 우순(撫順)시 진흥 목표 다리엔(大連)시의 진흥목표는 탄토능력 5,000-8,000톤의 중국 최대 액체석유 화학제품 집산지이자 3,000톤 규모의 최대 정유기지가 되는 것이다. 우순(撫順)시는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요람으로서, 중국 국내적으로 화학섬유 가공이 가장 뛰어나고 산업사슬 또한 가장 체계적인 우위를 지니고 있다. 진흥전략 중 우순시의 목표는 정유 주도형에서 화학 주도형으로 전환 하는 것이며, 그 목표는 정유제품 총량 1,000만 톤, 정밀화학 생산능력 100만 톤을 달성하는 것이다. 4. 랴요닝성의 경제발전 촉진 특징 및 현황 대형 프로젝트에 의존하여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것은 랴오닝성의 특징이다 . 석유화학산업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랴오닝성이 구축 중이거나 구축할 계획인 1,000만 위엔 이상의 석유화학 프로젝트는 이미 100개에 달한다. 예컨대 전국 최대의 아스팔트 및 나프텐계 윤활유 생산기지 프로젝트, 전국적으로 중요한 질소비료 및 복합비료 프로젝트, 5,000톤의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프로젝트 등이다. 랴오닝성의 새로운 성장(省長) 장원위에(張文岳)는 “랴오닝 노후 공업기지 진흥의 상징은 2010년 랴오닝성의 1인당 GDP가 27,000위엔에 달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자료출처 : (中國化工新息罔, 2004/ 03/ 11)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경영정보:합종연횡 바람 거센 중국시장 [LG주간경제 2004.03.17]
------------------------목차----------------------- 1. 중국내 전략적 제휴가 변하고 있다 - 시장과 기술의 교환: 1세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 - 상호역량 보완 2세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 차세대 기술 표준의 장악(2003년 이후~) 2.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의 매력 3. 독자표준을 고집하는 중국 시장의 특수성 4. 중국 기업의 자체 R&D 역량 확보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경제정보:중국 위안화 절상의 산업별 영향 [LG주간경제 771호 2004.03.17]
---------------------목차-------------------------- 1. 경쟁 업종은 제3국 시장에서 유리 <표1> 한중 산업간 경쟁 관계 <표2> 한국의 품목별 대중국 수출 - 철강판, 반도체, 석유화학 중간 원료등 중국의 수출 경기에 영향을 받는 제품들의 경우 위완화 절상 시 수출 감소가 우려됨 2. 중국 진출 현지법인에의 영향 <그림 1> 현지법인의 업종별 수출관계 수입조달 비중 <표3>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매출입 구조 - 중국 진출 업종 가운데 전자통신, 고무 플라스틱, 가죽 신발 업종은 채산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 총 5쪽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홍콩, 주강삼각주와의 연계강화
광동성의 주강삼각주 지역(珠江三角洲: 광주, 심천, 주해, 중관 등 광동성 14개 市,縣)은 인구 6-7백만의 거대도시인 광주, 심천이 지역경제를 주도하고 있으며, 광동성 전체 GDP의 80%이상, 공업생산액의 GDP는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이 지역은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상해시를 중심으로 강소성, 절강성의 15개도시)지역과 더불어 중국의 최대 제조업 기지로서 꼽히고 있다. 홍콩은 지리적으로 주강삼각주 지역과 인접해 있어 중국의 개혁개방 이래 기업의 약 90%가 주강삼각주에 공장을 설립, 대부분의 홍콩 제조업이 대륙으로 이전된 바 있다. 특히 97년 이후 광동성의 홍콩자본의 이용금액은 더욱 크게 늘어났으며, 90년대 후반부터는 제조업 뿐 아니라 홍콩의 건설업, 물류, 소매업, 부동산 등 서비스업종의 진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근래 이렇게 홍콩과 주강삼각주와의 연계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데에는 두 지역의 상호보완성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홍콩은 아시아의 금융, 물류 중심지의 위치를 가지고 있으나 고비용 구조 등으로 제조업 기반이 약해 경제발전에 한계가 있으며 광동지역의 경우, 최근 경제의 급속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에 줄 수 있는 금융 및 물류서비스가 낙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광동내 제조업과 홍콩의 금융, 물류업이 연계를 통한 전체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효율성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홍콩-심천간 서부통도 준공, 港珠澳 대교건설, 홍콩-심천-광주간 고속철 건설 등의 두지 역간의 인프라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04년 부터는 광동성 주민의 개인자격으로 홍콩방문 실시, 홍콩내 인민폐 업무실시, CEPA 하 374개 업종 무관세 및 18개 서비스업 개방 등 각종 정치적, 경제적 조치들이 실시되고 있다. 이중 2003년 6월 29일 체결된 바 있는 CEPA(홍콩-대륙간 경제협력강화협정: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은 홍콩과 주강삼각주 지역간 前店後廠” (앞에서 상점를 차리고 뒤에서 공장을 차린다)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EPA 협정은 크게 제조업, 서비스업, 교역 프로세스 개선의 3개 항목으로 구분되는데 제조업 부문의 374개업종 부문에 상호간 무관세를 실시와 18개의 주요 서비스부문 (경영컨설팅, 컨벤션, 광고, 회계, 의료/치과, 여행, 물류, 화물수송, 보관/창고업, 운송, 건설/부동산, 시청각 서비스, 법률, 금융, 증권, 보험, 유통, 정보통신)개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GDP의 85% 가량을 서비스업에 의존하고 있는 홍콩으로서는 CEPA로 인한 제조업 부문의 혜택보다는 서비스 개방에 따른 수혜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18개 부문의 서비스 개방은 WTO가입 시 합의된 것 보다 약 1년에서 3년 정도의 조기개방을 실시하는 함으로서 중국대륙으로서는 WTO에 대비한 개방의 충격을 덜고 홍콩으로서는 선점효과를 통해 경쟁국으로부터의 우위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밖에도 최근 홍콩과 주강삼각주간 인적 교류 및 왕래가 급속히 활발해지고 있다. CEPA 체제하에서 홍콩 영구시민권자의 경우 대륙으로 법률, 회계, 의료 등 전문분야에도 진출이 가능해졌으며, 광동내 지역제한 없이 홍콩개인소유 소매상점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당수 홍콩 중산층의 대륙이동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대륙인들의 홍콩 왕래의 경우, 2003년부터 광동지역 14개시와 상해, 북경 주민들에게만 실시되었던 홍콩개인여행 자유화가 2004년 5월 1일부터는 광동 전지역 주민에게 확대될 예정이다. 실제적으로 홍콩의 거리 곳곳 어디에서든 부통화를 하는 대륙인들을 만날 수 있으며, 쇼핑 상점마다 명품을 찾는 대륙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대륙관광객 방문으로 인해 소매업과 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소비가 촉진되고 실업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 현지언론에서도 홍콩경제가 침체기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보도를 많이 접하게 된다. 특히 아시아금융위기이후 60%까지 하락되었던 부동산 경기도 회복세에 있으며 SARS 발발 시 홍콩경제가 최저점을 지나 2004년에는 GDP 성장률 6.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홍콩 경제성장의 주요동력으로 무엇보다도 중국과의 무역/ 서비스 교류확대와 이에 따른 내수시장 활성화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중국대륙의 진입기지로서의 홍콩의 역할뿐 아니라 홍콩경제 발전에 있어서 중국(특히 주강삼각주)의 중요성과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홍콩은 일국양제(一國兩制)의 체제하에서 중국경제와의 융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정치적, 경제적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3년 한・중・일 FTA 협동연구 총괄보고서 [정책연구(Policy Analyses I) 03-27]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중일 FTA의 추진 당위성과 선행과제 제3장 한중일 FTA 대비 제조업 구조 분석 제4장 한중일 FTA 하의 정책 방향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총 297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안후이(安徽)- 목재 가격 상향추세
3월에 들어 건축과 인테리어 시장이 전면적으로 가동, 목재 수요량이 증가하면서 안후이성에 수입되는 목재와 국산 목재의 가격은 각각 상향세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허페이위 삼목업(合肥裕森木業)의 관련 인사는 수입 판재들의 가격 상향세는 수출국 정부당국의 목재에 대한 엄격한 관리때문 이라고 전했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의 황관9리 판재의 판매가는 작년 까지만 해도 장 당 78위안이었으나 현재는 90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2리 판재도 108위안에서 현재는 125위안으로 인상되었다고 한다. 그에 비하여 중국산 판재의 가격에도 변동이 있었으나 장 당 5각(角)에서 1위안 정도 밖에 인상되지 않았다. 중국산 판재의 가격 인상의 원인 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정부의 수목에 대한 벌목 관리가 엄격 해졌기 때문이고 둘째, 정부의 엄격한 판재 관리로 인해 (특히 판재의 오염도에 많은 관심을 가짐) 판재 생산상들이 기존의 국산 접착제를 쓰지 않고 수입 접착제를 사용 하고 있기 때문에 목재 생산의 원가가 인상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인사들의 전망에 의하면, 원자재 생산량의 긴축과 수요량의 증가로 인해 판재 가격은 지속적인 상향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자료출처: 中國建材罔 (2004/03/11)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