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품목별 경쟁력 분석과 대응방안
< 목 차 > 1. 연구개요 2.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현황 및 전망 3. 중국 PE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4. 중국 PP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5. 중국 TPA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6. 정책 시사점 및 대응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 위안화 평가 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1. 중국의 환율 제도와 환율 추이 ○ 중국은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도 국가로서 97년 이후 8.28 위안/달러 유지 - 중국은 위안화를 달러에 페그(peg)시키는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임 - '97년 이후부터 달러당 8.28위안 수준을 유지 2. 평가 절상 가능성 ○ 최근 위안화에 대한 평가 절상 압력 심화 - (대외적 압력)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의 대 중국 무역적자 확대 등으로 최근 주요 교역국들의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이 심화되고 있음 - (대내적 압력) 유동성 과잉 공급의 영향으로 중국내 인플레 압력이 심화되고 있음 ○ 평가절상 가능성 고조 - 중국 내에서도 위안화의 평가절상 필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 - 외환시장에서도 1년 내 위안화가 5%정도 평가 절상될 것을 전망하는 분위기임 3. 위안화 평가 절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효과 - 한국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 개선으로 제3국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기회 ○ 부정적 효과 - 중국산 수입품의 상승으로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 증대 예상 - 중국 경제 성장 둔화로 장기적으로 對중국 수출 증가세 또한 둔화될 것으로 예상 ○ 업종별 효과 - 위안화 평가절상시 업종별 특징에 따라 그 효과도 다를 것으로 예상 4. 시사점 ○ 정부 과제 - 적정 환율 수준을 타겟으로 하는 외환 시장의 개입 필요 - 해외 충격에 의한 경제불안 해소 ○ 기업 대응 과제 - 무역 구조 개선으로 수출 및 수입선 다변화 - 체계적인 환리스크 관리 필요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휴대폰 산업의 품목별 경쟁력과 대응방안(CDMA)
< 목 차 > 1. 연구방법 2. 중국 휴대폰 산업 개관 3. CDMA 단말기 분석 4. GSM 단말기 분석 5. 기지국 장비 분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Shenzhen, 브랜드 문구용품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새학기 시즌을 맞아 쇼핑센터 , 슈퍼마켓, 문구도매점 등 중국 Shenzhen의 소매업체들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진열대를 새롭게 단장하느라 여념이 없다. 문구용품 및 선물용품 도매업체인 Hexi社는 최근 수주간 책가방, 필통, 공책 등의 제품 판매량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예전에는 한 달에 한번 이곳을 찾던 학생들이 이제는 적어도 월 2회 정도 이곳을 찾고 있다. Xinmei Jinka Store의 문구 도매코너에서는 최근 수주 동안 하루 평균 300명에 달하는 소비자들이 1,000위안 이상을 소비한다고 한다. 따라서 최근 매출이 평상시보다 2〜3배정도 늘었다. 한편 Wanjiale 백화점에서는 학생용품 코너가 에스컬레이터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20% 할인을 해주고 있다. 이곳도 평소보다 30〜40%의 매출 증가를 보였다. Shirble 백화점의 Jingtian 매장에서는 신학기를 맞아 디지털 제품 및 학생용품에 대해 12% 할인행사를 하고 있다. 이곳 역시 많은 학생들이 찾고 있으며, 특히 주말에는 더욱 인파로 붐비고 있다. 이곳의 평일 매출은 7,000〜8,000위안에 달하고, 주말에는 10,000위안을 넘는다.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은 공책, 필기도구, 필통, 가방이다. 한편 브랜드 제품은 일반 문구용품보다 좋은 이미지와 우수한 품질로 학생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 또한 학생들은 Mickey Mouse, Chibi Maruko, Snoopy, Blue Cat, Sweet Bee와 같은 만화 캐릭터가 담겨져 있는 문구용품을 매우 선호한다. 일부 학생들은 한가지 만화 캐릭터에 심취해 있어 책 포장지 , 필기도구, 필통, 연필깎기, 가방을 한가지 브랜드로 통일해 구입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캐릭터는 Sapphire, Melonboy, Mickey, Blue Cat, Soundy 이다. 또한 학년마다 선호하는 브랜드와 디자인이 다르다 . 초등학교 1〜4학년들은 만화 캐릭터가 담긴 책가방을 선호하지만, 5〜6학년들은 비교적 심플한 스타일과 디자인 제품을 선호한다. 반면 중학생들은 옆으로 매는 책가방보다는 배낭을 즐겨 맨다. 출처 : TDC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건자재 시장을 잡아라[LG주간경제 2004 3 31]
중국 건자재 시장이 시장 규모나 성장성 면에서 국내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신규 시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변화되고 있는 중국 건자재 시장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확대를 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동북3성 개발계획과 시사점[월간KIEP세계경제 2004년 3호]
---------------------목차------------------- 1. 서론 2. 동북 3성의 경제 연혁 및 현황 3. 동북 3성 개발계획 가. 배경 나.주요 내용 및 목표 4. 요약 및 한국경제에의 시사점 총 8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상해시의 2003년 수출입구조 분석 및 2004년 전망
-------------------목차------------------ 1. 2003년 상해시 대외무역 주요 특징 2. 2003년 상해시 대외무역의 고성장 요인 3. 2004년 상해시 대외무역 전망 총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FTA 추진에 적극적
전세계에 유행하고 있는 FTA바람이 중국에도 거세게 불고 있다. 다자간 협의체인 WTO의 틈새를 비집고 쌍방간의 이익 극대화에 초점이 맞추어진 소위 FTA체결이 미국이 멕시코 등 중남미국가와 NAFTA를 체결한지 10여년만에 전세계에 거의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작년 14건의 체결을 기록한 FTA 건수가 금년에는 조금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이 올 1월 1일부터 홍콩과 마카오와의 FTA를 발효시킴으로서 아시아 국가중 싱가포르에 이어 가장 모범적인 FTA추진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싱가포르를 필두로 태국등 아시아국가들이 FTA체결에 매우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실제 발효국이 없는 상황에서 비록 중국으로 귀속됐긴 하나 홍콩과 마카오와의 FTA발효(태국과 인도는 금년 3월 1일부터 발효)는 중국의 FTA추진 적극성을 엿보게 한다. ㅇ ASEAN 중국이 FTA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지역이 아세안이다. 화교들의 상권장악력이 비교적 크고, 또 실제 중국 수출입의 60%, 투자유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인만큼 FTA체결시 그 파급효과도 크게 기대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아세안과의 FTA추진에 나선 것은 2001월 11월이었다. 당시 2002년 1월 1일부터 협상을 시작해 10년안에 아세안과 중국지역을 완전 자유무역지대로 만들자는 데 합의를 했으며, 같은 해 11월 아세안 국가간 불일치한 관세를 순차적으로 제거해 일치시키자는 시간표를 제정한 [중국-아세안 경제합작협의서]작성을 이끌어냈다. 특히, 2003년 10월 1일 [중국-태국 과일채소류 무관세협정]을 발효시켜 과일과 채소류 188종상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면서 아시안과의 FTA완전 체결에 한걸음 다가섰다. ㅇ 홍콩, 마카오 다음으로 추진한 지역이 홍콩과 마카오간이다. 2001년 11월부터 협상을 시작해 2003년 6월 30일 홍콩과 마카오와 각각 "중국내지와 홍콩(마카오)간 보다 긴밀한 경제협력관계 구축방안"(CEPA)이라는 협정서를 체결했고, 이를 2004년 1월 1일부로 발효키로 합의함으로써 가장 완전한 형태의 FTA를 체결했다. 이로써 홍콩, 마카오와 중국간 273개세목 4000여종의 품목이 무관세의 혜택을 받게 됐다. ㅇ 한국과 일본 한국과 일본과의 FTA추진에도 3국중 가장 관심을 크게 보이고 있다. 적극적인 투자유치의 일환으로 추진한다는 의심으로 한국과 일본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중국은 2002년 11월 4일 APEC 회의에 참가한 한국과 일본의 총리와의 면담에서 한일양국에 동북아지역에서의 FTA필요성을 제기했고, 아울러 한중일 3국간의 FTA추진타당성 연구를 제안했다. 2003년 5월 중국 상무부 산하 아시아・아프리카연구원에서 [한・중・일 자유무역지구 건립에 대한 타당성 연구]라는 보고서를 발표해 한국과 일본의 관심을 끌었으며, 2003년 10월 중국 溫家寶총리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3국 회의에서 일본수상과 한국 노무현 대통령과 만나 [한・중・일 3국간 연합협력 선언]을 채택했고, 이를 통해 '3국간 협력위원회'가 설치돼 3국간 FTA문제를 본격 검토하기로 합의했다. 2004년 2월까지 2차례 회의가 개최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ㅇ 인도 인도는 2003년 6월 인도의 바지파이총리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비공식적으로 중국과의 FTA추진 필요성을 제기를 했으며, 아직 추진되고 있지는 않으나 협상의 가능성은 남아있는 상태이다. ㅇ 호주 호주와는 2003년 9월부터 자유무역지역 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했다. 2004년 1월 16일 중국 상무부 馬秀紅부부장이 호주 시드니를 방문, 호주 무역부차관과의 회의에서 2005년 10월까지 FTA체결 필요성을 최종 결정하기로 합의함으로써 FTA 추진대상국을 대양주까지 넓혔다. ㅇ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5개국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5개국과의 FTA추진은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는만큼 검토분야가 많아 체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전면적인 FTA추진보다는 국경도시간 자유무역지대를 만들고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식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미 국경도시간 초보적인 형태의 자유무역지대는 러시아와 중국, 중앙아시아 5개국과 중국간에는 존재해오고 있지만, 중국의 주장에 의해 2003. 9월 상해에서 [上海合作組織成員國多邊經貿合作鋼要]를 체결하면서 공식적으로 추진하기로 의견일치를 이루었다. 이의 첫 조치로 2003년 9월말 중국과 카자흐스탄 사이에 일종의 경제특구와 같은 자유무역지대가 만들어졌다. 신강위그루자치주와 카자흐스탄 아라무트주를 연결하는 후올커스지역을 [중-카자흐스탄변경자유무역구]로 지정하기로 양국간이 합의를 한 것인데, 이 지역내에서는 관세의 폐지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에 장애가 되는 일체의 요소가 배제된다. 중국은 이들국가들과는 5천킬로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서 국경을 맞대고 있는만큼 이와 같은 자유무역구의 형태를 많이 만들어 실제로 FTA와 같은 효과를 보려 계획하고 있다. ㅇ 메르코수르 남미와도 FTA체결 의사를 보이고 있다. 2003년 9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이 주축이 된 남미경제공동체와의 FTA추진 필요성을 역설하고 의사타진을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이 FTA협정을 맺었거나 추진하고 있는 국가는 아세안 10개국을 포함해 총 20여개국에 이르며, 10여개국가들과도 공식적으로 FTA협의를 제안해 놓은 상태에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내 땅값이 가장 비싼 도시는
중국 국토자원부가 2003년 중국 각 도시(성회도시, 직할시 및 계획단열시에 한함)를 대상으로 실시한 토지가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토지가격이 가장 높은 도시는 베이징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도시는 우루무치로 조사됐다. 중국내 각 도시의 토지가격은 순위별로 △1위 베이징(北京) △2위 상하이(上海) △3위 항저우(杭州) △4위 난징(南京) △5위 청뚜(成都) △6위 텐진(天津) △7위 광저우(廣州) △8위 충칭(重慶) △9위 선전 △10위 꾸이양(貴陽) 등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지역별로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의 토지가격이 일반 도시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국토자원부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내 주요 도시의 토지가격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3년 주요 도시의 토지가격은 2002년 대비 다소 높은 수준을 보이며 상승세를 지속하였고 이러한 완만한 오름세는 금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3년 중국내 주요도시의 토지가격 평균수준은 1,166위앤/㎡으로 2002년 대비 평방미터 당 92위앤 증가했다. 이중 상업용 토지가격이 가장 높은 1,919위앤/㎡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용 토지와 공업용 토지가격은 각각 1,103위앤/㎡과 494위앤/㎡으로 조사됐다. 2003년 전국 상업용 토지가격의 평균 상승률은 6.92%로 2002년 대비 1.84%p 높게 나타났다. 주택용지와 공업용지의 토지가격은 5.18%와 2.56% 증가, 2002년 대비 각각 0.42%p와 2.56%p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장강삼각주(상하이, 항저우, 난징 등 일대)의 평균 토지가격이 주강삼각주(광저우, 선전 일대)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장강삼각주의 용도별 평균 토지가격은 △상업용지 2,184위앤/㎡ △주택용지 1,373위앤/㎡ △공업용지 510위앤/㎡으로 나타으며 주강삼각주의 경우 △상업용지2,133위앤/㎡ △주택용지 1,034위앤/㎡ △공업용지 430위앤/㎡으로 조사됐다. 2003년 중서부지역 도시의 지가상승률은 동부 연해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업용지 가격의 경우 텐진(天津), 시닝(西寧), 인촨(銀川), 난창(南昌), 청뚜(成都), 꾸이양(貴陽) 등 중서부도시의 지가 상승률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들 지역의 경우 과거 토지가격이 매우 낮은 상태를 보여왔으나 최근 들어 토지시장의 입찰 및 공개구매 방식이 도입으로 비교적 높은 상승률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푸저우(福州), 하이커우(海口), 선전, 쿤밍(昆明), 타이위앤(太原), 후허하오터(呼和浩特), 란저우(蘭州), 스쟈좡(石家莊), 지난(濟南), 하얼빈(哈爾濱) 등 도시의 지가 상승률은 2%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3년 전반적으로 경제력이 높은 도시의 토지가격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상승폭은 그다지 크지 않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도시중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난징 등이 비교적 오름폭이 크게 나타났다. 베이징과 상하이의 토지가격은 각각 3%와 5% 내외의 오름세를 보였으나 2002년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 광저우의 주택용 토지가격과 선전의 상업용 토지가격은 마이너스 증가율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광저우와 선전의 토지가격 하락세의 원인으로 토지시장의 안정세에 따른 결과로 토지시장과 가격시스템이 보다 성숙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국토자원부의 관계자에 따르면 올 중국정부가 경제성장률을 7%로 설정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촉진과 부동산시장의 활황세로 토지수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정부의 농지의 무단전용과 무분별한 개발에 대해 엄격한 통제정책을 실시하고 있어 일부에서는 토지공급의 부족에 따른 가격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자원부의 관계자는 1999년에서 2003년까지의 토지가격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토지시장이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있어 전반적인 증가세는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03년 토지가격의 상승폭이 비교적 큰 장강삼각주의 평균 토지가격 상승률은 7.43%에 불과하며 베이징, 광저우, 선전 등 일부 지역의 토지가격은 지난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토지시장은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것이 중국정부의 시각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자동차시장, 끝없는 가격인하 전쟁
내수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중국 자동차 메이커들은 가격인하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중국 최대의 컴팩트 자동차 제조업체인 FAW Xiali는 최근 자동차 판매가격을 10%나 인하했다. 이번 조치로 이 회사의 8개 모델의 가격은 대당 4,300〜7,100달러로 떨어졌다. 톈진(天津)에 소재한 First Automotive Works(FAW) 사의 자회사인 FAW Xiali사의 한 관계자는 "이번 가격인하 조치로 소비자들이 혜택을 받기를 희망하며 (가격인하 조치는) 생산을 급속히 확장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FAW Xiali의 이번 가격인하 조치는 저장성(折江省)에 있는 라이벌 업체 Geely의 조치를 뒤따른 것이며 Geely는 Haoqing 모델의 가격을 604달러나 인하했다. 이에 따라 Haoqing 모델의 가격은 대당 3,980달러로 현재 중국에서 시판되고 자동차 가운데 가장 저렴한 모델이 됐다. Geely는 이에 앞서 2004년 1월에도 Haoqing, Merrie, Ulion 등 3개 모델의 가격을 대당 604달러씩 인하한 바 있어 올 들어서만 벌써 두 차례나 가격을 인하했다. 이들 업체 이외에도 Shanghai General Motors, Chang'an Ford, Chang'an Suzuki, Dongfeng Yueda Kia 등 많은 외국기업들과의 합작업체들도 올 들어 컴팩트 자동차의 가격을 앞다퉈 인하한 바 있다. 이와 관련, Guotai & Jun'an Securities 소속 애널리스트인 Zhang Xin은 "컴팩트 자동차 시장에서 가격은 가장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격을 인하할 수 밖에 없는 상황" 이라고 말했다. FAW Xiali 사는 2003년 11만5천대의 자동차를 판매, 전년대비 32.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Geely의 경우 올해 자동차 판매대수를 작년의 2배인 16만대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Zhang Xin은 "자동차 메이커들은 새로운 모델을 생산하기 위해 구형 모델의 재고를 처분할 수 밖에 없고 가격인하를 통해 고객들에게 자사의 이미지를 홍보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 메이커들은 실제로 이 같은 가격인하 조치로 상당한 혜택을 보고 있다 . 최근 Buick Sail 모델의 가격을 대당 1,200달러나 인하한 Shanghai General Motors의 경우 금년 1월 자동차 판매대수가 가격인하 이전의 월평균 판매대수 4,300대를 훌쩍 뛰어넘어 6천대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Geely 역시 월간 판매대수가 8천대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가격인하 러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중국 내의 자동차 가격은 국제시장의 가격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들의 급속한 생산확장과 신모델 출시, 자동차 수입관세 인하 및 수입자동차 쿼터 확대 등의 조치들로 인해 올해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격은 지속적인 하향곡선을 그릴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내 자동차 판매가격이 지난해 18% 하락한 데 이어 올해도 15% 가량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자동차 가격은 6개월 이내에 국제시장 수준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현재 중국의 모든 자동차 회사들은 가격인하 전쟁에 나서고 있으며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생산을 크게 늘리고 있다 . 현 단계에서는 시장점유율을 늘리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지난해 9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한 바 있는 FAW는 올해 생산목표를 100만대 이상으로 잡고 있다. 올해 중국에서 출시되는 신모델은 Toyota Corolla, Peugeot 307, Ford's 2.5-litre Mondeo, the Santana 3000, Honda CRV 등을 포함, 50개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들 신모델의 판매가 크게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구모델들의 판매에는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WTO(세계무역기구) 회원국 의무준수사항에 따라 중국은 자동차에 대한 수입관세를 2003년의 38.2〜43%에서 올해 34.2〜37.6%로 인하했다. 또 완성차 및 부품 수입쿼터도 2003년에 비해 15% 늘어난 105억달러로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중국의 전체 자동차 생산량은 444만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