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2021년 4분기 중국 도시별 평균임금
2022년 1월 5일 중국 구인 구직 플랫폼 즈롄자오핀(智 招聘)은 「중국기업 채용 임금 보고서(中 企 招聘薪酬 告)」를 발표함. 2021년 4분기 중국 38개 주요 도시 월 평균임금은 10,111위안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만 위안을 넘어섰음. - 2021년 3분기 대비 3.8%, 전년 동기 대비 13.3% 상승함. 2021년 38개 기업의 분기별 평균임금 상승 원인은 고임금 우수인력을 소규모로 채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한 것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됨. 2021년 4분기 월 임금 중위값은 8,001위안, 2021년 3분기보다 6.6% 증가함. - 최빈값은 5,001위안임. 중국 38개 주요 도시 중 월 평균임금이 1만 위안이 넘은 도시는 2021년 3분기 7곳에서 4분기 쑤저우, 닝보가 추가되며 9곳으로 증가함. - 베이징, 상하이의 월 평균임금은 각각 13,412위안, 13,195위안으로 가장 높음. - 상하이에 이어 선전 12,606위안, 항저우 14,462위안으로 3, 4위를 차지함. 베이징, 상하이, 선전, 항저우 4대 도시의 평균임금은 이전 분기 대비 4% 이상 상승함. - 그중 선전은 2021년 4분기 월 평균임금이 전월 대비 5.3% 상승한 것은 인재 유입 요인이 큰 것으로 분석됨. - 쑤저우는 전월 대비 7.3% 증가하며 주하이를 제치고 7위에 이름을 올림. <출처: “ 告 38城平均招聘月薪 万 看有 所在的城市 ?” 杭州 . 2022. 1. 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2022년 2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24회 동계올림픽 개막 - 동계올림픽 일정은 4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0일까지 17일간 진행될 예정 경기 종목은 총 15개로 빙상, 설상, 썰매 종목으로 나누고, 총 109개 경기가 열릴 예정 - 빙상 종목: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컬링, 아이스하키 - 설상 종목: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노르딕 복합,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키점프 - 썰매 종목: 루지, 봅슬레이, 스켈레톤 2022 동계올림픽경기 장소는 3개 지구로 나누어서 진행 - 베이징 지구는 베이징시 중심으로 빙상 종목과 개·폐막식이 열릴 예정 - 옌칭(延 ) 지구는 베이징 중심에서 북서쪽으로 75㎞ 떨어진 산악지역으로 썰매 종목과 알파인 스키 경기를 개최할 예정 - 장자커우( 家口) 지구는 허베이성으로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180㎞ 거리에 있으며, 스키장으로 유명하여 대부분의 설상 종목 경기를 치를 예정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2015년 7월 3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 128차 IOC 총회에서 개최권을 획득하였음. - 2013년 11월 올림픽위원회는 6개 개최 후보지를 발표했음.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중국 베이징, 폴란드 크라쿠프, 우크라이나 르비브, 노르웨이 오슬로, 스웨덴 스톡홀름 - 최종후보 경쟁지역은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로 40표를 받아 44표를 받은 베이징에 밀려 개최유치에 실패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공식 슬로건은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로 인류가 미래를 공유하며, 하나의 공동체로서 전세계에 불어닥친 도전을 극복하는 올림픽의 힘을 상징 이번 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 빙둔둔( 墩墩)은 중국 국보인 자이언트 판다를 형상화한 것으로 판다의 이미지에 얼음 보호복을 입어, 동계 스포츠와 현대 과학기술의 특징을 살림. 2022년 1월 17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코로나19 방역 강화와 선수단의 건강보장을 위해 입장권을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고 발표 - 특정 인원을 현장 관중으로 초대할 계획이며, 경기 관람 전후 엄격하게 방역 수칙을 준수할 계획 한편, 신장위구르 인권 탄압 논란으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 덴마크 등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였고,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스웨덴과 네덜란드 등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이유로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힘. -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을 파견하지만 개·폐회식 등 행사 때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함. <출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공식 홈페이지(https://www.beijing2022.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중국국가통계국이 2022년 1월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10.3% 상승하였고, 전월 대비 1.2% 하락함 - 2021년 PPI는 8.1% 상승함. 2021년 12월 공업생산자매입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4.2% 상승하였고, 전월 대비 1.3% 하락함. - 2021년 전체 공업생산자매입가격은 11% 상승함. - 중국의 공업생산자가격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생산자매입가격지수를 포함. 2021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 중 원자재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3.4% 상승하였고, 생활필수품 가격은 1% 상승함. - 이 밖에 식품과 일반 생활용품 가격 1.4%, 의류 가격 1%, 내구소비재 가격은 0.4% 상승함. <출처: 2021年12月 工 生 者出 价格同比上 10.3% 比下降1.2%, 家 局. 2022. 1. 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022년 1월 12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함. 2021년 12월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5% 상승했으며, 전월 대비 0.3% 하락함. - 전년 동기 대비 도시주민 소비자물가는 1.6%, 농촌 1.2% 상승하였으며, 식료품 가격은 1.2% 하락, 비식품 가격은 2.1% 상승하였고,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은 각각 1.5% 상승함. 2021년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9% 상승함. 품목별 소비자물가를 살펴보면 2021년 12월 식품·담배·술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함. - 육류 가격이 22.2% 하락, 특히 돼지고기 가격 36.7% 하락하였고, 달걀은 12.7% 상승, 청과물 가격 4.8% 상승, 식량 가격은 2.0% 상승함. 이밖에 교통·통신, 교육·문화·오락, 주거는 각각 5%, 3.1%, 1.6% 상승했고, 생활용품, 의료보건, 의류는 각각 0.8%, 0.7%, 0.6% 소폭 상승함. - 기타 용품 및 서비스는 0.8% 하락함. <출처: 2021年12月 居民消 价格同比上 1.5% 比下降0.3%, 家 局. 2022. 1. 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021년 12월 31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함. -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 PMI)는 기업의 신규주문, 생산, 출하, 재고, 고용상태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로 지수가 50% 이상이면 업계 경기의 확장,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함. 2021년 12월 중국 제조업 PMI는 50.3%로 전월 대비 0.2%p 상승하였고, 9월 49.6%, 10월 49.2%를 기록했으나 회복세를 보임. 기업 규모별로는 2021년 12월 대기업의 PMI는 51.3%로 전월 대비 1.1%p 상승, 중견기업은 51.3%로 0.1%p 상승, 중소기업은 46.5%로 2%p 하락함. 또한, 5개 구성 항목 중 생산지수는 임계치를 상회하나, 신규주문, 재고, 고용, 출하는 둔화하는 추세를 보임. 2021년 12월 중국의 비제조업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52.7%로 전월대비 0.4%p 상승하며 지속적 회복세를 나타냄. 업종별로는 건축업이 56.3%로 전월 대비 2.8%p 하락함. 서비스업은 52%로 전월대비 0.9%p 상승함. 항공운송, 우정업, 통신업, 금융업 등은 60% 이상의 경기 확장세를 보였으나, 소매업, 요식업과 숙박업, 부동산업, 주민서비스업 등은 50% 이하로 나타남. <출처: 2021年12月中 采 理指 行情 , 家 局. 2021. 12. 3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 국내총생산(GDP)
2022년 1월 18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1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을 발표함. 2021년 중국의 GDP 규모는 114조 3,67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1% 증가함. -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각각 7.1%, 8.2%, 8.2%임. 업종별 전년 대비 증가율은 IT·SW·정보통신업이 17.2%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건축업이 2.1% 소폭 증가함. 2021년 분기별 GDP 성장률은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18.3% 큰 폭으로 성장하였고, 2분기 7.9%, 3분기 4.9%, 4분기 4.0%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나 대체로 양호한 성장을 이룸. <출처: 2021年四季度和全年 生 (GDP)初步核算 果, 家 局. 2022. 1. 18.>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5G 단말기 활용 분야
중국의 5G는 점차 신기술과의 융합력이 향상되고 있음. - 4회 블룸컵 공모작 중 빅데이터, 인공지능,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사용하는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함. 카메라, 5G CPE, 센서 등과 같은 단말기에서의 수요가 활발해, 다양한 업종에서 활용함. - 공업 제조, 스마트단지, 교육, 스마트도시, 문화관광 등 5개 업종을 분석한 결과, 카메라를 5G에 연계해 활용한 비중이 57.7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CPE는 가장 보편적인 5G 접속방식으로 50.31%를 차지하고, 5G 인터넷 47.74%, 센서는 36.06%임. 산업 분야별 사용하는 단말기 비중은 상이함. - 공업 제조 분야의 5G 인터넷활용 비중은 71%,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무인운반로봇) 설비 사용 비중은 42% 수준임. - AR과 VR 단말기는 교육과 문화관광 분야에서 많이 사용함. 특히 VR은 교육 분야에서 55%, 문화관광 분야에서 62% 사용함. 코로나19 상황 이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개념이 크게 화두로 떠오르며, VR 산업체인 고도화가 가속화 함. - 현재 단말기 대부분은 4K VR 영상만 송출할 수 있고, 8K 초고화질은 100Mbps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VR 체험과 활용범위 확대에는 제한이 있음. 8K VR 영상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 단말기 기술 개발이 필요 2021년 6월 28일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 문예공연 ‘위대한 여정’에서 “즉시 촬영, 순간 편집, 실시간 송출”로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8K 초고화질 생방송을 송출함. - 향후 시간 연장과 화질개선의 문제를 해결해 실시간 중계 수요가 있는 의료분야나 현장 지휘 등에 활용할 계획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5AIA·IMT-2020(2021). 「5G 用 新 展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5G 응용 기술 공모전, 블룸컵
중국 공업과 정보화부(工 和信息化部)가 주관하는 블룸컵은 5G 발전과 다양한 응용 촉진을 위한 기술 공모전임. - 2018년 제1회를 시작으로 누적 공모 건수는 2만여 건으로 산업, 의료, 교통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제품 양산, 혁신 시범, 정착 보급 기반을 갖추고 5G 대표 기술을 응용한 성숙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함. 제4회 블룸컵의 신청 접수 기간은 2021년 5월 16일부터 7월 25일까지였으며, 심사를 거쳐 10월 공모전 결선을 치렀음. - 제4회 블룸컵은 기업, 기술연구소, 협회, 정부기관 등이 7,000개 단체 또는 개인이 참가하였고, 공모 건수는 총 12,281건으로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하며 큰 관심을 받음. 제4회 블룸컵 300개 수상작을 분석한 결과, 출신 지역 비중은 광둥이 가장 높고, 저장, 장쑤, 베이징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4개 지역의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함. 제4회 블룸컵 공모작의 분야별 비중을 살펴보면, 공업인터넷이 15.71%로 가장 높고, 스마트단지 11.21%, 스마트도시 8.8%, 정보소비 7.49%, 스마트의료 7.36%, 문화관광 6.91% 순으로 나타남. - 2020년과 비교하면 공업인터넷 관련 공모작 비중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함.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5AIA·IMT-2020(2021). 「5G 用 新 展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5G 산업 발전 수준
5G 발전 수준을 보면 중국은 아직 초기 단계임. 공업 인터넷, 스마트 의료, 스마트 전력, 스마트 항만 등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산업으로 이미 성장단계에 도달하였으나, 이외 많은 산업은 아직 준비단계나 초보 단계로 끊임없는 솔루션 개발로 활용범위 확대와 사업성을 개발하고 있음. - 문화관광, 스마트 물류, 스마트 교육 분야는 현재 사용자 니즈에 따른 제품 개발과 솔루션 개발단계이고, 스마트시티와 융합미디어는 산업 수요가 뚜렷하여 성장단계에 접어들고 있음. - 금융과 건축·부동산 등의 업종은 이제 적극적인 기술 검증을 진행하는 준비단계에 있음.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기술과 솔루션 수준이 한층 발전했으며, 민생 서비스에도 5G 활용이 크게 늘고 있음.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5AIA·IMT-2020(2021). 「5G 用 新 展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5G 보급과 통신장비 시장
2021년 12월 6일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 信息通信 究院), 5G 응용산업방진(5GAIA: 5G Applications Industry Array, 5G 用 方 ), IMT-2020 추진조는 공동으로 「5G 응용혁신발전 백서(5G 用 新 展白皮 )」를 발표함. - 백서는 세계와 중국의 5G 응용 발전 추세를 살펴보고, 2021년 제4회 블룸컵(Bloom Cup, 放杯)을 통해 5G 기술 응용 분야 동향을 분석함. 5G 상용화 이후 세계 각국은 네트워크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2021년 상반기 세계 3분의 1에 달하는 국가가 5G 시대에 접어들었고, 5G 사용자 보급률은 19.6%에 달함. - 2021년 10월 기준 중국의 5G는 현급도시 97%, 농촌지역 50% 이상에 보급되었으며, 기지국 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음. 세계 5G 네트워크 장비시장 상위 5개 중 중국업체 화웨이, ZTE가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함. - 2021년 상반기 화웨이의 시장 비중이 가장 높고, 에릭슨, ZTE, 노키아, 삼성 순으로 집계됨. 2021년 10월 기준 중국 5G 관련 단말기 603개 중 스마트폰이 452개, 비스마트폰 151개로 나타남. - 스마트폰 수가 훨씬 많지만, 비스마트폰 단말기 수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275%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비스마트폰 단말기로는 CPE, 핫스팟(와이파이), 공유기, 태블릿, 차량, 모듈 등을 포함 <출처: 中 信息通信 究院·5AIA·IMT-2020(2021). 「5G 用 新 展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