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건
-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1) - 기본 현황 및 정책 환경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주목을 받고 있음. 여러 국가의 중앙 및 도시정부가 소비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유경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집중 육성하고 있음 특히 중국에서는 소비경제 및 내수경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발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공유경제를 대대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중국의 중요한 사회경제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공유경제 현황 파악을 위하여 INChina Brief에서는 2회에 걸쳐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을 연재함-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공유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주요 내용으로 함 <목 차> 1.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2.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3.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 등록일 2017.07.17
-
「중국도시정보 21」 중국 광역수도권 구상에 따른 허베이성 권역별 도시정책 동향
중국 정부는 수도 베이징과 톈진직할시 그리고 허베이성을 포함하는 광역수도권 통합 발전을 위한 징진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허베이성은 징진지 전략을 지역발전을 위한 기회로 활용하고자, 성 전체를 4대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별 지역발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허베이성 및 성 지급시의 <13·5규획>을 중심으로 관련 주요 정책 내용을 정리하고 인천 지역 차원에서의 연계 방향을 제시함 - 각 도시 정책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6:53-65)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음 <목 차> 1.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전략과 허베이성 2. 허베이성 권역·도시별 지역정책 동향 3. 전망 및 연계방향
- 등록일 2017.07.03
-
중국 자동차시장과 로컬 전기차 업체의 발전전략 분석
중국 자동차시장이 SUV를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계 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감소 2016년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전기차 시장은 금년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이는 정책적인 요소로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세 지속 전망- 2016년 말 발표된 기술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신차 출시 연기 및 보조금 축소에 따른 선구매 영향이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 중국 주요 전기차 업체의 발전전략은 수직계열화 추구(BYD, 베이징 자동차), 가성비 중심의 시장확대(Zotye, Chery), 전기차 집중(Geely)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목 차> 1. 중국 자동차시장 동향 2. 신에너지 자동차시장 동향 3. 주요 로컬업체 발전전략4. 결론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6.26
-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를 통해 본 한중·북중 관계
경제력을 바탕으로 굴기(崛起) 중인 중국은 외교·안보 영역에서도 영향력 확대 중 북핵문제를 둘러싼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있어서 중국의 외교적 입장과 역할에 대한 관심 급증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시점에서, 중국의 對한반도 정책과 이에 따른 한중·북중 관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학술적, 정책적으로 유의미한 작업 국제정치학 영역에서도 네트워크 분석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본 보고서는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를 통해 한중·북중 관계를 고찰 <목 차> 1.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와 한중·북중 관계 2. 한중·북중 관계의 변천 3. 시진핑 체제의 對한반도 정책과 한중·북중 관계4. 종합 및 함의
- 등록일 2017.06.12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 -『2016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7년 4월 발표한《2016년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의 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사회보장 등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에서는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기초하여 관련 보고서를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작성하여 중국 농민공 현상의 특징과 패턴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옴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5.22
-
중국의 여론파워 : 대중에 의한 정책 의제 설정
2000년대 들어, 공산당 지도부에 의해 폐쇄적으로 이루어지던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대중적 참여가 가시화되고 있음 공공지식인의 등장,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언론 그리고 인터넷과 SNS를 통한 대중의 참여는 공산당 지도부에 압력을 가해 대중이 선택한 의제가 정책적 전환을 이루어냄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일반 대중의 영향력 확대는 향후 한중 관계의 발전과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방법적 모색을 가능하게 함 <목 차> 1. 중국 정책 의제 설정의 특징 2. 대중압력형 모델의 등장과 발전 3. 정책 의제 설정 모델 전환과 중국 정치의 변화 4. 한중 관계에 주는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
- 등록일 2017.05.08
-
중국 중서부 내륙지역의 성장 및 한국과의 교류 현황
중국은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내륙지역 경제발전 정책을 펼치고 있음 중국 중서부 지역 경제역량 및 ‘13.5 규획’의 중국 중서부 발전전략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 발전을 전망함 한국과 중국 중서부지역의 교류현황 분석 등을 통해 향후 중국 중서부 지역 교류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 <목 차> 1. 개요 2. 중국 중서부지역 발전전망 3. 한국-중국 중서부 지역 교류 현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4.17
-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갈등 현황 및 전망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로 인한 한중 갈등이 깊어가면서 수교 이후 최악의 양국 관계 상황에 놓임- 한미 당국의 사드배치 선언 이후 배치 철회 또는 지연을 위한 중국의 압박조치가 지속적으로 확대·강화됨 사드 배치 단계별 중국의 대응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를 전망함. 또한 인천 지역 의 피해 현황를 점검하고 지역 차원에서의 기본 대응 방향을 제안함 <목 차> 1.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갈등 현황 2. 중국의 대응 및 특징3. 향후 전망 및 지역 차원의 대응방향
- 등록일 2017.04.03
-
중국 인터넷 시장 및 활용 현황
중국 정부는 1997년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 설립을 통해 중국인터넷 관련 각종 정보를 조사·집적하여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활용- CNNIC에서는 연 2회 <중국인터넷발전현황보고> 대외발표 2017년 1월 CNNIC가 발표한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는 2016년 말 기준 중국 인터넷 환경 및 시장규모, 기업과 개인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음- 특히, 최근 중국 인터넷 활용에 있어 중요한 기기이자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폰 의 활용 현황과 잠재력에 대한 내용이 주목됨 CNNIC의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 에 기초하여 중국인터넷 환경 및 규모, 그리고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를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중국 인터넷 환경 및 규모 2. 중국 인터넷 활용 현황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3.20
-
「중국도시정보 20」 중국 베이징의 경제산업 발전과 공간의 재편
중국 광역수도권의 중심축인 베이징시가 갖는 경제·산업 특징과 공간 배치는 베이징-톈진-허베이 일체화의 광역수도권 일체화 지역발전 전략 파악을 위한 중요한 첫 걸음임 베이징시는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사회주의 중국의 수도로서 축적해 온 자원과 강점을 활용하여 지식기반형 경제를 육성하고 이에 부합하는 경제·산업 공간 배치와 조정을 해 왔음 1980년대 이래 베이징시의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베이징의 경제·산업 및 공간배치 기본 방향과 정책 내용을 정리함- 본문의 주요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6:31-41)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음 <목 차> 1.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 전략과 베이징 2. 베이징 경제산업 발전과 공간 변화 3. 징진지 전략에 따른 베이징의 변화 4. 종합 및 전망
- 등록일 2017.03.06